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추를 첨가한 드레싱의 제조 및 품질특성
Processin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ad dressing using jujube puree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1 no.2, 2014년, pp.187 - 192  

남궁란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박상아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안소정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영현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한수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영근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성종환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헌식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추를 첨가한 드레싱의 제조와 대추퓨레의 첨가량이 드레싱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과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드레싱은 생대추를 박피, 제심하고 스팀 블랜칭, 마쇄하여 퓨레를 제조하고 이의 첨가량이 0, 10, 20, 30, 40, 50%가 되게 간장, 식초, 올리고당, 올리브유, 물 등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드레싱의 색도 중 $L^*$값은 대추퓨레 10% 첨가구를 제외한 나머지 대추퓨레 첨가구들이 무첨가구 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a^*$값은 대추퓨레 첨가구가 무첨가구의 수치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대추퓨레 첨가구 간에는 첨가량에 따라 수치가 비례적으로 증가함을 보였고, $b^*$값은 대추퓨레 첨가구가 무첨가구 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총산도는 대추퓨레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짐을 보였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대추퓨레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져 50%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점도는 대추퓨레 첨가구가 무첨가구 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첨가구에서는 첨가량에 비례하여 점도가 증가하였다. 총페놀 함량은 대추퓨레의 첨가량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함을 보였다. 항산화능의 척도인 DPPH radical 소거능은 대추퓨레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드레싱의 색, 냄새, 맛, 질감 및 종합적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전반적으로 대추퓨레 첨가구가 무첨가가 보다 좋게 평가되었고, 모든 평가 항목에서 대추퓨레 30%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이로써 대추퓨레를 첨가한 드레싱의 제조가 가능하였고, 드레싱의 항산화능과 관능적 품질특성을 고려한 대추퓨레의 첨가량은 30% 정도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alad dressing using jujube (Zizyphus jujuba Miller) puree and to evaluate the processin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alad dressing containing various amounts (0, 10, 20, 30, 40, and 50%) of jujube puree. Jujube puree was prepared by crushing peeled, d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 약용 및 건강식품인 대추를 활용한 샐러드 드레싱을 개발하고자, 대추 첨가 드레싱의 제조 가능성 검토와 대추퓨레 첨가량이 드레싱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건강 기능성과 관능적 기호도 모두를 만족하는 제조조건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추퓨레의 첨가량에 따른 드레싱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대추퓨레의 첨가량에 따른 드레싱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는 Table 1에 나타내었다.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대조구가 33.51이였으며 대추퓨레 첨가구는 대추퓨레가 10%일 때 30.79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퓨레의 양이 40%일 때 44.1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적색도인 a*값은 대조구가 17.42였으며 대추퓨레 첨가구는 2.44~5.62로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대추퓨레 첨가량에 비례적으로 수치가 높아져 50% 첨가구가 5.6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황색도인 b*값은 대조구가 20.80이였으며 대추퓨레 첨가구는 9.24~19.41로 나타났으며 10% 첨가구에서 9.24로 가장 낮은 수치를 40%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대추퓨레 첨가에 따른 전반적인 드레싱의 색도변화는 L*값은 첨가량에 따라 수치가 낮아졌다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a*값과 b*값은 퓨레 첨가량에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대조구 보다는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이로써 대추퓨레의 첨가량이 드레싱의 색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추는 한의학과 민간요법에서 어떻게 불려 지는가? 대추는 갈매나무과(Rhamnace)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의 열매로서 중국계는 Zizyphus jujuba Miller라하고 인도계는 Zizyphus mauritiana LAM이라 하며, 원산지는 아시아 동부 및 남부 지역과 유럽 남부 지역이며, 국내에서는 중국계 재래종인 복조, 보은, 산조 등의 품종이 주로 재배되고 있다(16). 대추는 전통적으로 감, 밤과 함께 우리의 생활 문화속에 깊이 침투해 있는 과실이며, 한의학과 민간요법에서 대조, 건조, 미조, 홍조, 산조 등으로 불려 지기도 하며, 약리작용으로는 불안, 불면, 심장쇠약, 위경련, 순환계질환, 간염, 간경화, 빈혈, 식욕부진, 신경쇠약 및 히스테리, 근육급박증상, 담즙증, 기관지염, 결핵, 출혈성질환 등에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생식되거나 건과로서 약용 및 가공식품 재료로 이용된다(16,17). 국내·외 대추 관련연구로는 대추 열매와 잎의 이화화적 및 식품학적 특성조사, 생·건대추의 포장 및 저장기간 연장기술 개발, 대추열매의 건조기술 개발 및 대추 열매의 건강 기능성 효과규명 등에 집중되어 있다(17-24).
대추의 약리효과는? 대추는 갈매나무과(Rhamnace)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의 열매로서 중국계는 Zizyphus jujuba Miller라하고 인도계는 Zizyphus mauritiana LAM이라 하며, 원산지는 아시아 동부 및 남부 지역과 유럽 남부 지역이며, 국내에서는 중국계 재래종인 복조, 보은, 산조 등의 품종이 주로 재배되고 있다(16). 대추는 전통적으로 감, 밤과 함께 우리의 생활 문화속에 깊이 침투해 있는 과실이며, 한의학과 민간요법에서 대조, 건조, 미조, 홍조, 산조 등으로 불려 지기도 하며, 약리작용으로는 불안, 불면, 심장쇠약, 위경련, 순환계질환, 간염, 간경화, 빈혈, 식욕부진, 신경쇠약 및 히스테리, 근육급박증상, 담즙증, 기관지염, 결핵, 출혈성질환 등에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생식되거나 건과로서 약용 및 가공식품 재료로 이용된다(16,17). 국내·외 대추 관련연구로는 대추 열매와 잎의 이화화적 및 식품학적 특성조사, 생·건대추의 포장 및 저장기간 연장기술 개발, 대추열매의 건조기술 개발 및 대추 열매의 건강 기능성 효과규명 등에 집중되어 있다(17-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Kim MH, Lee SJ, Kim HH (2001) A study on consumer's preference and use patterns of salad dressing.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1, 345-355 

  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2) Food Code (elsebook), Korea 

  3. Yang JS (2008) Sensory characteristics of dressing with Lycil fructus and Comus offcinalis. MS Thesis, Kyunghee University, Korea, p 2-27 

  4. Jung SJ, Kim NY, Jang MS (2008) Formulation optimization of salad dressing added with Bokbunja (Rubus coreanum Miquel)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497-504 

  5. Jung HA, Kim AN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oak mushroom salad dressing.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669-676 

  6. Shin KE, Choi SK, Kim DS (2011)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alad dressing prepared from soy powder Gochujang.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235-242 

  7. Yim SB, Kim CR, Jeon HL, Kim HD, Lee SW, Kim MR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ad dressing prepared with mulberry, Schisandra chinensis and Discorea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 613-623 

  8. Jo HA, Kim HY, Ko SH (2010) Qualitative evaluation of the salad dressing added with Prunus mume Extrac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551-559 

  9. Shin MH, Kim JG, Kang KO (2008)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alad dressings containing chicken foot gelati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58-63 

  10. Xhin Z, Yang YH, Cho YS, Chun HK, Song KB, Kim MR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irulina-added salad dressing.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5, 292-299 

  11. Kim MH, Lee YJ (2002) A study on standardizing a recipe for kiwi salad dressing.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2, 407-414 

  12. Jung HA, Park SH, Kim AN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ginger salad dressing. Korean J Culinary Res, 19, 167-175 

  13. Lee WG, Lee JA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dressing prepared with blueberry juice. Korean J Culinary Res, 18, 255-265 

  14. Hong JY, Choi YJ, Kim MH, Shin SR (2009) Study on the quality of apple dressing sauce added with pine mushroom (Tricholoma matsutake Sing) and chitosan. Korean J Food Preserv, 16, 60-67 

  15. Kim MH, Lee YJ, Kim DS, Kim DH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uits dressing.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165-173 

  16. Choi KS (1990). Changes in physi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jujube fruits var. Bokjo during maturity and postharvest ripening. J Resour Develop, 9, 47-53 

  17. Kim IH, Jeong CH, Park SJ, Shim KH (2011) Nutri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jujube fruit and leaf. Korean J Food Preserv, 18, 341-348 

  18. Hong JY, Nam HS, Shin SR (2012)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pe and dry jujube fruits. Korean J Food Preserv, 19, 87-94 

  19. Song J, Lee KS, Kang HA, Chang KS (1998) Storage stability of fresh jujube frui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272-277 

  20. An DS, Lee DS (1997) Quality deterioration of dry jujube packaged in different water permeability conditions. Food Eng Prog, 1, 168-173 

  21. Kim SJ, Chung HS, Lee BY, Kim SD, Youn KS (2004) Quality improvement of dried jujubes through selected pre-treatments. Food Sci Biotechnol, 13, 406-410 

  22. Kim SH, Oh SR, Jung JW, Kim SJ (2011) Zizyphus jujube ameliorate DSS-induced colitis in mice. J East-West Medicine, 36, 129-140 

  23. Li JW, Fan LP, Ding SD, Ding XL (2007) Nutritional composition of five cultivars of chinese jujube. Food Chem, 103, 454-460 

  24. Gao QH, Wu CS, Yu JG, Wang M, Ma YJ, Li CL (2012) Textural characteristic, antioxidant activity, sugar, organic acid, and phenolic profiles of 10 promising jujube selections. J Food Sci, 77, C1218-C1225 

  25. Min YK, Lee MK, Jeong HS (1997)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jujube alcoholic beverage from different additional level of jujube fruit. Agric Chem Biotechnol, 40, 433-437 

  26. An DS, Woo KL, Lee DS (1997) Processing of powdered jujube juice by spray drying. J Korean Soc Food Sci Nurt, 26, 81-86 

  27. Hong JS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Daechupyun by the addition of jujube paste. Korean J Soc Food Sci, 18, 677-683 

  28. Kim EJ, Lee JH (2012) Quality of muffins made with jujube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rt, 41, 1792-1797 

  29. Singleton VL, Rossi JA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gents. Am J Enol Vitic, 16, 144-158 

  30.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4 

  31. Lee JH, Kwon KI, Bae JH (2005)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ead dough added with jujube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590-596 

  32. Ahn JB, Choi SH, Kim HR, Park ML. Lee SH, Kim DS (2012) Development of Teriyaki sauce added with jujube concentrate (Ziziphus jujube Miller) extracts. Korean J Culinary Res, 18, 239-251 

  33. Scalbert A, Williamson G (2000) Dietary intake and bioavailability of polyphenols. J Nutr, 130, 2073-2085 

  34. Yu MH, Im G, Lee HJ, Ji YJ, Lee IS (2006) Component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sarcocarp and seed of Zizyphus jujuba var. inermis Reh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128-1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