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규 졸업 간호사의 약물계산오류의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Predictors of Drug Dosage Calculation Error Risk in Newly Graduated Nurs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6 no.2, 2014년, pp.113 - 122  

김명수 (부경대학교 간호학과) ,  김정순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하원춘 (부산대학교병원 간호행정교육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edictors of drug dosage calculation error risk in newly graduated nurses. Methods: A total of 115 newly graduated nurses who passed their employment examination, but didn't work for hospital yet, were recruited from a university hospital. The data were analyz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그동안 병원에서 교육 대상자로 배제되어 왔던 신규 졸업 후 대기발령 중인 대상자에게 관심을 갖고, 자기주도적 학습을 유도하여 이들로 하여금 실무에 배치되었을 때 투약업무에서 오류를 줄이기 위해 시도된 연구이다. 본 연구 대상자들의 약물계산능력은 평균 81점에 해당하여, 평균 경력이 19년인 간호사의 약 90%가 계산능력의 최소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난 외국의 일 연구(McMullan et al.
  • 본 연구는 신규 졸업 간호사의 약물계산능력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신규 졸업 간호사들의 수학자신감, 약물계산 자신감, 계산 불안감에 따라 약물계산오류 위험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본 연구는 신규 졸업 간호사의 약물계산오류의 위험성을 파악하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상의 결과와 같이, 신규 졸업간호사의 약물계산오류의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수학적 관심과 자신감이므로 이를 증진시키는 중재방법을 개발·적용하여 차후 투약오류의 위험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일 상급종합병원의 채용에 합격한 대기발령 중인 신규 졸업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점과 약물계산능력이 낮아 스스로 연구참여를 철회한 대상자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주의를 요한다. 하지만, 발령 대기자를 위한 자기 주도학습과 다양한 학습방법 적용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는 점에서 다른 연구와 차별된다고 생각한다.
  • 특히 신규 졸업 간호사의 약물계산오류의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수학적 관심과 자신감, 약물계산에 대한 자신감 정도를 파악할 뿐만 아니라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이나 학업적 효능감이 약물계산을 하는데 있어 오류의 위험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향후 이들의 임상적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에 본 연구는 대기발령 중인 신규 졸업 간호사들의 약물계산오류 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 새로이 졸업한 간호사들은 대기발령기간 동안 약물계산능력을 유지하고 이에 대한 지식과 확실성을 가질 때 약물계산과 관련된 오류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신규 졸업 간호사의 약물계산오류의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수학적 관심과 자신감, 약물계산에 대한 자신감 정도를 파악할 뿐만 아니라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이나 학업적 효능감이 약물계산을 하는데 있어 오류의 위험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향후 이들의 임상적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에 본 연구는 대기발령 중인 신규 졸업 간호사들의 약물계산오류 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약물의 용량과 관련된 오류가 발생하는 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 2004). 약물의 용량과 관련된 오류가 발생하는 요인으로 수학적 개념부족, 투약공식에 대한 이해나 용량에 대한 개념부족(Coyne, Needham, & Rands, 2013), 계산착오(Aspden, Wolcott, Bootman, & Cronenwett, 2007) 등이 제기되면서 약물계산능력은 실제 약물계산에 영향을 주어 오류의 위험을 높이는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투약관리에 대한 지식과 개인이 느끼는 지식에 대한 확실성으로부터 투약오류의 위험을 도출하였을 때(Simonsen, Johansson, Daehlin, Osvik, & Farup, 2011) 이들 간에는 유의한 상관성이 있어, 신규 졸업 간호사들의 적응훈련의 필요성을 사정하거나 효과검정을 할 때에는 약물계산오류의 위험성을 도출해보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였다.
일본 간호협회에 따르면 신규 졸업 간호사는 어떠한 스트레스를 받는가? 학생에서 간호사로의 원만한 이행은 간호와 관련된 지식과 업무에의 자신감을 향상시키고(Cockerham, Figueroa-Altmann, Eyster, Ross, & Salamy, 2011) 능력의 통합을 유도하므로(Gregg, Wakisaka, & Hayashi, 2013) 향후 간호사로서 발전해 나가는데 있어서 매우 결정적인 시기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일본 간호협회에 따르면 약 80%에 달하는 신규 졸업 간호사들이 불충분한 지식과 기술 때문에 임상현장에서 1차 스트레스를 받고, 나아가 의료관련 오류 발생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2차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보고되었다(Gregg et al., 2013).
신규 졸업 간호사들이 스트레스를 받는 이유는 무엇이고 그 해결방법은 무엇인가? , 2013). 이는 임상경험이 부족하여 환자 간호에 필요한 고난도의 지식이나 기술이 부족한 반면, 돌봐야 하는 환자들의 중증도가 다양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새로 졸업한 간호사들을 위한 적응 훈련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결과라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ndrew, S., Salamonson, Y., & Halcomb, E. J. (2009). Nursing students' confidence in medication calculations predicts math exam performance. Nurse Education Today, 29, 217-223. 

  2. Arkell, S., & Rutter, P. M. (2012). Numeracy skills of undergraduate entry level nurse, midwife and pharmacy students. Nurse Education Practice, 12(4), 198-203. http://doi.org/10.1016/j.nepr.2012.01.004 

  3. Aspden, P., Wolcott, J. A., Bootman, J. L., & Cronenwett, L. R. (2007). Preventing medication errors: Quality chasm serie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4. Bae, Y. S., Lee, S. H., Kim, M. H., & Sun, K. S. (2005). Effects of problem based learing (PBL)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1(2), 184-190. 

  5. Chang, I. S., & Lee, S. K. (2009). The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Program on Underachiever's Self-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2(4), 327-349. 

  6. Cockerham, J., Figueroa-Altmann, A., Eyster, B., Ross, C., & Salamy, J. (2011). Supporting newly hired nurses: A program to increase knowledge and confidence while fostering relationships among the team. Nurse Forum, 46(4), 231-239. http:www.doi.org/10.1111/j.1744-6198.2011.00236 

  7. Coyne, E., Needham, J., & Rands, H. (2013). Enhancing student nurses' medication calculation knowledge; Integrating theoretical knowledge into practice. Nurse Education Today, 33(9), 1014-1019. http://dx.doi.org/10.1016/j.nedt.2012.04.006 

  8. Gregg, M. R., Wakisaka, T., & Hayashi, C. (2013). Nurse managers' strategies for the integration of newly graduated nurses into clinical units in Japan: A qualitative exploratory study. The Open Nursing Journal, 7, 157-164. http://doi.org/10.2174/1874434601307010157 

  9. Guglielmino, L. M. (1977).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10. Hamner, S. B., & Morgan, M. E. (1999). Dosage calculation testing for competency in ambulatory care. Journal for Nurses in Staff Development, 15(5), 193-197. 

  11. Hanna, D., Shevlin, M., & Dempster, M. (2008). The structure of the statistics anxiety rating scale: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UK psychology studen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5, 68-74. http://doi.org/10.1016/j.paid.2008.02.021 

  12. Hicks, R. W., Becker, S. C., Krenzischeck, D., & Beyea, S. C. (2004). Medication errors in the PACU: A secondary analysis of MEDMARX findings. Journal of PeriAnesthesia Nursing, 19, 18-28. 

  13. Jones, J. H., & Treiber, L. (2010). When the 5 rights go wrong: Medication errors from the nursing perspective. Jouranal of Nursing Care Quality, 25(3), 240-247. http://dx.doi.org/10.1097/NCQ.0b013e3181d5b948 

  14. Jung, T. H. (1987). "Analysis of the effects of commitment and motivational factors of class time lear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15. Kim, C. Z., & Yoo, K. O. (1997). A study 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mong Korean female primary school teachers.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9(2), 423-446. 

  16. Kim, M. S., Kim, Y. H., Kim, J. S., Park, K. Y., & Park, J. H. (2012). Application of clinical medicine, Kyonggi: Soomoonsa. 

  17. Kim, M. S., Park, J. H., & Park, K. Y. (2012).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drug dosage calculation training program using cognitive loading theory based on samrtphone appli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5), 689-698. http://dx.doi.org/10.4040/jkan.2012.42 

  18. Kim, Y. H. (2009). Relationship of self efficacy, self-directedness and practice satisfaction to clinical practice educa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16(3), 307-315. 

  19. Lee, E. O., Im, N. Y., Park, H. Y., Lee, I, S., Kim, J. I., Bae, J. I., et al. (2009).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Kyonggi: Soomoonsa. 

  20. Lim, L. M., Chiu, L. H., Dohrmann, J., & Tan, K. L. (2010). Registered nurses' medication management of the elderly in aged care facilities.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57(1), 98-106. http://doi.org/10.1111/j.1466-7657.2009.00760.x 

  21. Mayo, A. M., & Duncan, D. (2004). Nurse perception of medication errors: What we need to know for patient safety. Journal of Nurse Care Quality, 19, 209-217. 

  22. McMullan, M., Jones, R., & Lea, S. (2010). Patient safety: Numerical skills and drug calculation abilities of nursing students and registered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6, 891-899. http://doi.org/10.1111/j.1365-2648.2010.05258.x 

  23. Ohashi, K., Dykes, P., McIntosh, K., Buckley, E., Wien, M., Kreitzman, K., et al. (2013). Development of a web-based observational tool for detecting intravenous medication errors with smart infusion pumps. Student Health Technology Information, 13(192), 1102. 

  24. Ozana, C., Gundogdub, K., Baya, E., & Celkan, H. Y. (2012). A study on the university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skills and self-efficacy perceptions in terms of different variables. Procedia -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46, 1806-1811. http://doi.org/10.1016/j.sbspro.2012.05.383 

  25. Pham, J. C., Andrawis, M., Shore, A. D., Fahey, M., Morlock, L., & Pronovost, P. J. (2011). Are temporary staff associated with more severe emergency department medication errors? Journal for Healthcare Quality, 33(4), 9-18. http://dx.doi.org/10.1111/j.1945-1474.2010.00116.x 

  26. Sherer, M., Maddux, J. 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W.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27. Sherriff, K., Burston, S., & Wallis, M. (2012). Effectiveness of a computer based medication calculation education and testing programme for nurses. Nurse Education Today, 32, 46-51. http://doi.org/10.1016/j.nedt.2011.01.020 

  28. Simonsen, B. O., Johansson, I., Daehlin, G. K., Osvik, L. M., & Farup, P. G. (2011). Medication knowledge, certainty, and risk of errors in health care: A cross-sectional study.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11, 175-6963-11-175. http://dx.doi.org/10.1186/1472-6963-11-175 

  29. Walsh, K. A. (2008). The relationship among mathematics anxiety, beliefs about mathematics, mathematics self-efficacy, and mathematics performance in associate degree nursing students.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9, 226-229. 

  30. Wright, K. (2004). An investigation to find strategies to improve student nurses' maths skill. British Journal of Nursing, 13(21), 1280-1284. 

  31. Wulff, K., Cummings, G. G., Marck, P., & Yurtseven, O. (2011) Medication administration technologies and patient safety: A mixed-method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7(10), 2080-2095. http://doi.org/10.1111/j.1365-2648.2011.05676.x 

  32. Yang, N. Y., & Moon, S. Y. (2007).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self-directed learning wi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3(4), 473-480. 

  33. Yang, S, H., Ha, E. H., Lee, O. C., Sim, I. O., Park, Y. M., Nam, H, N., et al. (2012). Academic achievement, self-directed learning,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ccording to learning style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Fundamental Nursing, 19(3), 334-34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