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의 및 과학 글쓰기 관련 국내 과학 교육 연구 동향 분석
Trends in Research Studies on Scientific Argument and Writing in Korea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4 no.2, 2014년, pp.107 - 122  

신지원 (이화여자대학교) ,  최애란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발표된 논의 및 과학 글쓰기 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문제, 연구 대상, 연구 방법 및 논의 및 과학 글쓰기 활동 적용 방식과 어떠한 측면에서 그 결과를 분석하고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논의 및 과학 글쓰기 관련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2004년부터 2013년까지 논의 및 과학 글쓰기 관련 연구 118편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최근 10년간 논의 및 과학 글쓰기 관련 연구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고 2008년 이후에 관련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수 학습 전략을 개발, 논의 및 과학 글쓰기 활동에 대한 내용 분석, 그 효과 분석의 순으로 연구 문제가 선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비해 예비 교사 및 현장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적었다. 연구 방법은 양적 연구, 질적 연구, 혼합 연구가 비교적 고르게 적용되고 있었다. 또한 연구 대상에게 논의 및 과학 글쓰기 관련 사전 교육을 진행하거나 관련 자료를 제시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었다. 논의 및 과학 글쓰기 적용 후에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를 분석한 연구가 많았는데, 과학 개념, 과학 탐구 능력, 비판적 사고력 향상 등의 분석에 좀 더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많은 연구에서 논의 구조와 논의 과정 또는 과학 글쓰기에 포함된 내용과 글쓰기의 형태 분석을 해왔다. 향후에는 논의의 수준 또는 과학 글쓰기에 포함된 과학 개념을 함께 분석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기를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rends in research studies on scientific argument and writing in Korea. 118 research studies published from 2004 to 2013 have been collected and analyzed. Many of the research studies focused on developing teaching strategies, analyzing contents of scien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연구 대상의 측면에서 학생, 예비교사, 현장 교사 각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얼마나 진행되고 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논의 및 과학 글쓰기 관련 연구에서 논의 및 과학 글쓰기 활동을 어떤 방식으로 과학 수업에 적용하고 있는지, 어떠한 측면에서 그 결과를 분석하고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논의 및 과학 글쓰기 활동이 국내 과학 교육 현장에 어떤 방식으로 적용되려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얻고자 하는 바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후속 과학 교육 연구의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설정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논의 및 과학 글쓰기 활동 결과를 분석한 논문의 세부 분석 준거는 연속적 비교 분석에 의하여 도출되었고, 크게 활동 적용 전후의 효과를 분석한 연구와 활동의 내용을 분석한 연구로 구분하였다. 논의 및 과학 글쓰기 활동 전후의 효과를 분석한 논문에서 과학 탐구, 과학 개념, 과학에 대한 태도, 또는 사고력 중 어떠한 평가 요소에 대하여 분석하였는지를 알아보았다. 하나의 연구에서 2개 이상의 평가 요소를 분석한 경우에는 두 가지 대상에 중복으로 포함시켰다.
  • 논의와 글쓰기의 내용을 분석한 논문의 세부 분석 준거는 연속적 비교 분석에 의하여 도출되었다. 논의의 내용을 분석한 논문에서 논의 요소, 논의 구조, 논의 수준, 논의 과정, 반성적 사고 중 어떤 요소에 대하여 분석하였는지 알아보았다. 글쓰기 내용을 분석한 논문에서는 논의, 글쓰기 형태, 글쓰기 내용, 글쓰기 과정, 반성적 사고 중 어떤 오쇼에 대하여 분석하였는지 알아보았다.
  • 하나의 연구에서 2개 이상의 평가 요소를 분석한 경우에는 두 가지 대상에 중복으로 포함시켰다. 또한 각각의 평가 요소에 대한 결과가 긍정적(유의미하게 향상됨)이었는지 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는지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논의 및 과학 글쓰기 관련 연구 논문의 연구 문제 경향, 연구 대상 경향, 연구 방법 경향을 분석하고 논의 및 과학 글쓰기 활동이 어떤 방식으로 과학 수업에 적용되고 있는지, 어떠한 측면에서 결과를 분석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학술검색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검색된 2004년에서 2013년까지 최근 10년간 논의 및 과학 글쓰기 관련 연구 총 118편을 대상으로 분석한 연구의 결론 및 후속 과학 교육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 , 2004). 이에 논의 및 과학 글쓰기 활동에 대한 학생의 부담을 덜어주고 참여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관련 자료를 제공해주고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노력이 수반 되는 것으로 보인다. 선행학습 내용을 소재로 선정 (Lee & Shim, 2012), 학습지, 읽을거리, 유인물, 관련 영상 등을 제공 (Kang et al.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최근 활발하게 진행되어 온 논의 및 과학 글쓰기 관련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논의 및 과학 글쓰기 관련 연구에 대해서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분류해 봄으로써 우리나라에서 어떤 분야의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앞으로 어떤 분야의 연구가 더 필요할지 제언할 수 있을 것이다.
  • 논의 및 과학 글쓰기 활동을 적용한 논문을 대상으로 논의 및 과학 글쓰기 활동의 적용 방식을 분석하기 위한 세부 분석 준거는 연속적 비교 분석에 의하여 도출되었다. 정규 수업 시간 중에 이루어졌는지 여부, 논의 및 과학 글쓰기 활동을 각각 적용하였는지 또는 함께 적용 하였는지 여부, 논의 및 과학 글쓰기 활동에 관련된 교육을 진행하였는지 여부, 논의 및 과학 글쓰기 활동에 관련된 자료를 제시하였는지 여부 등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 과학 수업에 논의 및 과학 글쓰기 활동을 적용한 연구는 전체 연구 대상 논문 118편 중 86편이었다. 해당 연구에 한하여 논의 및 과학 글쓰기 활동 적용 방식 경향을 수업 상황, 활동 방식, 관련 교육 진행 여부, 관련 자료 제시 여부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적 소양과 언어와의 관계는 어떠한 것으로 보이는가? 과학적 소양 함양은 중요한 과학 교육 목표이다(Osborne, 2002). Norris와 Phillips(2003)는 과학적 소양을 과학 교육을 통한 과학 지식 함양 뿐 아니라 과학에 관한 주제의 글을 읽고 쓸 줄 아는 능력을 갖추는 것으로 정의하면서 과학 학습에 있어서 언어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언어의 활용은 과학 개념을 형성하는 과정, 문헌 또는 자료의 과학적 아이디어를 평가하고 이해하는 과정, 동료 과학자에게 의견을 교환하고 설득하고 논의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이다.
언어의 활용은 과학 개념 형성 과정에 어떠한 역할을 한다 보는가? Norris와 Phillips(2003)는 과학적 소양을 과학 교육을 통한 과학 지식 함양 뿐 아니라 과학에 관한 주제의 글을 읽고 쓸 줄 아는 능력을 갖추는 것으로 정의하면서 과학 학습에 있어서 언어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언어의 활용은 과학 개념을 형성하는 과정, 문헌 또는 자료의 과학적 아이디어를 평가하고 이해하는 과정, 동료 과학자에게 의견을 교환하고 설득하고 논의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이다. 학생들의 논의 활동은 탐구 계획을 세우고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결과를 해석하여 타당하고 정확한 증거로 주장을 보장하고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Driver et al.
예비 교사 및 현장 교사 간의 과학 글쓰기 인식에 대한 결과는 어떻다고 나타나는가? 예비 교사 및 현장 교사의 논의 및 과학 글쓰기 활동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연구에서 논의 및 과학 글쓰기 활동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 관련된 지식이 부족하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Lee 외 (2009)가 초· 중· 고등학교 현장 교사 1,015명을 대상으로 학교 과학 수업에서의 논의 활동 사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5년 이하의 경력을 가진 초· 중· 고등학교 교사의 50% 이상이 논의 활동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다른 연구들에서도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이 과학 학습을 위한 과학 글쓰기의 역할을 이해하고 과학 수업에 과학 글쓰기 활동을 활용할 의향이 있으나, 과학 글쓰기 교육 경험이 없을 뿐 아니라, 과학 글쓰기라는 말 자체를 생소하다고 답해 과학 글쓰기 활동에 대해 부담감과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왔다. 이처럼 교사가 과학 수업에 논의 및 과학 글쓰기 활동을 적용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므로 앞으로 예비 교사와 현장 교사의 논의및 과학 글쓰기에 대한 이해와 관련 교과교육학적 지식과 관련된 연구가 증진되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8)

  1. Cavagnetto, A. R. (2010). Argument to foster scientific literacy: A review of argument intervention in K-12 science context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80(3), 336-371. 

  2. Cho, H. J., Lee, H. C., & Kim, E. J. (2011). The effect of scientific writing program using thinking maps on the scientific gifted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 and creativ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4(2), 166-176, 

  3. Cho, H. H., & Choi, K. H. (2004). Science education research and academic writing. Seoul: KoyookBook. 

  4. Choi, B. S., & Shin, A. K. (2006). A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verbal interactions and teachers' help in small group thinking science activities in Korea and in the U. K.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5(4), 363-373. 

  5. Clark, D. B., & Sampson, V. (2008). Assessing dialogic argumentation in online environments to relate structure, grounds, and conceptual qualit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5(3), 293-321. 

  6. Corbin, J., & Strauss, A. (200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London: Sage Publications. 

  7. Driver, R., Newton, P., & Osborne, J. (2000). Establishing the no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s. Science Education, 84, 287-312. 

  8. Ford, M. (2008). Disciplinary authority and accountability in scientific practice and learning. Science Education, 92(3), 404-423. 

  9. Han, H. J., Lee, T. H., Ko, H. J., Lee, S. K., Kim, E. S., Choe, S. U., & Kim, C. J. (2012). An analysis of the type of rebuttal in argumentation among science gifted stud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4), 717-728. 

  10. Hand, B., & Keys, C. W. (1999). Inquiry Investigation: A new approach to laboratory reports. The Science Teacher, 66(4), 27-29. 

  11. Hong, J. E. (2012). The effects of making science newspaper activity on the science inquiry process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nalysing the writing context.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1(2), 146-153. 

  12. Jeong, H., Jeong, Y. J., & Song, J. W. (2004). An analysis of writing by 11th grade students on the theme of light according to the type of task.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5), 1008-1017. 

  13. Jung, H. S., Han, I. S., & Yeau, S. H. (2010). The effects of science achievement and science-related attitude by science writing activity for middle school students. Biology Education, 38(3), 407-422. 

  14. Jung, J. H., Kim, S J., & Park, J. W. (2011). Analysis of students' interaction for generating inquiry problem in asynchronous discussion with the class bulletin board.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0(4), 468-481. 

  15. Kang, H. S., Kim, B. K., & Noh, T. H. (2005). Drawing and writing as methods to assist students in connecting and integrating external representations in learning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with multiple representatio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5(4), 533-540. 

  16. Kang, S. M., Kwak, K. H., & Nam, J. H. (2006). The effects of argumentation-base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on cognitive development, science concept understanding, science-related attitude, and argumentation in middle school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6(3), 450-461. 

  17. Kang, H. S., Lee, S. M., & Noh, T. H. (2006). The instructional effect of varying visuals in drawing and writing applied to learning with multiple representatio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6(3), 367-375. 

  18. Kang, S. M., Lim, J. H., Kong, Y. T., Nam, J. H., & Choi, B. S. (2004). The development of students argumentation in science context.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48(1), 85-93. 

  19. Kelly, G. J., & Takao, A. (2002). Epistemic levels in argument: an analysis of university oceanography students' use of evidence in writing. Science Education, 86, 314-342. 

  20. Keys, C. W. (1999). Revitalizing instruction in scientific genres: Connecting knowledge production with writing to learn in science. Science Education, 83(2), 115-130. 

  21. Keys, C. W., Hand, B., Prain, V., & Collins, S. (1999). Using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as a tool for learning from laboratory investigations in secondary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10), 1065-1084. 

  22. Kim, S. S. (2012). The effects of scientific experimental classes emphasized small group argument activities on science achievement and attitud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5(1), 95-104. 

  23. Kim, Y. J. (2010). A Perceptions of the creative writing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9(2), 144-154. 

  24. Kim, H. J., Byeon, J. H., & Kwon, Y. J. (2012). The effect of class based creative science writing for the interest in Biology and science attitude.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6(2), 198-215. 

  25. Kuhn, D. (2010).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as argument. Science Education, 94(5), 810-824. 

  26. Kwak, K. H., & Nam, J. H. (2009). Enhancing the quality of students' argumentation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rgumentation in different contex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9(4), 400-413. 

  27. Kwon, N. J., & Ahn, J. H. (2012). The analysis on domestic research trends for convergence and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2), 265-278. 

  28. Lee, S. K. (2006).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teractive argumentation in the small-group discussions.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0(1), 79-88. 

  29. Lee, H. Y., & Cho, H. J. (2012). An exploration of teaching method for scientific inquiry including scientific argumentation in school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5(2), 175-188. 

  30. Lee, H. Y., Cho, H. J., & Sohn, J. J. (2009). The teachers' view on using argumentation in school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9(6), 666-679. 

  31. Lee, S. H., Kim, E. J., & Chang, H. J. (2011). The effects of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instruc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0(4), 589-600. 

  32. Lee, B. W., & Lim, M. S. (2010). Analysis of argumentation in the inquiry discourse among pre-service scien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0(6), 739-751. 

  33. Lee, H. R., Nam, K. H., Moon, S. B., Kim, Y. G., & Lee, S. H. (2005). The effects of science instruction using argumenta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scientific attitud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4(2), 183-191. 

  34. Lee, S. H., Park, J. S., & Jeon, M. K. (2007). Analyzing the research works published in the field of Korean science education in relation to theory of J. Piaget, D. P. Bruner, or J. S. Ausb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7(5), 447-455. 

  35. Lee, S. H., Seo, B. H., & Kim, Y. G. (2007).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nents of argumentation in the process of solving scientific argument tasks among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6(1), 76-86. 

  36. Lee, H. J., & Shim, K. C. (2012). Analysis of writing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by explaining cell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2(1), 141-155. 

  37. Lee, M., Wu, Y., & Tsai, C. (2009). Research trends in science education from 2003 to 2007: A content analysis of publications in selected journal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15), 1999-2020. 

  38. Lemke, J. (1990). Talking science: Language, learning and values. Norwood, NJ: Ablex. 

  39. Lim, H. J., & Shin, Y. J. (2012). Investigation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the classes for elementary gifted student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1(4), 513-531. 

  40. Lim, J. K., Song, Y. M., Song, M. S., & Yang, I. H. (2010). An analysis on the level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argumentation in scientific inquiry.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9(4), 441-450. 

  41. Lim, H. J., & Yeo, S. I. (2012). Characteristics on elementary students' argumentation in science problem solving proces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1(1), 13-24. 

  42. Marshall, C., & Rossman, B. (1999). Designing qualitative research (3rd ed.). London: Sage Publications. 

  43.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7). 2007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07-79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eoul: Daehan Textbook. 

  44.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 2009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09-41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45. Moon, Y. K., & Chung, Y. L. (2012). Effects of a creative science writing program on 2n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ivity and scientific attitud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1(2), 208-215. 

  46. Moon, M. H., & Shin, A. K. (2012). The effects of science writing on cognitive-affective asp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1(4), 413-423. 

  47. Nam, J. H., Koh, M. R., Bak, D. C., Lim, J. H., Lee, D. W., & Choi, A. R. (2011). The effects of argumentation-based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on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chemistry concepts and writ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1(8), 1077-1091. 

  48. Nam, J. H., Kwak, K. H., Jang, K. H., & Hand, B. (2008). The implementation of argumentation using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in middle school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8(8), 922-936. 

  49. Nam, K. W., Lee, B. W., & Lee, S. M. (2004). The effect of science journal writing on the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t middle school lev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4(6), 1272-1282. 

  50. Nam, J. H., Park, J. Y., & Lee, D. W. (2012). The impact of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approach on students' use of multiple representations in science writing and students' recognition about multiple representations.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6(6), 759-767. 

  51.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Washington, D. C.: National Academy Press. 

  52. Norris, S. P., & Phillips, L. M. (2003). How literacy in its fundamental sense is central to scientific literacy. Science Education, 87(2), 224-240. 

  53. Oh, J. A., Lee, S. K., & Kim, C. J. (2008). A case study on scientific inquiry and argumentative communication in earth science MBL classe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9(2), 189-203. 

  54. Osborne, J. (2002). Science without literacy: A ship without a sail? Cambridge Journal of Education, 32, 203-218. 

  55. Osborne, J., Erduran, S., & Simon, S. (2004). Enhancing the quality of argument in school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10), 994-1020. 

  56. Park, Y. S. (2010). Exploring scientific argumentation from teacher-student interaction with epistemological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1(1), 106-117. 

  57. Park, S. H., & Chung, Y. L. (2012). The effect of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on scientific inquiry skills, logical thinking, and metacogni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Biology Education, 40(3), 367-383. 

  58. Park, E. H., Jhun, Y. S., & Lee, I. H. (2007). Analysis of the elementary school participants' readiness to write on scientific subjects in science writing contest.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6(4), 385-394. 

  59. Park, B. T., & Ko, M. S. (2012). An analysis of scientific writing about earth science area by gifted and average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5(2), 158-165. 

  60. Park, J. E., Yu, E. J., Lee, S. K., & Kim, C. J. (2009). An analysis of science writing by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the argumentation structure instruction: Focus on writing tasks based on genres of science writ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9(8), 824-847. 

  61. Prain, V. & Hand, B. (1996). Writing for learning in secondary science: Rethinking practice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2(6), 609-626. 

  62. Sampson, V., & Clark, D. (2008). Assessment of the ways students generate arguments in science education: Current perspective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directions. Science Education, 92, 447-472. 

  63. Sampson, V., Grooms, J., & Walker, J. (2011). Argument-driven inquiry as a way to help students learn how to participate in scientific argumentation and craft written arguments: An exploratory study. Science Education, 95, 217-257. 

  64. Sandoval, W. A. (2003). Conceptual and epistemic aspects of students' scientific explanations.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2(1), 5-51. 

  65. Sandoval, W. A., & Millwood, K. A. (2005). The quality of students' use of evidence in written scientific explanations. Cognition and Instruction, 23(1), 23-55. 

  66. Shin, S. Y., Choi, A. R., & Park, J. Y. (2013). The effects of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approach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achievem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5), 952-962. 

  67. Shin, Y. S., & Jhun, Y. S. (2012). The influence of small group discussion on the science writ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7), 1109-1123. 

  68. Shin, M. R., & Lee, Y. S. (2011). The effectiveness of IIM-based science writing lesson on science process skills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4(3), 267-277. 

  69. Son, J. S., Jeoung, J. S., Paik, S. H., & Chun, J. S. (2012).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letter type rubric for guideline in science writ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1(1), 25-39. 

  70. Song, Y. M., Yang, I. H., Kim, J. Y., & Choi, H. D. (2011). A study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science writ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1(5), 788-800. 

  71. Sung, H. M., Hwang, S. Y., & Nam, J. H. (2012).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student reflective thinking and the reading framework in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approac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1), 146-159. 

  72. Toulmin, S. (1958). The uses of argumen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3. Tsai, C., & Wen, M. (2005). Research and trends in science education from 1998 to 2002: a content analysis of publication in selected journal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7(1), 3-14. 

  74. Wallace, C. S., Hand, B., & Prain, V. (2004). Introduction: Does writing promote learning in science? In C. S. Wallace, B. Hand, & V. Prain (Eds.), Writing and learning in the science classroom(pp. 1-8).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ress. 

  75. Yang, I. H., Lee, H. J., Lee, H. Y., & Cho, H. J. (2009). The development of rubrics to assess scientific argum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9(2), 203-220. 

  76. Yoon, H. G. (2013). Facilitating productive reflection of pre-service teachers through reflective journal writing and discussion about science peer teaching practic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2), 113-126. 

  77. Yore, L. D., Bisanz, G. L., & Hand, B. M. (2003). Examining the literacy component of science literacy: 25 years of language arts and science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6), 689-725. 

  78. You, J. Y., Kang, S. J., Kim, J. Y., & Noh, T. H. (2013). An investigation of students' science writing processes using think-aloud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5), 881-8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