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실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 공감만족, 소진,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
Emergency Nurses'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Compassion Satisfaction, Burnout,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8 no.3, 2012년, pp.320 - 328  

김현주 (건국대학교병원) ,  최희정 (건국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is the quality one feels in relation to their work as a 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mong emergency nurses. Methods: A total of 15 emergency rooms were selected in three cities. Among 263 nurses working at the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전문직 삶의 질을 구성하는 공감만족, 소진,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 정도를 기술하고 이 개념들을 기준으로 응급실 간호사를 군집화 하였을 때 이들이 나타내는 삶의 질 특성과 그 관련요인을 기술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공감만족, 소진,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의 정도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전문직업인의 삶의 질 유형을 도출, 기술하기 위한 탐색적 조사연구이다. 병원 내 응급실에서 일하는 간호사를 표적모집단으로 하고, 서울, 경기 및 충북의 세 개 지역에 있는 대학병원과 종합병원 응급실을 근접모집단으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진이란? 이는 직무 수행과 관련된 긍정적 차원과 부정적 차원으로 구성되는데, 긍정적인 측면은 공감만족이며, 부정적 측면은 공감피로로서 이는 소진과 외상성 스트레스로 구성된다 (Stamm, 2009). 공감만족은 자신의 직무 혹은 직무 능력이 조직이나 더 큰 사회에 기여함으로써 얻게 되는 긍정적 감정을, 소진은 업무를 수행하고자 하는 노력이 별 효과를 거두지 못하 거나, 업무량이 과다하다거나 혹은 지지적이지 못한 업무 환경에서 점진적으로 발생하는 개인의 에너지 고갈 상태를, 마지막으로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는 외상사건을 경험하는 대상자를 돕는 과정에서 대상자가 경험하는 극도의 스트레스에 이차적으로 노출됨으로써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의미한다(Stamm, 2009). 이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Stamm(2009)이 개발하고 발전시켜 온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Scale (ProQoL): Compassion Satisfaction and Compassion Fatigue version 5를 이용하였다.
공감만족이란? 이는 직무 수행과 관련된 긍정적 차원과 부정적 차원으로 구성되는데, 긍정적인 측면은 공감만족이며, 부정적 측면은 공감피로로서 이는 소진과 외상성 스트레스로 구성된다 (Stamm, 2009). 공감만족은 자신의 직무 혹은 직무 능력이 조직이나 더 큰 사회에 기여함으로써 얻게 되는 긍정적 감정을, 소진은 업무를 수행하고자 하는 노력이 별 효과를 거두지 못하 거나, 업무량이 과다하다거나 혹은 지지적이지 못한 업무 환경에서 점진적으로 발생하는 개인의 에너지 고갈 상태를, 마지막으로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는 외상사건을 경험하는 대상자를 돕는 과정에서 대상자가 경험하는 극도의 스트레스에 이차적으로 노출됨으로써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의미한다(Stamm, 2009). 이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Stamm(2009)이 개발하고 발전시켜 온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Scale (ProQoL): Compassion Satisfaction and Compassion Fatigue version 5를 이용하였다.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전문직 삶의 질을 구성하는 세 변수인 공감만족, 소진및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의 정도를 확인할 뿐만 아니라 이 세가지 요인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전문직 삶의 질 분석을 위해 실시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1) 응급실 간호사의 공감만족, 소진 및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 정도를 기술한다. 2) 공감만족, 소진 및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를 기준으로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별 공감만족, 소진 및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 정도를 기술한다. 3) 전문직 삶의 질 유형 집단 간의 인구학적 특성 및 직무 관련 특성의 차이를 검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bendroth, M., &Flannery, J. (2006). Predicitng the risk of compassion fatigue: A study of hospice nurses.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Nursing, 8(6), 346-356. 

  2. Alexander, M. (2006). Compassion fatigue experienced by emergency department nurses who provided care during and after hurricane season of 2005. Unpublished Master's thesis, Florida State University, Tallahassee, FL. 

  3. Boyle, D. A. (2011). Countering compassion fatigue: a requisite nursing agenda. The Online Journal of Issues in Nursing, 16(1), Manuscript 2. 

  4. Bride, B. E., Radey, M., & Figley, C. R. (2007). Measuring compassion fatigue. Clinical Social Work Journal, 35, 155-163. 

  5. Brooks, B. A., Storfjell, J., Omoike, O., Ohlson, S., Stemler, I., Shaver, J., et al. (2007). Assessing the quality of nursing work life. Nursing Administration Quarterly, 31, 152-157. 

  6. Chase, M. (2005). Emergency department nurses' lived experience with compassion fatigue.Unpublished Master's thesis, Florida State University, Tallahassee, FL. 

  7. Craig, C. D., & Sprang, G. (2010). Compassion satisfaction, compassion fatigue, and burnout in a national sample of trauma treatment therapists. Anxiety Stress and Coping, 23, 319-339. 

  8. de Carvalho, E. C., Muller, M., & Bachion, P. (2005). Stress in the professional practice of oncology nursing. Cancer Nursing, 28, 187-192. 

  9. Dominguez-Gomez, E., & Rutledge, D. N. (2009). Prevalence of secondary traumatic stress among emergency nurses.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35, 199-204. 

  10. Frank, D. I., & Adkinson, L. F. (2007). A developmental perspective on risk for compassion fatigue in middle-aged nurses caring for hurricane victims in Florida. Holistic Nursing Practice, 21, 55-62. 

  11. Hooper, C., Craig, J., Janvrin, D. R., Wetsel, M. A., & Reimels, E. (2010). Compassion satisfaction, burnout, and compassion fatigue among emergency nurses compared with nurses in other selected inpatient specialties.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36, 420-427. 

  12. Joinson, C. (1992). Coping with compassion fatigue. Nursing, 22(4), 116, 118-119, 120. 

  13. Kim, S. J., & Sung, M. S. (1998). Subjective symptoms in fatigue in hospital nur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8, 908-919. 

  14. Lauvrud, C., Nonstad, K., & Palmstierna, T. (2009). Occurrence of post traumatic stress symptoms andtheir relationship to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ProQoL) in nursing staff at a forensic psychiatric security unit: a cross-sectional study.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7, 31. 

  15. Lee, M. A. (2001).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ervice marketing to hospital.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jon University, Daejon. 

  16. Oh, J. H. (2006). Analysis on influence factors of secondary traumatic stress, burnout, and physical symptoms for firefight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17. Potter, P., Deshields, T., Divanbeigi, J., Berger, J., Cipriano, D., Norris, L., et al. (2010). Compassion fatigue and burnout: prevalence among oncology nurses.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14(5), E56-62. 

  18. Robins, P. M., Meltzer, L., & Zelikovsky, N. (2009). The experience of secondary traumatic stress upon care providers working within a children's hospital.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4, 270-279. 

  19. Stamm, B. H. (2002). Measuring compassion satisfaction as well as fatigue: Developmental history of the compassion fatigue and satisfaction test. In C. R. Figley (Ed.), Treating compassion fatigue (pp. 107-119). New York: Brunner/Mazel. 

  20. Stamm, B. H. (2005). The ProQOL manual: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Scale Available from http://www.isu.edu/ -bhstamm/documents/proqol/ProQOL_Manual_Oct05.pdf 

  21. Stamm, B. H. (2009). The concise ProQOL manual Retrieved from ProQOL.org database Available from http://proqol.org/ ProQOl_Test_Manuals.html 

  22. Vagharseyyedin, S. A., Vanaki, Z., & Mohammadi, E. (2011). The nature nursing quality of work life: an integrative review of literature.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33, 786-804. 

  23. Weber, K., & Patterson, B. R. (1996).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communication based emotional support scale. Communication Research Reports, 13, 68-76. 

  24. Yoder, E. A. (2010). Compassion fatigue in nurses. Applied Nursing Research, 23, 191-197.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