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생의 수면 부족, 비만, 스크린 타임 사이의 관련성 연구
Relationships between Short Sleep, Obesity, and Screen Time in High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6 no.2, 2014년, pp.80 - 89  

하영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  박현주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short sleep, obesity, and screen time.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a survey using a sample of 1,166 academic, and 597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demographics, hours s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 일반계와 전문계 고등학생들의 수면시간과 비만 사이에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본다.
  • 그 중 하나는 수면이 불충분한 경우 낮 동안에 피곤함을 느껴서 TV나 모니터 앞에서 보내는 시간(스크린 타임)이 많아지게 되므로 이것이 비만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Patel & Hu, 2009). 그러나 이러한 기전을 실증적 연구에서 확인한 선행 연구가 많지 않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일반계 고등학생과 전문계 고등학생에서 수면과 비만간의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또한 수면 부족이 스크린 타임과 연관성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수면 시간이 매우 다를 가능성이 있는 일반계와 전문계 재학생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그룹에서 수면시간과 비만이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살펴보았으며, 두 번째로 불충분한 수면과 스크린 타임과의 관련성 여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비만예방을 위한 수면 관련 중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수면시간이  짧은 것도 이와 비슷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고등학생만을 대상으로 일반계와 전문계 고등학교로 구분하여 수면과 비만 사이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에 관해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수면, 비만, 스크린 타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서울 시내 일반계와 전문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일반계와 전문계 고등학생의 수면, 비만, 스크린 타임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단면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수면과 비만, 그리고 스크린 타임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표적인 국가자료를 분석한 선행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아동과 청소년에서도 수면시간이 짧을수록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우리나라 아동과 청소년에서도 수면시간이 짧을수록 비만의 위험이 증가하는 것을 대표적인 국가자료(national data)를 분석한 선행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즉, 2009년 실시된 한국 아동 청소년 비만 실태조사를 분석한 연구에서는 초·중·고등학생 모두 포함하여 분석하였고 (Park, 2013), 2007년도에 실시된 청소년 건강 행태 온라인 조사자료를 분석한 연구에서는 중·고등학생 대상으로 분석 하였으며 (Park, 2011), 두 연구 모두에서 수면시간과 비만 사이에 유의한 관련성을 보고하였다.
수면과 비만 사이의 관련성 연구에서 최근 주목받고 있는 연구 주제는? 한편, 수면과 비만 사이의 관련성 연구에서 최근 주목받고 있는 연구 주제는 과연 어떠한 기전으로 불충분한 수면이 비만의 위험을 높이는가 하는 점이다. 수면 그 자체로는 에너지의 소모가 낮은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학교급별로 수면 시간과 비만과의 관계를 살펴볼 필요있는 이유는? 따라서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청소년에서 수면 시간과 비만의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으나, 선행 연구에서는 중·고등학생을 모두 통합하여 연구하였으며, 따로 분류하여 분석하지는 않았으므로, 학교급별로 수면 시간과 비만과의 관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즉, 우리나라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수면 시간이 매우 다를 수 있으며, 특히 고등학생의 경우 대학진학을 목표로 하는 일반계 고등학생과 취업을 목적으로 하는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수면 시간 역시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11년 아동·청소년 인권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중학생의 수면시간은 7시간 18분, 일반계고등학생은 5시간 50분, 전문계 고등학생은 6시간 24분으로 조사되어 중학교와 고등학교, 고등학교의 경우 일반계와 전문계 학교 별로 수면시간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Lim & Kim,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dam, E. K., Snell, E. K., & Pendry, P. (2007). Sleep timing and quantity in ecological and family context: A nationally representative time-diary study.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1(1), 4-19. http://dx.doi:10.1037/0893-3200.21.1.4 

  2. Chen, M. Y., Wang, E. K., & Jeng, Y. J. (2006). Adequate sleep among adolescent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health statu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BMC Public Health, 6, 59. http://dx.doi.org/10.1186/1471-2458-6-59 

  3. Coe, D. P., Peterson, T., Blair, C., Schutten, M. C., & Peddie, H. (2013). Physical fitness,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oeconomic status in school-aged youth. Journal of School Health, 83(7), 500-507. http://dx.doi.org/10.1111/josh.12058 

  4. Eisenmann, J. C., Ekkekakis, P., & Holmes, M. (2006). Sleep duration and overweight among Australian children and adolescents. Acta Paediatrica, 95(8), 956-963. http://dx.doi.org/10.1080/08035250600731965 

  5. Foti, K. E., Eaton, D. K., Lowry, R., & McKnight-Ely, L. R. (2011). Sufficient sleep, physical activity, and sedentary behavior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41(6), 596-602. http://dx.doi.org/10.1016/j.amepre.2011.08.009 

  6. Fuligni, A. J., & Hardway, C. (2006). Daily variation in adolescents' sleep, activit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16(3), 353-378. http://dx.doi.org/10.1111/j.1532-7795.2006.00498.x 

  7. Garcia-Continenta, X., Perez-Gimenez, A., Espelt, A., & Adell, M. N. (2014). Factors associated with media use among adolescent: A multilevel appraoch.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24(1), 5-10. http://dx.doi.org/10.1093/eurpub/ckt013 

  8. Garmy, P., Nyberg, P., & Jakobsson, U. (2012). Sleep and television and computer habits of Swedish school-age children. Journal of School Nursing, 28(6), 469-476. http://dx.doi.org/10.1177/1059840512444133 

  9. Gorely, T., Biddle, S. J., Marchall, S. J., & Cameron, N. (2009). The prevalence of leisure time sedentary behaviour and physical activity in adolescent boys: An ecological momentary assessement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 Obesity, 4(4), 289-298. http://dx.doi.org/10.3109/17477160902811181 

  10. Hancox, R. J., Milne, B. J., & Poulton, R. (2005). Association of television viewing during childhood with poor educational achievement. Archives of Pediatrics and Adolescent Medicine, 159(7), 614-618. http://dx.doi.org/10.1001/archpedi.159.7.614 

  11. Larson, N., & Stomy, M. (2008). The adolescent obesity epidemic: Why, how long, and what to do about it. Adolescent Medicine: State of Art Review, 19(3), 357-379. 

  12. Lim, H. J., & Kim, H. S. (2012). Korean Youth Human Right Research I: 2011 children.adolescent human right investigation. Seoul: Korea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13. Liu, X., Zhao, Z., Jia, C., & Buysse, D. J. (2008). Sleep patterns and problems among chinese adolescents. Pediatrics, 121(6), 1165-1173. http://dx.doi.org/10.1542/peds.2007-1464 

  14. Mitchell, J. A., Pate, R. R., Beets, M. W., & Nader, P. R. (2013). Time spent in sedentary behavior and changes in childhood BMI: a longitudinal study from ages 9 to 15 years.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37(1), 54-60. http://dx.doi.org/ 10.1038/ijo.2012.41 

  15. Mitchell, J. A, Rodriguez, D., Schmitz, K. H., & Audrin-McGovern, J. (2013). Sleep duration and adolescent obesity. Pediatrics, 131(5), e1428-1434. http://dx.doi.org/10.1542/peds.2012-2368 

  16. Moon, J. S., Lee, S. Y., Nam, C. M., Choi, J. M., Choe, B. K., Seo, J. W., et al. (2008). 2007 Korean National Growth Charts: Review of developmental process and an outlook.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51(1), 1-25. http://dx.doi.org/10.3345/kjp.2008.51.1.1 

  17. Must, A., & Parisi, S. M. (2009). Sedentary behavior and sleep: Paradoxical effects in association with childhood obesity.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33(supplement 1), S82-S86. http://dx.doi.org/10.1038/ijo.2009.23 

  18. National Sleep Foundation. (2000). Adolescent sleep need and patterns. Research report and research guide. Washington DC: National Sleep Foundation. 

  19. Noh, J. W., Kim, Y. E., Park, J., Oh, I. H., & Kwon, Y. D. (2014). Impact of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on childhood and adolescent overweight and underweight in Korea. Journal of Epidemiology, 24(3), 221-229. http://dx.doi.org/10.2188/jea.JE20130056 

  20. O'Dea, J. A., Dibley, M. J., & Rankin, N. M. (2012). Low sleep and low socioeconomic status predict high body mass index: A 4-year longitudinal study of Australian schoolchildren. Pediatric Obesity, 7(4), 295-303. http://dx.doi.org/10.1111/j.2047-6310. 2012.00054.x 

  21. Park, H. (2010). Physical activity and obesity in male and fe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3(1), 53-62. 

  22. Park, S. (2011). Association between short sleep duration and obesity among South Korean adolescents.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33(2), 207-223. http://dx.doi.org/10.1177/0193945910371317 

  23. Park, S. (2013). The association between short sleep duration and body mass index among South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School Nursing, 29(2), 142-150. http://dx.doi.org/10.1177/1059840512450582 

  24. Patel, S. R., & Hu, F. B. (2009). Short sleep duration and weight gain: A systematic review. Obesity (Silver Spring), 16(3), 643-653. http://dx.doi.org/10.1038/oby.2007.118 

  25. Pileggi, C., Lotito, F., Bianco, A., Nobile, C. G., & Pavia, M. (2013). Relationship between chronic short sleep duration and childhood body mass index: A school-based cross-sectional study. PLOS One, 8(6), e66680.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066680 

  26. Sharif, I., & Sargent, J. D. (2006). Association between television, movie, and video game exposure and school performance. Pediatrics, 118(4), e1061-1070. http://dx.doi.org/10.1542 2005-2854 

  27. Shore, S. M., Sachs, M. L., Lidicker, J. R., Brett, S. N., Wright, A. R., & Libonati, J. R. (2008). Decreased scholastic achievement in overweight middle school students. Obesity, 16(7), 1535-1538. http://dx.doi.org/10.1038/oby.2008.254 

  28. Sun, Y., Sekine, M., & Kagamimori, S. (2009). Lifestyle and overweight among Japanese adolescents: The Toyama birth cohort study. Journal of Epidemiology, 19(6), 303-310. http://dx.doi.org/10.2188/jea.JE20080095 

  29. Van den Bulck, J. (2004). Television viewing, computer game playing, and internet use and self-report time to bed and time out of bed in secondary-school children. Sleep, 27(1), 101-104. 

  30. Yen, C. F., Hsiao, R. C., Ko, C. H., Yen, J. Y., Huang, C. F., Liu, S. C., et al. (2010). The relationships between body mass index and television viewing, internet use and cellular phone use: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xercise.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 43(6), 565-571. http://dx.doi.org/10.1002/eat.206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