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공감피로 및 공감만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ork Stress,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Burnout in Clinical Nurse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9 no.5, 2013년, pp.689 - 697  

이정민 (중앙대학교 대학원) ,  염영희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work stress,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burnout in clinical nurses. Methods: The sample consisted of 268 nurses from two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Gyunggi provinc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 스트레스, 공감피로 및 공감만족이라는 요인을 확인하여 효율적인 간호업무 수행과 간호인력 관리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감 피로란 무엇인가? Figley (2002) 는 이를 공감피로(compassion fatigue)로 명명하였다. 공감 피로는 간호사를 비롯해 소방공무원, 사회복지사, 상담심리사, 경찰관, 아동보호기관 종사자 등과 같이 타인을 돕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스트레스가 높은 사건을 경험한 사람들을 돌보면서 겪는 현상이다(Stamm, 2002). 이는 외상을 입은 환자에게 전문적인 간호를 제공하였을 때 의도치 않게 돌봄의 대가로 얻어지게 되는 스트레스의 반응이며, 사전경고 없이 갑자기 발생하는 무가치감, 고립, 혼돈 등의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Figley, 1995).
소진의 증상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또한 공감피로가 증가하는 경우 다양한 신체적 질병뿐만 아니라 무기력, 슬픔, 우울, 불안 등 정서적인 어려움이 증가하게 되며 이는 소진으로 이어질 수 있다. 소진의 증상이 무력, 혼란, 고독, 극도의 피로와 기능장애를 포함하고 있지만(Stebnicki, 2000) 공감피로보다는 좀 더 포괄적인 개념이다. 간호사가 극도의 스트레스적인 상황을 직접 경험한 대상자를 돌봄으로 인해 간접적으로 외상성 스트레스에 노출되면 공감피로를 겪게 되며 이런 요인이 소진의 증가에 영향을 주는 것이다.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는 다양한 인간관계에서 직무과부하, 대인갈등과 같은 스트레스에 노출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의료소비자의 권리가 향상됨에 따라 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은 간호의 요구도가 더욱 높아지고 간호사로부터 다양한 의료서비스를 제공받기를 원한다(Park, 2009). 또한 간호사는 많은 업무량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시간을 환자와 대면하며 보내게 된다. 따라서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는 환자, 보호자, 의료종사자 등 다양한 인간관계에서 직무과부하, 대인 갈등과 같은 스트레스에 노출된다(Leiter, 199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bendroth, M., & Flannery, J. (2006). Predicting the risk of compassion fatigue: A study of hospice nurses.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Nursing, 8, 346-356. 

  2. Choe, M. O. (2009). The effects of the exposure on traumatic events, occupational qualities, and psychosocial resources on the compassion fatigue and burnout.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8, 262-262. 

  3. Collins, S., & Long, A. (2003). Working with psychological effects of trauma: Consequences for mental health-care workers-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0, 417-424. http://dx.doi.org/10.1046/j.1365-2850. 2003.00620.x 

  4. Crystal, H. (2010). Compassion satisfaction, burnout, and compassion fatigue among emergency nurses compared with nurses in other selected inpatient specialties.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36, 420-427. 

  5. Figley, C. R. (1995). Compassion fatigue. coping with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ose who treat the traumatized. New York, NY: Brunner/Mazel. 

  6. Figley, C. R. (2002). Treating compassion fatigue. New York, NY: Brunner-Routledge. 

  7. Gray-Toft, P., & Anderson, J. P. (1981). Stress among hospital nursing staff: Its cause and effects. Social Science & Medicine, 15, 639-647. 

  8. Gu, M. O., & Kim, M. J. (1984). The development of the stress measurement tool for staff nurses working in the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4, 28-37. 

  9. Hong, G. P. (1984). An analytic study on burnout in relation with personal and job related characteristics and social support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0. Kim, E. H. (1996). The study of job related stress among hospital nurse.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Ewha Womans University, 8 (2), 151-168. 

  11. Kim, H. J. (2011). Emergency nurses'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Compassion satisfaction, burnout,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8, 320-328.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3.320 

  12. Kim, H. J. (2013).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the burnout in clinical nurses based on CS-CF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13. Ko, J. W., & Yom, Y. H. (2003).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 265-274. 

  14. Leihter, M. P. (1993). Burnout as a developmental process: Considerations of models. In W. B. Schaufeli, C. Maslash & T. Marek (Eds.), Professional burnout: Recent developments in theory and research (pp. 237-250). Washington, DC: Taylor & Francis. 

  15. Maslach, C. (1998). A multidimensional theory of burnout. In C. L. Cooper(Ed.), Theories of organizational stress (pp. 24-37). Oxfor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6.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1999, January). Stress at work(Issue No. 99-101). Cincinnati, OH: Author. 

  17. O'Connor, M. F. (2001). On the etiology and effective management of professional distress and impairment among psychologist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32, 345-350. 

  18. Park, H. J. (2009). Emotional labour, emotional expression and burnout of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 , 225-232. 

  19. Robertson, S., & Gow, K. M. (2011). How burned out employees perceive work stress and organizational burnout. In K. M. Gow & C. J. Marek (Eds.), Way finding through life's challenges: Coping and survival (pp. 385-402). New York, NY: Nova Science Publishers. 

  20. Slocum-Gori, S. (2011) Understanding compassion satisfaction, compassion fatigue and burnout: A survey of the hospice palliative care workforce. Palliative Medicine, 27 (4), 172- 178. http://dx.doi.org/10.1177/0269216311431311 

  21. Stamm, B. H. (2002) Measuring compassion satisfaction as well as fatigue: Developmental history of th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fatigue test. Psychosocial stress series. New York, NY: Brunner-Routledge. 

  22. Stamm, B. H. (2009). The concise ProQOL manual (2nd ed.). Pocatello, ID: ProQOL.org. 

  23. Stebnicki, M. A. (2000). Stress and grief reactions among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Dealing effectively with empathy fatigue. Journal of Rehabilitation, 66, 23-29. 

  24. Valent, P. (1995). Survival strategies: A frame work for under standing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coping in helpers. In Figley, C. R. (Ed.), Compassion fatigue: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helper. New York, NY: Brunner- Mazel. 

  25. Yoder, E. A. (2010). Compassion fatigue in nurse. Nursing Research, 23 (4), 191-197. http://dx.doi.org/10.1016/j.apnr.2008. 09.003 

  26. Yoon, G. S., & Kim, S. Y. (2010). Influences of job stress and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 , 507-5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