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국민건강보험시장에서의 제네릭 의약품 사용 양상과 영향 요인
Generic Utilization in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Market; Cost, Volume and Influencing Factors 원문보기

약학회지 = Yakhak hoeji, v.58 no.2, 2014년, pp.99 - 106  

이인향 (영남대학교 약학대학) ,  박실비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이의경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s the prescribing pattern of generic drug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the use of generics in South Korea. The analysis was based on claims data of 2011 from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We examined utilization, costs, and market share of oral p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1년 경구 처방약 시장에서의제네릭 약품의 사용 경향을 분석하였다. 원내/외 처방을 불문하고 제네릭 약품은 오리지널 약품에 비해 낮은 사용량 및 약품비를 점유하였다.
  • 첫째, 본 연구는 경구약 시장만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주사약을 포함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달리 최고가약을 일괄적으로 오리지널 제품으로 가정하지 않고 개별 제품에 대해 특허 정보를 조사하여 오리지널/제네릭 약품으로 구분하여 보다 실질적인 제네릭 시장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에, 경구약품 만으로도 그 작업이 방대하였고, 주사제품의 경우 경구약품에 비해 특허 정보를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더욱 커 본 연구에는 포함하지 못했다.
  • 따라서, 향후 제네릭의약품에 대한 정책개발과 정책효과를 평가하고, 국제 시장 동향과의 비교를 위해 국내 제네릭 의약품 시장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지속적으로 구축할 필요성이 크다고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보험약품시장에서 사용되는 의약품을 오리지널 및 제네릭 의약품으로 구분하여 향후 자료 분석의 초석을 마련하고, 제네릭 의약품 사용 규모 및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제네릭 사용 경향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학적, 사회경제적 요인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 약품 시장은 치료군별로 그 규모나 특성이 매우 다르나 연구에 사용된 자료가 인 구단위 보험청구 자료여서 이를 고려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본 연구에서는 WHO ATC 분류를 회귀분석 모형에 포함하여 그 영향을 최대한 배제하고자 하였다. 분석은 SAS 9.
  • 신주영과 최상은17)은 우리나라의 절감액이 상대적으로 낮은 까닭은 우리 보험시장에서 사용되는 제네릭 제품들의 가중평균가가 높은 때문으로 추정하였다. 즉, 상대적으로 고가 제네릭 제품의 사용이 선호되는 때문으로 추정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는 이러한 추정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전체 의료비 중 약품비 비중은? 여러 선진국들은 의료의 질을 보장하는 동시에 약품비 상승을 억제하고자 상대적으로 저가인 제네릭 의약품의 사용을 권장하는 정책을 다각도로 실시하고 있다.1-5) 우리나라는 전체 의료비 중 약품비 비중이 25~30%로 높으며, 증가율 또한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편이다.6) 
오리지널/제네릭 의약품 구분 중 단일공급자 오리지널 약품은 무엇이라고 정의할 수 있는가? ■ 단일 공급자(Single-source) 오리지널 약품: 국내 보험시장에 동일 성분의 제품이 없는 오리지널 의약품. 단, 동일 성분의 기준은 주성분코드임. 
우리나라는 오리지널 의약품과 제네릭 의약품을 행정적으로 구분하지 않는데, 선행 연구에서 오리지널 의약품으로 본 것은? 10,11) 제네릭 장려 정책을 통해 약품비 절감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제네릭 의약품 시장에 대해 다각도로 연구를 진행하여 관련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 실시된 정책의 성과를 평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11-14) 우리나라는 오리지널 의약품과 제네릭 의약품을 행정적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지 않으므로 이 주제와 관련한 많은 선행연구들이 제품의 보험기준단가를 이용하여 편의로 최고가 제품을 오리지널 의약품으로 분류하여 연구에 활용하였다.9,15) 유미영16)의 연구에서는 선택된 181개 오리지널 의약품 중 31개가 동일 성분의 제네릭 의약품보다 가격이 낮은 것을 보고하였고, 가격기준을 사용했을 때의 미흡함을 생동성인정품목리스트로 보완하여 활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Jacobzone, S. : Pharmaceutical policies in OECD countries: reconciling social and industrial goals. Paris,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00). 

  2. National Economic Research Associates: Policy relating to generic medicines in the OECD. London, European Commission, National Economic Research Associates (1998). 

  3. Simoens, S. and De Coster, S. : Sustaining generic medicines markets in Europe. Research Centre for Pharmaceutical Care and Pharmaco-economics, Katholieke Universiteit Leuven (2006). 

  4. Vogler, S., Zimmermann, N., Leopold, C. and de Joncheere, K. : Pharmaceutical policies in European countries in response to the global financial crisis. South Med Rev. 4, 69 (2011). 

  5. Rhee, J. and Shin, G. : Factors associated with fixed budgets for pharmaceuticals in European Countries. Yakhak Hoeji 57, 213 (2013). 

  6. OECD : Health at a glance 2011: OECD indicators. OECD Publishing (2011). 

  7. Jang, S., Park, C.-M., Bae, G., Lee, H.-J. and Kim, H.-S. : Determinants of publicly funded drug expenditure in South Korea.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1). 

  8. Kim, S.-O. : Realities in expensive drug prescribing and its determinants. Health Insurance Forum. 4, 57 (2005). 

  9. Yoon, H.-S. : National Insurance reimbursement pricing scheme: challenges and a strategy for improvement. Seoul, Korea Development Institute (2008). 

  10. Lee, T.-L., Hsuan, C.-F., Chang, H.-L., Wu, G. H.-M., Tseng, W.-K. and Wu, C.-C. : Is it cost-effective to change brand-name to generic simvastatin in Taiwan? Acta Cardiologica Sinica. 24, 191 (2008). 

  11. Kanavos, P. : Do generics offer significant savings to the UK National Health Service? Current Medical Research & Opinion. 23, 105 (2007). 

  12. Chen, A. Y. and Wu, S. : Dispensing pattern of generic and brand-name drugs in children. Ambulatory Pediatrics. 8, 189 (2008). 

  13. Fischer, M. A. and Avorn, J. : Economic consequences of underuse of generic drugs: evidence from Medicaid and implications for prescription drug benefit plans. Health Services Research 38, 1051 (2003). 

  14. Morgan, S. G., Bassett, K. L., Wright, J. M., Evans, R. G., Barer, M. L., Caetano, P. A. and Black, C. D. : "Breakthrough" drugs and growth in expenditure on prescription drugs in Canada. BMJ 331, 815 (2005). 

  15. Huh, S.-I., Jung, J.-C. and Lee, H.-Y. : A strategy for rationalising pharmaceutical expenditure.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06). 

  16. You, M.-Y. : A study on the market-share of original drugs since first generic entry.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Yonsei University (2007). 

  17. Shin, J.-Y. and Choi, S.-E. : The volume and the price of generic drug consumption in Korean prescription drug market.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14, 103 (2008). 

  18. Lee, I.-H. : Evaluating pharmaceutical policy in South Korea. Health Sciences. York, University of York (2010). 

  19. Park, S., Jang, Y.-S., Chae, S.-M., Park, E.-J., Kim, N.-S., Lee, E. K. and Lee, I.-H. : An indepth study of the utilization and costs of pharmaceuticals in South Korea, 2010].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1). 

  20. Park, S., Jang, Y.-S., Chae, S.-M., Park, E.-J., Lee, E. K. and Lee, I.-H. : An indepth study of the utilization and costs of pharmaceuticals in South Korea, 2011.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2). 

  21. Bulfone, L. : High prices for generics in Australia- more competition might help. Australian Health Review 33, 200 (2009). 

  22. Schweitzer, S. O. : The worldwide market for pharmaceuticals. Pharmaceutical economics and policy. 2nd ed.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p. 157 (2007). 

  23. Vogel, R. J. : Sales and marketing expenditures. Pharmaceutical economics and public policy. Pharmaceutical Products Press. New York. p. 147 (2007). 

  24. Cassels, A. and Lexchin, J. : Potential savings from therapeutic substitution of 10 of Canada's most dispensed prescription drugs. In: Temple NJ, Thompson A, eds. Radcliffe Publishing Ltd. Norfolk. p. 80 (2007). 

  25.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Comprehensive quality report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2009.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