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57BL/6N 마우스 탈모모델에서 미세다륜침과 영지추출물이 모발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noderma Lucidum Extract Ethanol Extract and Microneedle Therapy System on Hair Growth in an Alopecia Model of C57BL/6N Mice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28 no.2, 2014년, pp.72 - 87  

주봉현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교실) ,  유선애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교실) ,  강경화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생리학교실) ,  이승연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anoderma lucidum extract (GLE) and microneedle therapy system (MTS) on hair growth in an alopecia model of C57BL/6N mice. Methods Five-week old mice were depilated and separated in 4 groups ; CON (50% EtOH), MXD (5% Minoxidil), M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에서 사용한 약물과 도구가 부작용 및 스트 레스를 유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체중과 장기무게의 변화를 관찰했다. 장기적 반복적 스트레스 자극은 corticosterone의 증가와 체중의 감소를 유발하고31), 약물 의 독성은 장기무게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 . 본 실험에서는 CON군과 비교시 MTS군 에서 발모에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점을 볼 때, 피부에 인위적으로 무수히 많은 미세한 구멍을 만드는 것이 새로운 콜라겐 섬유의 합성을 유도하여, 상처를 치유하는 동시에 모낭의 재생을 돕고, 기능을 활성화 시켜 발모에 영향을 끼침을 알 수 있었다.
  • 영지는 임상에서 다용되는 재료이나 탈모관련 임상 증례만 보고되고 있고12), 실험적 연구는 보고된 바가 없 기에 새로운 탈모치료제 개발 및 미세다륜침과 같이 사 용했을 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 영지추출물은 임상에서 다용되는 재료이나 탈모 치료에 있어 그 효능 측정이나 치료기전 탐색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는 현재까지 없었고, 특히 영지추출물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미세다륜침을 활용한 치료법에 대한 효과를 검정한 연구는 없었기에 본 연구를 진행하였고, 유효한 효과를 얻었기에 보고 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탈모란? 탈모는 모발이 존재해야할 부위에서 탈락되는 상태 를 의미하는 것으로 반흔성과 비반흔성으로 구분되며 반흔성 탈모증은 모낭이 파괴되고 섬유화되어 영구적 인 탈모로 이어지고 비반흔성 탈모증은 조직의 섬유화 없이 모낭이 그대로 보존되는 질환으로서 휴지기 탈모 증, 원형 탈모증, 생장기 탈모증 등이 있다1).
탈모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탈모는 모발이 존재해야할 부위에서 탈락되는 상태 를 의미하는 것으로 반흔성과 비반흔성으로 구분되며 반흔성 탈모증은 모낭이 파괴되고 섬유화되어 영구적 인 탈모로 이어지고 비반흔성 탈모증은 조직의 섬유화 없이 모낭이 그대로 보존되는 질환으로서 휴지기 탈모 증, 원형 탈모증, 생장기 탈모증 등이 있다1).
모발성장을 촉진하는 약물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어떠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가? 현재 모발성장을 촉진하는 약물로서 미국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에서 공인받은 것으로 Minoxidil 과 Finasteride의 두가지가 있으나11), 발모 및 탈모방지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평생 동안 지속적 인 사용이 요구되며, 장시간 사용시 부작용과 지속의 어려움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되는 실정이다. 이에 따 라 최근에는 천연물 소재를 이용한 치료제에 대한 관 심이 커지고 있고 아울러 한약재를 이용한 탈모치료의 실험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12-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hn SG, Jang KH, Song JW, Cheon SH. Common Skin Disease 2nd ed. Seoul: Doctor's Book. 2009:496-8. 

  2. Mun JB, Kim YJ, Lee TA. TCM objective evaluation of the effect of alopecia treatment. Korean J Med. 2006: 57-69. 

  3. Hanneken S, Ritzmann S, Nothen MM, Kruse R. Androgenetic alopecia. current aspects of a common phenotype. Hautarzt. 2003;54(8):703-12. 

  4. Lee SI, Ahn DS, Shin MS. Korean medicine clinical application. Seoul: Seongbosa. 1982:399-401. 

  5. Stem KS. The molecular and structural biology of hair, introduction. Ann NY Acad Sci, xii-xiii. 1991. 

  6. Kim DH. Huangdi's internal classic annotation. Seoul: EusSungdang. 2001:14, 18, 236. 

  7. Ge Hong. Handbook of prescriptions for emergencies. Beijing: Commercial Press. 1998:500. 

  8. Ding GI. Treatise on the pathogenesis and manifestations of all diseases. Beijing: People's Health Publishing. 1991:763, 765, 772. 

  9. Zhen BG. Orthodox manual of external medicine. Beijing: Chinese Parmaceutical Science Press. 2002:987. 

  10. Jang HY, Choi KH, Kim SH, Kwon KR, Kim BY. Bibliographic studies of depilation. J Pharmacopuncture. 2002;5(2):92-108. 

  11. Rumsfield JA, West DP, Fieldler-weiss VC. Topical minoxidil therapy for hair regrowth. Clin Pharm. 1987; 6(5):54-67. 

  12. Ju BH, Choi YK, Yu SA, Lee SY. A case report on child with different types of alopecia. J Pediatric Korean Med. 2013;27(3):53-64. 

  13. Lee SY, Kho JM, Lee SY, Lee MH, Kim YJ, Lee SH, Yu SY, Jeung JY, Khun HJ, Lee YH. A case study of beevenom effect on alopecia universalis started from alopecia areata. The Acupuncture. 2008;31(1):163-73. 

  14. Hong JA, Kang SJ, Jang JY, Kang YR. A Clinical trialon efficacy of Gagamcheongyongtang in the alopecia patient with febrile tendency. J Korean Orient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3;26(2):19-29 

  15. Do EJ, Hwang MY, Kim SY, Lee JS, Yang DS, Yang JH, Kim MR. The effect of Gyungokgo-gamibang extract on hair growth and protein expression in mice. Korean J Herbology. 2001;26(4):9-14. 

  16. Na HY, Lee MW, Jeong HS, Kwon J, Lee KG, Lee CH. Experimental studies on hair growth effects of cortex mori radicis in hair removed C57BL/6N mice. Korean J Orient Physiol Pathol. 2006;20(2):428-35. 

  17. Kim YJ, Jung HC, Jung HT, Choi KY, Yun YG, Jang SI. Hair growth promoting effect of thuja orientalis ethanol extracts on hair loss-induced DBA1J mice. Korean J Orient Physiol Pathol. 2004;18(5):1471-5. 

  18. Jeong IK, Jo HY, Kim TH, Kim NS, Jeong HS, Lee CH. Experimental studies on the hair growth activity of extracts of pinelliae rhizoma in spontaneous alopecia model and normal C57BL/6N mice. Korean J Orient Physiol Pathol. 2009;23(1):84-92. 

  19. Jeong SY, Jeong IK, Kim DK, Jo HY, Jeong HS, Lee CH. Experimental studies on the hair growth activity of drynariae rhizoma extracts in C57BL/6N mice. Korean J Orient Physiol Pathol. 2007;21(2):453-61. 

  20. Kwon KS, Lee MW, Jeong IK, Jeong HS, Song BY, Song JM, Lee CH. Experimental studies on the hair growth activity of fractions and extract of arisaematis rhizoma in C57B/6N mice. Korean J Orient Physiol Pathol. 2009;23(3):619-30. 

  21. Lee JS, Kim SN. A survey of the status of hair loss product use, hair loss treatment and satisfaction level. J Fashion Bus. 2007;11(2):76-91. 

  22. Benmously Mlika R, Ben Hamida M, Hammami H, Dorbani Ben Thabet I, Rouatbi M, Mokhtar I. Long-pulsed Nd:YAG laser in the treatment of facial hypertrichosis during topical minoxidil therapy. J Cosmet Laser Ther. 2013;15(4):217-8. 

  23. Melcangi RC, Caruso D, Abbiati F, Giatti S, Calabrese D, Piazza F, Cavaletti G. Neuroactive steroid levels are modified in cerebrospinal fluid and plasma of post-finasteride patients showing persistent sexual side effects and anxious/depressive symptomatology. J Sex Med. 2013;10(10):2598-603. 

  24. Olsen EA ed. Disorders of hair growth : diagnosis and treatment. NY: McGraw-Hill. 1994:39-58. 

  25. Mark RP. Microneedles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Adv Drug Deliv Rev. 2004;56(5):581-7. 

  26. Al-Qallaf B, Das DB. Optimizing microneedle arrays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extension to non-square distribution of microneedles. J Drug Target. 2009;17(2): 108-22. 

  27. Aust MC, Fernandes D, Kolokythas P, Kaplan HM, Vogt PM. Percutaneous collagen induction therapy: an alternative treatment for scars, wrinkles, and skin laxity. Plast Reconstr Surg. 2008;121(4):1421-9. 

  28. The Herbology Professors in the of colleges of Oriental Medicine in Korea. Herbology(5th edition). Seoul: YoungLim Co. 1999:498-9. 

  29. Kang KH, Yoon HM. Study on anti-allergic effecst of Ganoderma lucidum herbal acupuncture and Ganoderma lucidum extract. J Pharmacopuncture. 2007;10(3): 37-46. 

  30. Kim JH, Park HY, Jung MY, Choi EH. Dermal proliferative effect and safety of Automicroneedle Therapy System(AMTS). Korean J Dermatol. 2010;48(11):955-65. 

  31. Jang HY. Body weight gain and corticosterone changes in response to acute and chronic stress in rats. Seoul: KyungHee University. 2004:9-13. 

  32. Kong MK. Effects of black sesame oils on hair growth in C57B/6N mice. Daegu: Keimyung University. 2008:37. 

  33. Ryoji T. Growth factors and hair growth. Korean Soc investig Dermatol. 1997;4(2):103-8. 

  34. Ahn SY, Long-Quan Pi, Hwang ST, Lee WS. Effect of IGF-I on hair growth is related to the anti-apoptotic effect of IGF-I and up-regulation of PDGF-A and PDGF-B. Ann Dermatol. 2012;24(1):26-31. 

  35. Gonul M, Gul U, Cakmak S, Kilinc C, Kilinc S. Prolactin levels in the patients with alopecia areata. J Eur Acad Dermatol Venereol. 2009;23(11):1343-4. 

  36. Back SH, Yoon JB, Sim WY, Haw CR. Effects of vase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s on hair growth in vitro. Korean J Dermatol. 1999;37(1):23-3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