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자 선호도를 고려한 음악중재가 척추 마취 환자의 수술 중 불안, 활력 징후 및 혈당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ferred Music Intervention on Anxiety, Vital Signs and Blood Sugar of Surgical Patients Undergoing Operation Using Spinal Anesthesia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20 no.1, 2014년, pp.9 - 20  

정향미 (동의대학교 간호학과) ,  박말영 (동의의료원) ,  이수진 (동의의료원) ,  김남희 (동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eferred music intervention on anxiety, vital signs and blood sugar of surgical patients undergoing spinal anesthesia. Methods: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was carried ou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1; Steelman, 1990)가 대부분이며, 대상자 개개인의 음악선호도와 음량과 같은 디테일을 고려하여 음악중재를 시도한 연구(Kim, 2004)는 드물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음악에대한환자의선호도를고려한수술 중 음악중재가 척추마취수술환자의 불안, 활력징후 및 혈당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에서도 음악의 종류에 대한 선택을 환자에게 주어 친숙하거나아니면좋아하는음악을직접선곡하도록하였다. 또한 이어폰 사용을 통해 수술실 소음의 적절한 통제와 음악이 수술을 집도하는 외과의와 다른 의료인에게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수술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음악중재를 적용함으로써 음악의 효과를 최대한 높이고자 한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상태불안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던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개개인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수술 중 적용한 음악중재가 척추마취 환자의 불안, 활력징후 및 혈당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척추마취 수술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중 선호도를 고려한 음악중재가 환자의 불안, 활력 징후 및 혈당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시행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 설계에 의한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척추마취 수술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중 선호도를 고려한 음악중재가 환자의 불안, 활력징후 및 혈당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인 유사실험연구이다(Table 1).
  • 본 연구에서도 음악의 종류에 대한 선택을 환자에게 주어 친숙하거나아니면좋아하는음악을직접선곡하도록하였다. 또한 이어폰 사용을 통해 수술실 소음의 적절한 통제와 음악이 수술을 집도하는 외과의와 다른 의료인에게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척추마취를 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개개인의 음악선호도를 고려한 음악프로그램을 구성한 뒤 수술 중 음악을 청취하게 하여 불안, 활력징후 및 혈당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1) 제1가설: 수술 중 음악중재를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수술 중 상태불안이 낮을 것 이다.
  • 2) 제2가설: 수술 중 음악중재를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수축기 혈압이 낮을것이다.
  • 3) 제3가설: 수술 중 음악중재를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이완기혈압이 낮을것이다.
  • 4) 제4가설: 수술 중 음악중재를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심박동수가 낮을것이다.
  • 5) 제5가설: 수술 중 음악중재를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혈당이 낮을것이다.
  • 1) 제1가설: 수술 중 음악중재를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수술 중 상태불안이 낮을 것 이다.
  • 2) 제2가설: 수술 중 음악중재를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수축기 혈압이 낮을것이다.
  • 4) 제4가설: 수술 중 음악중재를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심박동수가 낮을것이다.
  • 3) 제3가설: 수술 중 음악중재를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이완기혈압이 낮을것이다.
  • 5) 제5가설: 수술 중 음악중재를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혈당이 낮을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술로 인한 불안이 자율신경계인 교감신경을 활성화시켜 야기하는 것은? 이러한 수술로 인한 불안은 자율신경계인 교감신경을 활성화시켜서 말초혈관 수축, 심박출량 증가, 혈압 증가, 혈당증가, 기관지 확장 등의 생리적 반응을 야기시킨다(White, 1992). 수술 환자의 불안으로 인한 생리적 · 심리적 변화는 수술의 경과와 회복 및 예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되며, 특히 심한 심리적 스트레스는 당뇨병발병 및 악화는 물론 당뇨병의 조절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식이와 운동위주의생활습관의교정후에도당조절에직 · 간접적으로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Llyod, Smith, & Weinger, 2005).
척추마취 수술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중 선호도를 고려한 음악중재가 환자의 불안, 활력 징후 및 혈당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시행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 설계에 관한 본 연구의 결과는? 이상의 연구결과, 환자 선호도를 고려한 음악중재는 척추마취 수술환자의 상태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으나, 활력징후 및 혈당의 변화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와 당조절 간의 관계가 영향을 주는 것은? 수술 환자의 불안으로 인한 생리적 · 심리적 변화는 수술의 경과와 회복 및 예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되며, 특히 심한 심리적 스트레스는 당뇨병발병 및 악화는 물론 당뇨병의 조절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식이와 운동위주의생활습관의교정후에도당조절에직 · 간접적으로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Llyod, Smith, & Weinger, 2005). 스트레스와 당조절 간의 관계는 코티졸, 아드레날린, 글루카곤, 성장호르몬과같은인슐린길항제에영향을주게되며스트레스에의해 올라간 혈당이 충분히 대사될 수 없어서 과혈당이 발생하게 되는것으로설명된다(Lloyd et al.,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rtlett, D., Kaufman, D., & Smeltekop, R. (1993). The effects of music listening and perceived sensory experiences on the immune system as measured by interleukin-a and cortisol. Journal of Music Therapy, 30(4), 194-209. 

  2. Eisenman, A., & Cohen, B. (1995). Music therapy for patients undergoing regional anesthesia. AORN Journal, 62(6), 947-950. 

  3. Hahn, D. W., Lee, C. H., & Chon, K. K. (1996). Korean adaptation of Spielberger's STAI (K-STAI).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1), 1-14. 

  4. Hohener, D., Blumenthal, S., & Borgeat, A. (2008). Sedation and regional anaesthesia in the adult patient. British Journal Anaesthesiology, 100(1), 8-16. 

  5. Hong, S. T. (1994).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vital sign changes of operational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4(3), 337-388. 

  6. Hwang, A. R. (1984). Physiological response to stress. The Korean Nurse, 23(4), 38-48. 

  7. Kaempf, G., & Amodei, M. E. (1989). The effect of music on anxiety. AORN Journal, 50(1), 112-118. 

  8. Kim, J. H., & Baek, S. H. (2008). Effect of tailored music intervention on intra-operative anxiety among those undergoing regional anesthesia.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4(1), 187-198. 

  9. Kim, J. T., & Shin, D. K. (1978). A study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AI for Korea. The New Medical Journal, 21(11), 69-75. 

  10. Kim, K. S. (2005). (The) effects of the closed and open musical therapies studied with spinal and epidural anesthesia operation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11. Kim, M. J., Lee, D. J., Han, M. A., Ha, K. H., Kim, M. C., & Joh, K. H. (2006). The effect of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music on patients of regional anesthesia.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50(4), 444-448. 

  12. Kim, M. J., et al. (2009). Fundamental Nursing. Seoul: Hyunmoonsa. 

  13. Kim, M. S. (2004). (The) effects on anxiety of nursing intervention therapy using music in the patients undergoing regional anesthesia.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14. Kim, Y. M. (2002). (The) effects of nursing information and music therapy on anxiety of the patient undergo operation with epidural anesthesia.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15. Lepage, C., Drolet, P., Girard, M., Grenier, Y., & Degagne, R. (2001). Music decrease sedative requirements during spinal anesthesia. Anesthesia & Analgesia, 93(4), 912-916. 

  16. Lim, Y. S. (2001). Music therapy (Nursing intervention). Seoul: Hyunmoonsa. 

  17. Lloyd, C., Smith, J., & Weinger, K. (2005). Stress and diabetes: A review of the links. Diabetes Spectrum, 18(2), 121-127. 

  18. Mok, E., & Wong, K. Y. (2003). Effect of music on patient anxiety. AORN Journal, 77(2), 396-410. 

  19. Moon, Y. H., Kang, I. S., & Hwang, S. K. (2009). The effect of listening to music on anxiety, sedation, and vital signs of patients undergoing spinal anesthesia.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1(2), 105-113. 

  20. Park, E. J. (2002).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the anxiety and the vital sign of patients with LASIK surgery under local anesthesia.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21. Park, H. S., & Choi, E. S. (1997). Effects of music listening on anxiety in patients before undergoing hysterectom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3(1), 72-81. 

  22. Park, S. H., & Park, K. S. (2000).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the preoperative anxiety of surgical 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2(4), 654-665. 

  23. Smolen, D., Topp, R., & Singer, L. (2002). The effect of self-selected music during colonoscopy on anxiety, heart rate, and blood pressure. Applied Nursing Research, 15(3), 126-136. 

  24. Snyder, M., & Lindquist, R. (2002). Complementary/alterative therapies in nursing. 4th edition.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5. Spielberger, C. D., Gorsuch R, L., & Lushene, R. E. (1970).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Inc,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26. Spintage, R., & Droh, R. (1987). The effects of anxiolytic music on plasma levels of stress hormones in different medical specialties, the four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music. Lant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7. Steelman, V. M. (1990). Intraoperative music therapy: Effect on anxiety, blood pressure. AORN Journal, 52(5), 1026-1034. 

  28. Stevens, K. (1990). Patients' perception of music during surger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5(9), 1045-1051. 

  29. The Kore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2002). Anesthesiology. Seoul: Ryomoongak. 

  30. White, J. M. (2000). State of the science of music interventions. Critical care and perioperative practice. Critical Care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12(2), 219-2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