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건설기업의 해외건설능력 평가체계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System for Overseas Business Capability of Construction Firms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4 no.3, 2014년, pp.977 - 987  

장우식 (연세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양해범 (현대중공업(주) R&D기획부 기술기획팀) ,  한승헌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외건설 시장은 건설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정부의 지원 아래 괄목할만한 성장을 해왔으며, 해외진출 50여년 만에 6000억 불 수주를 돌파하였다. 이러한 양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해외건설기업에 대한 명확한 평가기준의 부재로 인해 정부 및 유관기관에서는 지원 대상 및 주요 사업자 선정이 어려웠으며, 해외 발주자들의 건설기업 평가자료 요구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웠다. 더욱이 건설기업들 조차도 자사의 해외공사 수행능력에 대한 판단이 미흡하여 합리적인 해외진출 의사결정이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해외건설능력 평가에 대한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현행 평가체계 및 관련 연구를 분석하여 새로운 평가체계의 개발방향을 제시하였다. 해외건설에 필요한 기업의 능력을 총 15회의 인터뷰를 통해 해외 발주자 대기업 중견기업의 관점 별로 분석하고, 설문 및 자문을 통해 평가 항목의 적절성, 계량화 가능성, 자료 획득 가능성의 세 가지 기준을 충족하는 31개 주요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이후 국내 건설기업 24개 업체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여 적용 가능성을 검토 받았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평가체계는 기존 평가 제도의 단점을 보완하여 해외건설능력 평가 기준의 명확화를 통한 적격 업체 선정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결과적으로 기업 자신들의 내부역량을 향상시킴으로써 해외건설 산업의 전반적인 발전을 가져다 줄 것이라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1960's, international construction market have explosively increase and have reached up to 600 Bil. US$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of construction firms and steady support of government. Nevertheless, owners, clients and financial institutions required reasonable criteria to effectively as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앞서 도출된 해외건설역량 평가체계의 필요성으로부터 새로운 평가체계 구축을 위한 평가 지표 도출에 앞서, 기업의 역량이 어디서 시작되며 어떻게 측정하고 평가해야 할지에 대한 문헌 고찰을 하였다. 그리고 국내 및 해외의 기존 건설기업 평가 체계들의 장단점을 분석하여 새롭게 구축될 평가 체계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기존 평가방식과의 비교 분석 및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적절성을 검토받기 위해, 본 Test에서는 24개 기업들 간의 상대적인 순위로 결과를 제시하였다.
  • 마지막으로 가용 데이터를 바탕으로 해외건설 매출 상위 24개 기업에 대해 pilot test를 실시하였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평가제도와의 통계적 비교분석 및 추가적인 워크샵을 통한 지표의 적절성 및 적용 가능성을 검토받았다. 마지막으로 평가 체계의 도입을 위한 향후 연구 및 정책적 과제를 제안하였다.
  • 먼저 지표의 도출과정을 위한 전반적인 연구과정 및 평가지표들에 대해 설명해주었으며 다음과 같은 항목에 대해 자유로운 의견을 제시하도록 하였다. 평가 결과가 기존 방식에 비해 실질적으로 실무진들이 인식하고 있는 것과 가깝게 합리적으로 도출되었는지, 그리고 평가결과의 제시 방식의 적절성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해외건설의 양적 성장과 더불어 질적 성장을 제고하기 위해, 국내 건설기업을 대상으로 해외건설에 적합한 평가체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해외건설을 위한 평가체계의 필요성 및 요구역량을 다양한 전문가의 참여를 통해 도출하였다.
  • 앞서 도출된 해외건설역량 평가체계의 필요성으로부터 새로운 평가체계 구축을 위한 평가 지표 도출에 앞서, 기업의 역량이 어디서 시작되며 어떻게 측정하고 평가해야 할지에 대한 문헌 고찰을 하였다. 그리고 국내 및 해외의 기존 건설기업 평가 체계들의 장단점을 분석하여 새롭게 구축될 평가 체계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앞선 문헌 고찰 및 현행 체계들의 분석으로부터 새롭게 제시될 평가체계의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먼저 새로운 평가체계가 지녀야 할 가장 중요한 측면은 해외건설에 특화된 실질적인 역량지표의 반영이다.
  • 또한 새로운 평가 체계는 평가자나 피평가자 모두에게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클 것이므로 매우 민감한 사안이 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는 구체적인 평가 항목을 도출하기에 앞서, 다양한 관련 기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본 평가체계에 대한 실질적 필요성 및 평가결과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심도깊은 논의를 하였다. 이를 위해 해외건설과 관련된 정부 부처 및 지원기관, 회계법인, 관련 연구 기관의 전문 연구원 및 각 건설기업의 해외건설 경험이 풍부한 부장 이상급의 실무진들을 대상으로 의견 수렴을 위한 FGI를 실시하였다.
  • 먼저 지표의 도출과정을 위한 전반적인 연구과정 및 평가지표들에 대해 설명해주었으며 다음과 같은 항목에 대해 자유로운 의견을 제시하도록 하였다. 평가 결과가 기존 방식에 비해 실질적으로 실무진들이 인식하고 있는 것과 가깝게 합리적으로 도출되었는지, 그리고 평가결과의 제시 방식의 적절성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엇의 부재가 해외건설기업에 대한 정확한 자료를 제공하기 어렵게 했는가? 해외건설 시장은 건설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정부의 지원 아래 괄목할만한 성장을 해왔으며, 해외진출 50여년 만에 6000억 불 수주를 돌파하였다. 이러한 양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해외건설기업에 대한 명확한 평가기준의 부재로 인해 정부 및 유관기관에서는 지원 대상 및 주요 사업자 선정이 어려웠으며, 해외 발주자들의 건설기업 평가자료 요구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웠다. 더욱이 건설기업들 조차도 자사의 해외공사 수행능력에 대한 판단이 미흡하여 합리적인 해외진출 의사결정이 부족하였다.
국내 건설기업들이 해외시장으로의 진출을 늘리고 있는 이유는? 국내 건설 공사 수주액은 2000년도 후반부터 성장이 둔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CAK, 2014). 이러한 국내외 건설시장의 변화에 따라 국내 건설기업들은 해외시장으로의 진출을 늘리고 있으며, 2006년 이후 지속적인 성장을 기록하고 있으며, 2010년 716억불을 기록하는 등 괄목할만한 성과를 달성하고 있다(ICAK, 2014).
해외건설 시장이 괄목할말한 성장을 할 수 있었던 배경은? 해외건설 시장은 건설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정부의 지원 아래 괄목할만한 성장을 해왔으며, 해외진출 50여년 만에 6000억 불 수주를 돌파하였다. 이러한 양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해외건설기업에 대한 명확한 평가기준의 부재로 인해 정부 및 유관기관에서는 지원 대상 및 주요 사업자 선정이 어려웠으며, 해외 발주자들의 건설기업 평가자료 요구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dministration and Governance (ADB) (2006). Prequalification of bidders user's guide, Asian Development Bank, Philippine. 

  2. Barney, J. B. (1991). "Frim resources and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J. of Mngt., Vol. 17, pp. 99-120. 

  3. Chan, A. P. C. and Chan, A. P. L. (2004). Key performance indicators for measuring construction success, Benchmarking: An Int. J., Vol. 11, No. 2, pp. 203-221. 

  4. Construction Association of Korea (CAK) (2014). The main statistics, Available at: http://www.cak.or.kr (Assessed: Feb. 3, 2014). 

  5. Do, T. (2005). "Optimal direction for the institution of construction assessment system."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Vol. 41, pp. 79-85. 

  6. Engineering News Records (2004-2013). Top 225 international contractors (2004-2013), New York. 

  7. International Construction Association of Korea (ICAK) (2014). International construction information service, Available at: http://www.icak.or.kr (Assessed: February, 2014). 

  8. Jang, Y., Park, M. and Lee, H. (2008). "Development of a web-based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using benchmarking for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companies." Proceeding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pp. 876-870. 

  9. Jung, W., Han, S., Jang, W. and Koo, B. (2010). "Empirical assessment of international entry strategy for large construction companies."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11, No. 1, pp. 59-69. 

  10. Kim, S. (2006). "Analysis of problems and its improvement for construction capability assessment system." Construction Econom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Vol. 47, pp. 28-35. 

  11. Kravchuk, Robert S. and Ronald W. Schack. (1996). "Designing effective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under the government performance and results act of 1993."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 56, No. 4, pp. 348-358. 

  12. Kruger, R. A. and Casey, M. A. (2000). "Focus gropus: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asearch." Intl. J. of Proj. Mngt., Vol. 19, No. 4, pp. 207-222. 

  13. Kwon, H. (2006). "A study on the building a lowrisk model by analysing the bankrupted technology-appraised companies." Doctoral Thesis, Kun-kook University, Korea. 

  14. Lee, B. (2005a). "A study on the establishing the credit evaluating system of construction companies." The Koran Research Assocaition for The Business Education, Vol. 10, pp. 273-289. 

  15. Lee, B. and Lee, E. (2008). "A research for improvement of construction capacity evaluation system." Research Report,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onstruction Policy (in Korean). 

  16. Lee, E. (2005b). The development plan of credit evaluation system for construction company, Research Report, Construction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in Korean). 

  17. Ng, S. T., Palaneeswaran, E. and Kumaraswamy, M. M. (2002). "A dynamic e-reporting system for contractor's performance appraisal." Advances in Engineering Software, Vol. 33, No. 6, pp. 339-349. 

  18. Park, H., Lee, S. and Thomas, S. R. (2004). "Effect of benchmarking based on U.S. case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4, No. 4D, pp. 617-622. 

  19. Porter, M. E. (1979). "How competitive forces shape strategy." Harvard Business Review, Vol. 57, No. 2, pp. 137-145. 

  20. Pralahad, C. K. and Hamel, G. (1990).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corpor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Vol. 90, No. 3, pp. 79-91. 

  21. Radujkovic, M., Vukovanovic, M. and Dunovic, I. B. (2010). "Application of key performance indicators in South-Eastern European construction." J.of Civil Eng. and Mngt., Vol. 16, No. 4, pp. 521-530. 

  22. Wang, S. and Hyun, J. (2001). Improvement plan for credit ratings and project financng at the constrution company perspectives, Trend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Construction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in Korean). 

  23. Won, J. and Lee, K. (2007). "An analysis of the ability of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based on the labor productivity of specialty contractors." Journal of Architecture Institute of Korea, Vol. 27, No. 1, pp. 705-708. 

  24. World Bank (2007). Prequalification document for procurement of works and user's guide, DC, USA. 

  25. Xiao, H. and Proverbs, D. (2003) Factors influencing contractor performance: An International Investigation, Const. and Arch. Mngt., Vol. 10, No. 5, pp. 322-332. 

  26. Yu, I., Kim, K., Jung, Y. and Jin, S. (2006). "Analysis of quantified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indicators for construction companies."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7, No. 4, pp. 154-163. 

  27. Yu, I., Kim, K., Jung, Y., Jin, Y. and Kim, Y. (2004). "A framework of the comparable performance measuremen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5, No. 5, pp. 172-18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