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조증과 악기능제한 관련 삶의 질
Subjective Xerostomia and Jaw Functional Limitation 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8 no.1, 2014년, pp.87 - 102  

김미경 (대동대학교 간호과) ,  정향미 (동의대학교 간호학과) ,  박공주 (김해대학교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one and its purpose is to understand subjective xerostomia, JFL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nd to apprehend its variable correlation and variables which influence on the OHRQOL. Subjects in this study were over 65-year-old the elderly in city B and the d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조증과 악기능 제한 관련 삶의 질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인구의 고령화와 경제수준 향상으로 노인건강, 특히 구강질환예방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관심의 증가는 이들이 구강기능저하 및 구강건조증 등으로 인한 구강질환발생 취약 대상자이기 때문이다[5].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구강건조증, 악기능 제한 및 구강관련 삶의 질을 파악하고, 이들 변수 간의 상관관계와 구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파악하고자 함이며 구체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조증과 악기능제한 관련 삶의 질을 파악하고 관련요인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노인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킬 수있는 구강보건교육 및 간호중재프로그램의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질환예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한 배경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조증과 악기능 제한 관련 삶의 질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인구의 고령화와 경제수준 향상으로 노인건강, 특히 구강질환예방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관심의 증가는 이들이 구강기능저하 및 구강건조증 등으로 인한 구강질환발생 취약 대상자이기 때문이다[5]. 많은 노인들이 구강질환과 관련하여 일상생활의 다양한 문제들을 경험하며, 특히 구강건강이 나쁘면 구강의 기능, 외모 등 신체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대인관계 및 사회적인 문제, 심리적인 문제 등을 일으켜 궁극적으로 개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노인의 구강상태가 나쁠 때 어떤 문제를 일으키는가? 인구의 고령화와 경제수준 향상으로 노인건강, 특히 구강질환예방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관심의 증가는 이들이 구강기능저하 및 구강건조증 등으로 인한 구강질환발생 취약 대상자이기 때문이다[5]. 많은 노인들이 구강질환과 관련하여 일상생활의 다양한 문제들을 경험하며, 특히 구강건강이 나쁘면 구강의 기능, 외모 등 신체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대인관계 및 사회적인 문제, 심리적인 문제 등을 일으켜 궁극적으로 개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구강건강은 노인의 생명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지만 구강상태는 건강과 안녕의 모든 측면과 관련되어 있다[2].
구강건강상태는 무엇으로 나눌 수 있는가? 구강건강상태는 객관적 구강건강상태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로 나눠 설명할 수 있는데 객관적 구강건강상태는 전문가가 객관적인 입장에서 관찰한 구강건강상태를 말하며,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는 본인이 인지하는 구강건강상태를 말한다. Gilbert[8는 자기 자신의 구강상태에 대한 평가와 자신의 치아에 대한 만족이 근거가 되어 자신의 어떤 행동에 필요한 인식이 결정된다고 하여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OSIS(2013),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http://kosis.kr). 

  2. E.W. Gerdin, S. Einarson, M. Jonsson, K. Aronsson, I. Johansson(2005), Impact dry mouth conditions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older people, Gerodontology, Vol.22(4);219-226. 

  3. S.F. Cassolato, R.S. Tumbull(2003), Xerostomia: clinical aspects and treatment, Gerodontology, Vol.20(2);64-77. 

  4. H.J. Jang, S.H. Baik, A.J. Kim, S.H. Jung, O.S. Kim, S.H. Kim(2006), The effect of xerostomia on perceived oral health among elderly people wearing dentures,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Dental Health, Vol.30(4);438-446. 

  5. M.S. Park, S.A. Ryu(2010), Degree of dry mouth and factors influencing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community-dwelling elder, Journal of Academy of Nursing, Vol.40(5);747-755. 

  6. J.H. Jang, S.H. Kim(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Xerostomia and Depression in Elderly People,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24(3);51-60. 

  7. K. Ikebe, K. Matsuda, K. Morii, M. Wada, T. Hazeyama, T. Nokubi, R.L. Ettinger(2007), Impact of dry mouth and hyposalivation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lderly Japanese, Oral Surgery, Oral Medicine, Oral Pathology, and Endodonitics, Vol.103(2);216-222. 

  8. L. Gilbert(1994), Social factors and self-assessed oral health in south Africa, Communty Dent Oral Epidemiol, Vol.122;47-51. 

  9. H.S. Gwon, G.J. Park, J.H. Lee, H.S. Yi, B.G. Choe(2007), Dental Clinical Psychology, Seoul: gomunsa, pp.23-27. 

  10.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2012), Health, United States, 2011: With Special Feature on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2012, (http://www.cdc.gov/nchs/data/hus/hus11.pdf). 

  11. Y.J. Choi, S.J. Kwon, H.W. Ryu(2012), The Effect of Geriatric Oral Health on Health Status and Social Activity in Ulsan Provinc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6(1);185-193. 

  12. J.Y. Lee, Y.O. Lee, H.S. Kho(2005), Reliability of a Questionnaire for Evaluation of Dry Mouth Symptoms, Korean academy of orofacial pain and oral medicine, Vol.19(2);25-44. 

  13. R. Ohrbach, T. List(2002),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jaw functional limitation Epidemiology and Diagnosis, Vol.81;1023. 

  14. Y.M. Ko(2013), Xerostomia, mood states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among the elderly out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pp.34-38. 

  15. G.R. Lee(2008), Dental hygiene : The impact of DMFT index on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Vol.32(3);306-404. 

  16. J.U. Baek, E.M. No(2010), The Effect of Oral Health of the Elderly on their Social Efficacy and Personal Relations, Korea Institute of Clinical Social Work, Vol.7(3);1-16. 

  17. J.S. So(2005), Prevalence and severity of dry mouth in the Korean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cti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pp.23-30. 

  18. J.H. Lee(2006), Dry mouth in the Korean elderly : associate factors, and impacts on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pp.10-12. 

  19. K.J. Ryu(2009), The Relevance between level of Oral Health and Oral Health-related Life Quality among the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ction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pp.24-31. 

  20. H.J. Kim(2004),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Industrial Workers' Oral Health Evaluation Using OHIP, Unpublished doctoral dissection of Keimyung University, pp.36-49. 

  21. J.A. Jung(2007), Korean Oral Health Impact Profile-14 and Related factors in elderly people, Unpublished doctoral dissection of Chosun University, pp.15-27. 

  22. E.H. Kim(2010), An Investigative Study on the Necessit of the Elderly Concerning Their Subjective Oral Health Condition and Oral Health Care, Manage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ction of Keimyung University, pp.18-31. 

  23. J.E. Cho(2013), The young-old and old-old people's oral health condition and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HIP-14),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book National University, pp.14-22. 

  24. Y.O. Nam(2010), A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oral health care status and QOL and IADL of the elderly,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dental health, Vol.34(3);362-371. 

  25. H.G. Ryu, H.J. Lim, H.S. Kim, H.K. Kang(2012), A Study on the Effects of Perceived Oral Symptoms and Masticatory Performance on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in an Urban Area,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6(1);15-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