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약물계산 오류예방을 위한 간호사의 역량과 투약안전과 관련된 병원조직풍토간의 정준상관관계
Canonical Correlation between Drug Dosage Calculation Error Prevention Competence of Nurses and Medication Safety Organizational Climate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4 no.6, 2012년, pp.569 - 579  

김명수 (국립 부경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rug dosage calculation error prevention competence and medication safety organizational climate. Methods: We surveyed 207 nurses from 15 hospitals. An assessment survey was designed to assess the medication safety orga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실시 전 연구자소속 기관의 연구윤리를 검증하는 위원회로부터 연구에 대한 승인을 얻은 후 자료수집을 시작하였다(PKNU-7). 다기관 설문지였으므로 본 기관의 프로토콜을 다기관에 철저히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자료수집에 앞서 대상자에게 본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한 후 연구참여 동의서를 서면으로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정보가 보호될 수 있도록 설문 후 밀봉하도록 하였다.
  • 이는 잠재적으로 환자안전이 향상된 것이라 볼 수 있으며, 이러한 계획행위는 일회성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이루어져야 의의가 있을 것이다. 둘째, 비난없이 오류보고가 가능한 시스템을 개발하고 적절한 촉진전략을 마련하는 것이다. 발생한 오류에 대해 개방적으로 논의할 수 있도록 정례적인 모임을 개최하는 것, 발생한 오류에 대한 발상전환을 하고 오류예방기술의 교육과 훈련의 제공, 오류의 통계적 분석, 시스템 자체의 재설계 등 다양한 방안을 도출해내야 하고(McFadden et al.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약물계산 오류예방역량과 그들이 지각하는 투약안전 조직풍토와 간의 상관성을 규명하고자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300병상 이상의 병상을 가진 전국의 15개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207명을 대상으로 2011년 7월부터 8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를 분석한 연구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
  • 본 연구는 개인의 약물계산 오류예방을 위한 역량과 조직의 투약안전을 위한 조직풍토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병원 간호사의 약물계산오류에 대한 예방역량과 그들이 인지한 투약안전조직풍토간의 관련성을 검증하여 약물계산 오류예방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연구로, 변수들 간의 특성 및 관련성을 토대로 실무에의 적용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아직 조직문화와 조직풍토가 혼용되고 있어 두 개념간 모호성이 존재하고는 있으나, 조직풍토가 보다 구체성을 띈다는 선행연구(Singer et al.
  • 본 연구는 약물계산 오류예방을 위해 간호사가 갖추어야 하는 역량인 계산습관과 계산능력을 조사하고, 그들이 인식하는 투약안전 문화, 투약안전 계획행위, 투약오류 의사소통과 관리역량의 특성을 파악하여, 개인의 약물계산 오류예방역량 변수군과 투약안전 조직풍토 변수군 간의 정준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한 후 이를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하며, 현재 투약간호를 실시하고 있는 일반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의뢰 시 설문지는 근무평정에 관계하는 직속상관인 수간호사가 아닌 적정 관리실 간호사가 회수하도록 하여 자유로운 참여와 응답의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각 병원별로 15~20부씩의 설문지를 총 270부 배부한 결과 212부(회수율 7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투약오류란 무엇인가? 1999년 미국 의학연구소(Institute Of Medicine, IOM)에서 ‘병원에서의 오류를 통해 한해 최대 98,000여명의 환자가 사망한다’고 보고한(Kohn, Corriagan, & Donaldson, 1999) 이후 전 세계적으로 환자안전이 주목받기 시작하였고, 발생빈도가 높은 투약안전은 더 많은 관심을 받게 되었다. 투약오류란 의사의 처방, 약사의 조제, 간호사의 투약적용 시 발생하는 오류로, 미국의 투약오류보고 시스템인 MEDMARX의 보고내용분석에 따르면 부적절한 용량으로 인한 오류가 22.9%로 비교적 높은 빈도를 보였다(Rinke, Shore, Morlock, Hicks, & Miller, 2007).
조직풍토란 무엇인가? 조직요인 중환자안전에 대한 조직풍토는 환자안전문화의 수준을 나타내주는 지표이다(Flin, 2007). 조직풍토라는 말은 조직문화와 혼용되고 있지만, 조직문화보다 다면적이고 실무중심적인 현상을 말한다(Singer et al., 2007).
안전한 조직풍토를 조성하는것이 투약오류를 낮추는데 도움이 될것이라는 근거는 무엇인가? 조직풍토가 경직되어 있는 경우 환자안전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했을 때 대처가 유연하지 못하며 오류재발을 예방하지 못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Vogelsmeier, Scott-Cawiezell, & Pepper, 2011). 최근 13개월 동안 조직구성원의 의사소통과 협력을 향상시키는 팀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환자안전보고 결과를 분석한 Deering 등(2011)의 연구에서 중재 전 94건이던 의사소통 관련오류 및 투약오류가 59건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투약 안전을 위한 우선적인 덕목은 병원조직의 안전풍토를 구축하는 것이라 볼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derson, J. G., Ramanujam, R., Hensel, D., Anderson, M. M., & Sirio, C. A. (2006). The need for organizational change in patient safety initiatives.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75, 809-817. http://dx.doi.org/10.1016/j.ijmedinf.2006.05.043 

  2. Cigularov, K. P., Chen, P. Y., & Rosecrance, J. (2010). The effects of error management climate and safety communication on safety: A multi-level study.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42, 1498-1506. http://dx.doi.org/10.1016/j.aap.2010.01.003 

  3. Deering, S., Rosen, M. A., Ludi, V., Munroe, M., Pocrnich, A., Laky, C., et al. (2011). On the front lines of patient safety: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team training in Iraq. Joint Commission Journal on Quality and Patient Safety, 37 , 350-356. 

  4. Flin, R. (2007). Measuring safety culture in healthcare: A case for accurate diagnosis. Safety Science, 45 , 653-667. http:// dx.doi.org/10.1016/j.ssci.2007.04.003 

  5. Flynn, B. B., Sakakibara, S., Schroeder, R. G., Bates, K. A., & Flynn, E. J. (1990). Empirical research methods in operation management. Journal of Operations Management, 9 , 250- 284. 

  6. Grandell-Niemi, H., Hupli, M., Leino-Kilpi, H., & Puukka, P. (2003). Medication calculation skills of nurses in Finland.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2 , 519-528. 

  7. Haw, C., & Cahill, C. (2011). A computerized system for reporting medication events in psychiatry: The first two years of operation.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8, 308-315. http://dx.doi.org/10.1111/j.1365-2850.2010.01664.x 

  8. Katz-Navon, T., Naveh, E., & Stern, Z. (2007). The moderate success of quality of care improvement efforts: Three observations on the situation.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19 , 4-7. http://dx.doi.org/10.1093/intqhc/mzl058 

  9. Kim, K. S., Kwon, S. H., Kim, J. A., & Cho, S. H. (2011). Nurses' perceptions of medication errors and their contributing factors in South Korea.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9 , 346-353.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11.01249.x 

  10. Kim, M. S. (2012). Medication error management climate and perception for system use according to construction of medication error prevention syste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 (4), 568-578. http://dx.doi.org/ 10.4040/jkan.2012.42.4.568 

  11. Kohn, L. T., Corriagan, J. M., & Donaldson, M. S. (1999). To err is human: Building a safer health system. Washings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2. Lindquist, L. A., Gleason, K. M., McDaniel, M. R., Doeksen, A., & Liss, D. (2008). Teaching medication reconciliation through simulation: A patient safety initiative for second year medical students.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3, 998-1001. http://dx.doi.org/10.1007/s11606-008-0567-3 

  13. Markowitz, E., Bernstam, E. V., Herskovic, J., Zhang, J., Shneiderman, B., Plaisant, C., et al. (2011). Medication reconciliation: Work domain ontology, prototype development, and a predictive model. AMIA Annual Symposium Process. 878-887. Retrieved November 25, 2011, from http://www. ncbi.nlm.nih.gov/pmc/articles/PMC3243117/pdf/0878_a mia_2011_proc.pdf 

  14. Maxson, P. M., Dozois, E. J., Holubar, S. D., Wrobleski, D. M., Dube, J. A., Klipfel, J. M., et al. (2011). Enhancing nurse and physician collaboration in clinical decision making through high-fidelity interdisciplinary simulation training. Mayo Clinic Proceedings, 86 , 31-36. http://dx.doi.org/ 10.4065/mcp.2010.0282 

  15. McFadden, K. L., Henagan, S. C., & Gowen, C. R. (2009). The patient safety chain: Transformational leadership's effect on patient safety culture, initiatives, and outcomes. Journal of Operations Management, 27, 390-404. 

  16. McMullan, M., Jones, R., & Lea, S. (2011). The effect of an interactive e-drug calculations package on nursing students drug calculation ability and self-efficacy.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80 , 421-430. http://dx.doi. org/10.1016/j.ijmedinf.2010.10.021 

  17. O'Connell, B., Crawford, S., Tull, A., & Gaskin, C. J. (2007). Nurses' attitudes to single checking medications: Before and after its us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3, 377-382. http://dx.doi.org/10.1111/j.1440-172X.2007. 00653.x 

  18. Pape, T. M., Guerra, D. M., Muzquiz, M., Bryant, J. B., Ingram, M., Schranner, B., et al. (2005). Innovative approaches to reducing nurses' distractions during medication administration.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36 , 108-116. 

  19. Reason, J. (1995). Understanding adverse events: Human factors. Quality in Health Care Journal, 4 (2), 80-89. 

  20. Rinke, M. L., Shore, A. D., Morlock, L., Hicks, R. W., & Miller, M. R. (2007). Characteristics of pediatric chemotherapy medication errors in a national error reporting database. Cancer, 110, 186-195. http://dx.doi.org/10.1002/cncr.22742 

  21. Roykenes, K., & Larsen, T.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s' mathematics ability and their performance in a drug calculation test. Nurse Education Today, 30, 697-701. http://dx.doi.org/10.1016/j.nedt.2010.01.009 

  22. Seki, Y., & Yamazaki, Y. (2006). Effects of working conditions on intravenous medication errors in a Japanese hospital.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4 , 128-139. http://dx. doi.org/10.1111/j.1365-2934.2006.00597.x 

  23. Sexton, J. B., Thomas, E. J., & Helmreich, R. L. (2000). Error, stress and teamwork in medicine and aviation; Cross-sectional surveys. BMJ, 320 , 745-749. 

  24. Singer, S., Meterko, M., Baker, L., Gaba, D., Falwell, A., & Rosen, A. (2007). Workforce perceptions of hospital safety cultur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atient safety climate in healthcare organizations survey. Health Services Research, 42, 1999-2021. http://dx.doi.org/10.1111/j.1475-6773.2007.00706.x 

  25. Simpson, C. M., Keijzers, G. B., & Lind, J. F. (2009). A survey of drug-dose calculation skills of Australian tertiary hospital doctors. The Medical Journal of Australia, 190, 117-120. 

  26. Stock, G. N., McFadden, K. L., & Gowen, C. R. (2007). Organizational culture, critical success factors, and the reduction of hospital errors.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Economics, 106 , 368-392. 

  27. Tabachnick, B. G., & Fidell, L. S. (2001).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4th ed.). Needham heights, Boston, MA: Allyn & Bacon, 117. 

  28. Tang, F. I., Sheu, S. J., Yu, S., Wei, I. L., & Chen, C. H. (2007). Nurses relate the contributing factors involved in medication error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6 , 447-457. http://dx. doi.org/10.1111/j.1365-2702.2005.01540.x 

  29. van Dyck, C., Frese, M., Baer, M., & Sonnentag, S. (2005). Organizational error management culture and its impact on performance: A two-study replic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0, 1228-1240. http://dx.doi.org/10.1037/0021-9010.90.6.1228 

  30. Vogelsmeier, A. A., Scott-Cawiezell, J. R., & Pepper, G. A. (2011). Medication reconciliation in nursing homes: Thematic differences between RN and LPN staff.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37 , 56-63. http://dx.doi.org/10.3928/00989134-20111103-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