$\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실 간호사의 외상사건 경험, 공감피로, 자아존중감, 공감만족 및 소진
Effects of Traumatic Events, Compassion Fatigue, Self-esteem,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Burnout of Nurses in Emergency Department (ED)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3 no.2, 2014년, pp.80 - 88  

전연진 (부산성모병원) ,  성미혜 (인제대학교 간호학과.건강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factors that determines burnout of nurses in emergency department. Methods: The survey was given to 170 ED nurses which are located in Busan from July 1st to August 31st of 2012.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외상사건 경험, 공감피로, 자아존중감, 공감만족, 소진의 관계를 규명하고 응급실 간호사의 소진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응급실 간호사 170명으로 자료수집 2012년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외상사건 경험, 공감피로, 자아존중감, 공감만족, 소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소진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외상사건 경험, 공감피로, 자아존중감, 공감만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Kim (2011)이 개발한 외상사건 경험 질문지로 총 13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상사건의 종류에 따라지난 한 달 동안의 경험빈도를 응답하도록 하였다. ‘거의 경험하지 않는다.
  • 이에 본 연구자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이들의 외상사건 경험, 공감피로, 자아존중감, 공감만족 및 소진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간호사들의 삶의 질과 더 나아가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감만족이란 어떤 긍정적인 면이 있는가? 공감만족은 공감피로와는 반대로 간병인이나 교사, 사회복지사, 성직자 등이 외상을 입었거나 고통을 받는 사람들을 돕는 일을 하면서 얻는 긍정적인 면이다. 공감만족은 남을 돕는 즐거움이며, 동료에 대한 호의와 자신이 남을 도울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에서 기인하는 즐거운 감정이다(Figley& Stamm, 1996).
응급실 간호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 응급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을 파악한다. ● 응급실 간호사의 외상사건 경험, 공감피로, 자아존중감, 공감만족, 소진을 파악 한다. ● 응급실 간호사의 외상사건 경험, 공감피로, 자아존중감, 공감만족, 소진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 응급실 간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다.
공감피로란? 최근에는 타인을 원조하는 직업을 가지고 있는 사회복지사를 비롯한 심리상담자, 간호사, 소방관 등이 충격적인 사건에 직, 간접적으로 노출되면서 겪는 이러한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가 상당히 관심을 받고 있으며(Kong, 2005), 피해자를 1차적으로 접촉하는 대상자들로서 그들이 호소하는 고통에 대해 일상생활에서 느낄 수 있는 외상 보다 강한 강도와 오랜 지속시간을 경험할 수 있다(Choi & Song, 2009). 외상성 스트레스는 스트레스원이 일차적인가, 이차적인가에 따라 반응패턴이 달라지는데,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secondary traumatic stress)는 의미 있는 다른 사람에 의해 경험된 외상성 사건에 대해 앎으로써 생기는 자연적인 결과적 행위와 정서로 외상을 입거나 이로 인해 고통을 받고 있는 사람들을 돕기 원하거나 도움으로써 생기는 스트레스를 말한다(Figley, 1995). 이러한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는 공감피로(compassion fatigue)로 정의되는데, 이에 대한 적절한 처치가 없으면 소진의 원인이 되므로 공감피로에 대한 인식은 중요하다(James & Gilliland,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rev. ed). Washington, DC: Authors. 

  2. Bae, K. S., & Jo, H. S.(2004). A study on the relations among child disposition, parents' disposition requirements, and selfesteem of child.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9(13), 137-152. 

  3. Brouwers, A., Evers, W. J. G., & Tomic, W.(2001). Self-efficacy in eliciting social support and burnout among secondaryschool teacher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1(7), 1474-1491. 

  4. Choi, H. K.(2010). Effects of traumatic events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urnout, physical symptoms, and social and occupational functions in korean fire fight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jou University, Suwon. 

  5. Choi, M. O., & Song, W. Y.(2009). The effects of the exposure on traumatic events, occupational qualities, and psychosocial resources on the compassion fatigue and burnout,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8, 262. 

  6. Cohen, S., & Mulvaney, K.(2005). Field observations: Disaster medical assistance team response for hurricane charley, punta gorda, florida, August 2004. Disaster Manag Response, 3(1), 22-27. 

  7. Collins, S., & Long, A.(2003). Working with psychological effects of trauma: Consequences for mental health-care workers-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0, 417-424. 

  8. Figley, C. R.(1995). Compassion fatigue, New York: Bunenr/Mazel. 

  9. Figley, C. R., & Stamm, B. H.(1996). Psychometric review of compassion fatigue self test. In B. H. Stamm(Ed.), Measurement of stress, trauma, and adaptation(pp. 127-130). Lutherville, MD: Sidran Press. 

  10. Han, J. W., & Lee, B. S.(2013). The relationship of post-traumatic stres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in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9(3), 340-350. 

  11. Han, K. H.(2005). The moderated effects of self-efficacy and group-efficacy on the hotel employee's burnout process. Research on Hospitality Administration, 14(2), 63-87. 

  12. Hwang, S. S.(2008).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nurses' experience of violence and their self-este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Busan. 

  13. James, R. K., & Gilliland, B. E.(2001). Crisis intervention strategies. Stamford, CT: Brooks/Cole. 

  14. Jeon, S. Y.(2012). Factors influencing compassion fatigue i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15. Jeung, E. H.(2011). Psychosocial stress and burnout related to violence in emergency room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6. Jon, B. J.(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Yonsei at Seoul. 

  17. Kim, H. J.(2011). Relationships among traumatic events, compassion fatigue, burnout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emergency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18. Kim, S. R.(2007). Relations among self-efficacy, self-esteem and burnout of employee in food service industry. Journal of Contents, 7(12), 145-156. 

  19. Kim, Y. O.(2012). Comparison between ICU nurses and ER nurses in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coping typ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20. Kong, G. S.(2005). Factors associated with burnout of korean child protective service worker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0(3), 83-103. 

  21. Kyung, M. J.(2012). Difference analysis of call center emotional labor workers psychological burnout depending on their of self-este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2. Lee, B. J., & Hong, S. O.(2012). The effect of older people's leisure activities on their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Tourism Research of Northeast Asia, 8(2),139-156. 

  23. Lee, J. M.(2012). Effects of working stress,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burnout in clinic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4. Lee, J. Y., & Yu, K. L.(2010). Compassion fatigue: Implications for counselor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1(1), 19-36. 

  25.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2011). 2011 emergency medical statistics chronological list. Retrieved May 31, 2012, from www.nemc.or.kr/infor/board_view.jsp?boardLeftMenuFlag 

  26. Rosenberg, M.(1962) The association between self: Esteem and anxiety.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 135-152. 

  27. Stamm, B. H.(2002). In C.R. Figley(Ed), Measuring compassion satisfaction as well as fatigue: Developmental history of th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fatigue test(pp. 107-119). New York:Brunner-Routledge. 

  28. Sung, M. H.(2008). Relationship of the experience of violence to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i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4(2), 83-92. 

  29. Yang, J. H., & Jung, H. Y.(2009). Relationship between violence response, coping, and burnout among emergency department nurses.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1), 103-111. 

  30. Youn, E. J.(2009). An experiential analysis of burnout in counselor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0(4), 1855-18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