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절염 노인의 우울위험요인
Risk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mong Elderly with Arthritis in Korean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8 no.1, 2014년, pp.103 - 112  

김혜령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  임현희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its affecting factors among a community dwelling elderly with Arthritis in Korea. A total of 4,050 subjects from the 2008 Korean National Older Adults Life Survey were selected. Th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omp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08년 노인실태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관절염을 진단받은 노인의 우울 유병률과 그 위험요인을 확인함으로서 관절염 노인 가운데 우울로 인한 위기를 경험할 수 있는 인구를 파악하는데 기여하였다.
  • 본 연구는 2008년도 노인실태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60세 이상 관절염이 있는 노인의 우울 유병률을 확인하고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에 착안하여 국내에서 관절염을 갖고 있는 노인의 우울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러한 시도를 하는데 있어서 관절염 노인의 우울에 관한 종래의 일관성 없는 결과들이 산출된 이유를 기존 연구들 대부분이 편의표집에 의한 것으로 보고 본 연구에서 전국노인을 대표하는 표본을 이용 하여 관절염을 가진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2008년 노인실태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국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관절염을 가진 노인의 삶에 위기를 초래하는 우울의 위험요인을 파악하고자 선행연구에서 일관성 있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는 ADL제한과 통증 외에도 일관성이 없는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는 연령, 성별, 교육수준, 배우자 동거여부,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로 측정한 비만도를 선택 하여 우울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관절염과 관련 있는 요인들을 파악함으로서 한국에서 관절염을 갖고 살아가는 노인들 중 우울 고위험인구를 파악하는데 필요한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2008년 노인실태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관절염을 진단받은 노인의 우울 유병률과 그 위험요인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관절염을 앓으며 살아가는 노인 중 전문대학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진 노인에 비해 무학인 노인, ADL제한이 있는 노인, 과거 또는 현재 흡연을 하는 노인이 우울 고위험인구로 추정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2008년 노인실태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60세 이상이면서 의사로부터 관절염을 진단받았다고 자가 보고한 노인을 대상으로 우울 유병률과 위험요인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을 이용한 모수추정을 위하여 SPSS 19.
  • 본 연구 대상자의 우울 유병률의 위험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선택한 8개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특성들 모두 Rao-scott chi-square검정에서 관절염을 진단받은 노인의 우울 유병률에 영향을 주었으나,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교육수준에서 무학, ADL제한 여부, 흡연 등 3개 요인만이 우울 유병률의 위험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울에 독립적인 영향을 미치는 여부를 판단한다는 점에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국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관절염을 가진 노인의 삶에 위기를 초래하는 우울의 위험요인을 파악하고자 선행연구에서 일관성 있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는 ADL제한과 통증 외에도 일관성이 없는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는 연령, 성별, 교육수준, 배우자 동거여부,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로 측정한 비만도를 선택 하여 우울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관절염과 관련 있는 요인들을 파악함으로서 한국에서 관절염을 갖고 살아가는 노인들 중 우울 고위험인구를 파악하는데 필요한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60세 이상 관절염을 진단받은 노인의 우울 유병률과 위험요인을 파악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에 착안하여 국내에서 관절염을 갖고 있는 노인의 우울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러한 시도를 하는데 있어서 관절염 노인의 우울에 관한 종래의 일관성 없는 결과들이 산출된 이유를 기존 연구들 대부분이 편의표집에 의한 것으로 보고 본 연구에서 전국노인을 대표하는 표본을 이용 하여 관절염을 가진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2008년 노인실태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http://www.cdc.gov/arthritis/basics.htm 

  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2005), Racial/Ethnic Differences in the Prevalence and Impact of Doctor-Diagnosed Arthritis: United States, 2002, http://www.cdc.gov/mmwr/preview/mmwrhtml/mm5405a3.htm 

  3. Ministry of Health & Welfare(2007), Key indicators for Health Investment Strategy, http://stat.mw.go.kr/front/statData/publicationView.jsp?bbsSeq13&menuId47&nPage7&nttSeq9903&searchKey&searchWord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Family Affairs(2009), 2008 Report on the Korean National Older Adults Life Survey, pp.302-438. 

  5. R.C. Choi, H.J. Moon, B.D. Hwang(2010), The Infiuence of Chronic Disease on the Stress Cognition, Depression Experience and Suicide Thoughts of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4(2);73-84. 

  6. World Health Organization(2006), Disease Abuse Disorders: World Health Report, Mental health, New Understanding, New Hope, Geneva: Author, pp.1-20. 

  7. S.E. Kim, S.A. Kim(2013), A Predictive Model of Depression in Rural Elders-Decision Tree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3(3);442-451. 

  8. J.C. Lee, J.A. Park, N.K. Bae, Y.C. Cho(2008), Factors Related to Depressive Symptoms among the Elderly in Urban and Rural Areas, Jounal of Agricultureal Medicine Community Health, Vol.33(2);204-220. 

  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Family Affairs(2012), 2011 Report on the Korean National Older Adults Life Survey, pp.281-344. 

  10. S.J. Ko(2011), Medical Care Expenditures and Utilizations for Depressed Adults with Chronic Disease, Health-welfare Policy Forum, Vol.128;24-31. 

  11. J.S. Won, K.H. Kim(2008), Evaluation of Cognitive Functions,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Receiving Visiting Nursing Servic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8(1);1-10. 

  12. S.S. Han, S.H. Jeong, S.W. Kang(2013), An Association between Spouse Satisfaction and Depressive Symptom among the Middle-aged and Elderly Couple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7(1);59-68. 

  13. J.Y. An, Y.R. Tak(2009), Depressive Symptoms and Related Risk Factors in Old and Oldest-old Elderly People with Arthrit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9(1);72-83. 

  14. Y.J. Lee(2011), A Study on the Effects of Pain, Sleep, Life Satisfaction on Depression in Elderly Women with Osteoarthriti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1(2);211-222. 

  15. J.H. Chun, H.J. Lee, M.H. Kim, J.S. Shin(2003), Predictors of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Older Adults with Osteoarthritis, Jou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Vol.15(4);650-659. 

  16. G.A. Hawker, M.A Gignac, E. Badley, A.M. Davis, M.R. French, Y. Li, A.V. Perruccio, J.D. Power, J. Sale, W. Lou(2011), A Longitudinal Study to Explain the Pain-depression Link in Older Adults With Osteoarthritis, Arthritis Care & Research. Vol.63(10);1382-1390. 

  17. I.Y. Yoo(2008), Depression, Cognitive Impairment Level and Classification of LOC of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with Arthritis, The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 System Korea, Vol.15(4);565-572. 

  18. J.E. Sale, M. Gignac, G. Hawker(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Disease Symptoms, Life Events, Coping and Treatment, and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with Osteoarthritis, The Journal of Rheumatology, Vol.35(2);335-342. 

  19. L.B. Murphy, J.J. Sacks, T.J. Brady, J.M. Hootman, D.P. Chapman(2012),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US Adults with Arthritis: Prevalence and Correlates, Arthritis Care & Research, Vol.64(7);968-976. 

  20.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1994), Quick Reference to the Diagnostic Criteria from DSM-IV, pp.134-172. 

  21. J.I. Sheikh, J.A. Yesavage(1986),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Clinical Gerontologist, Vol.5;165-173. 

  22. M.J. Cho, J.R. Bea, K.H. Seo, B.J. Ham, J.K. Kim, D.W. Lee, M.H. Kang(1999), Valid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GDS)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38(1);48-63. 

  23. C.W. Won, Y.G. Rho, S.Y. Kim, B.R. Cho, Y.S. Lee(2002),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K-ADL) Scale,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Vol.6(2);98-1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