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 건강검진 수진자에서 대사증후군과 한방비만변증의 관련성
Rel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Obesity Pattern Identification Questionnaire in Middle-aged Health Check-up Examine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Medicine = 대한한의학회지, v.35 no.1, 2014년, pp.124 - 134  

유정은 (부산대학교한방병원 한의약임상연구센터) ,  조영혜 (양산부산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  구현경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한의학과) ,  김보영 (한국한의학연구원) ,  윤영주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동서협진의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Metabolic syndrome is considered a coronary heart disease risk factor and its prevalence rate is increasing in Korea. Because obesity is relevant to metabolic syndrome,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the Obesity Pattern Identification Questionnaire in mi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황 등은 갱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간울변증과 내장비만의 상관성을 분석하였지만 유의한 상관성은 없다고 하였다15). 그러나 한방비만변증과 대사증후군의 연관성을 살펴본 본 연구는 기존에 없었고, 변증과 검사 값을 연계하여 대사증후군 관리에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는 없었기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에서 대사증후군의 비율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있었으나 대사증후군과 한방비만변증의 관련성에 대한 보고는 없었다. 비만과 대사증후군은 병리적인 관련성이 깊기 때문에 중년 건강검진 수진자를 대상으로 대사증후군과 한방비만변증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번 연구에서 고중성지방군과 정상군의 유의한 점수 차이는 5점 내외였는데, 구체적으로 변증의 어떤 세부 문항에서 점수 차이가 나는지 알아보고 임상에서 나타내는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고중성지방군에서 간울증의 ‘작은 일에도 쉽게 화가 난다’와 ‘평소에 고민, 걱정을 많이 한다’ 문항 점수와 식적증의 ‘과식, 폭식을 자주 한다’와 ‘배가 불러도 음식을 먹는 경향이 있다’의 문항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Table 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사증후군은 어떠한 질병과 동반되어 나타나는가? 대사증후군은 복부비만, 고혈압, 이상지혈증, 고혈당이 동반되어 나타나며 특히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대사증후군 유병률의 증가는전 세계적인 추세인데, 미국의 2006년 대사증후군 유병율은 34.
대사증후군 유병률의 증가는 전 세계적인 추세인데 국내의 추세는 어떠한가? 대사증후군 유병률의 증가는전 세계적인 추세인데, 미국의 2006년 대사증후군 유병율은 34.2%였고, 우리나라의 유병율은 1998년 24.9%, 2001년 29.2%, 2005년 30.4%, 2007년 31.3%등으로 매년 평균 약 0.6%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
대사증후군과 한방비만변증의 관련성을 살펴본 본 연구의 결론은? 1.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인 고중성지방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한방비만변증의 비허증, 담음증, 간 울증(p<0.05)과 식적증(p<0.01)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2. 대사증후군의 진단지표인 중성지방과 한방비만변증의 비허증, 담음증, 식적증 점수는 유의한 (p<0.05)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3. 남녀를 나누어 통계분석 했을 때 여성에서만 고중성지방군이 정상군에 비해 식적증과 간울증 (p<0.05)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4. 고중성지방군에서 간울증의 ‘작은 일에도 쉽게 화가 난다’ ‘평소에 고민, 걱정을 많이 한다’ 와 식 적증의 ‘과식, 폭식을 자주 한다’와 ‘배가 불러도 음식을 먹는 경향이 있다’의 문항점수가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p<0.05) 높게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Guideline for obesity 2012, Seoul: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2:129-37. 

  2.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Source book for obesity. Seoul: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2009:27-30, 33-46, 397-403. 

  3. Moon JS, Kang BG, Ryu EK, Choi SM, A study of syndrome index differentiation in obesity. Journal of Society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2007;7(1):55-69. 

  4. Moon JS, Kang BG, Kang KW, Sim WJ, Shin MS, Choi SM. Weighting method based on experts opinions for obesity syndrome differentiation questionnaire. Journal of Society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2008;8(1):53-61. 

  5. Kang KW, Moon JS, Kang BG, Kim BY, Shin MS, Choi SM. The comparison of pattern identification diagnosis according to symptom scale based on obesity pattern identification questionnaire. Journal of Society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2009;9(1): 37-44. 

  6. Min IK, Kim CH, Hwang JW, Park JY, Lee SY, Choi WW, et al. The relation of dampness-phlegm and metabolic syndrome in acute stroke patients. J Korean Oriental Med. 2009;30(1):109-19. 

  7. Lee TG, Hwang MW, Lee SK, Choe BK, Song IB. A study on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the metabolic syndrome and sasang constitution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J Korean Oriental Medicine. 2006;27(2):14-22. 

  8. Yun WY, Yu JS, Park JK. Metabolic syndrome and sasang constitution in cohort study. J Sasang Constitut Med. 2013;25(1): 1-13. 

  9. Ghosh A. The metabolic syndrome: a definition dilemma. Cardiovasc J Afr. 2011; 22(6):295-6. 

  10. Lim S, Shin H, Song JH, Kwak SH, Kang MS, Yoon JW, et al. Increasing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 Diabetes Care. 011;34:1323-8. 

  11. Kim S, Jin SH, Kim TH. A study on etiological factors, symptoms of a disease, and treatments of obesity based on Dong Yi Bo Gam. J Korean Oriental Med. 1998;19(2): 125-36. 

  12. Hwang MJ, Moon JS, Park KS, Song MY. Analysis of oriental obesity pattern identification questionnaire on over weight and obese korean adult women. Journal of Society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2008;8(2): 63-72. 

  13. Chung WS, Hwnag MJ, Lee AR, Moon JS, Choi SM, Song MY. The difference of syndrome differentiation patterns between premenopausal and climacteric obese korean women. Journal of Society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2008;8(2):37-47. 

  14. Kim EJ, Lee AR, Hwang MJ, Jo JH, Choi SM, Chung SH et al. Relationship between visceral adipose tissue and oriental obesity pattern identification in obese korean women. J Oriental Rehab Med. 2011;21(2):279-88. 

  15. Hwang MJ, Chung SH, Hwang DS, Song MY. Correlation between visceral adipose tissue and stagnation of the liver qi in korean perimenopausal women. J Oriental Rehab Med. 2008;18(2): 143-56. 

  16. Yun YJ, Cho YJ, Lee Jh, Lim JH, Seong YW. A review study in the correlation between pattern identificatio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examination -research on CNKI-.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3;24(1):13-26. 

  17. Sarwar N, Danesh J, Butterworth A, Angelantonio E. Triglyceride-mediated pathways and coronary disease: collaborative analysis of 101 studies. Lancet. 2010;375:1634-9. 

  18. Sarwar N, Danesh J, Eiriksdottir G, Sigurdsson G, Wareham N, Bingham H, et al. Triglycerides and the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Circulation. 2007;115:450-8. 

  19. Kim K. Handbook of obesity treatment in oriental medicine. Kirin Publisher. 2005:27-30, 139-77. 

  20. Baik IK. Studies on dietary patterns in the prevention of metabolic syndrome. Food Industry and Nutrition. 2011;16(2):45-8. 

  21. Park JK, Kweon SH, Kin YH, Jang MJ, Oh KW. Dietary Behaviors Related to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2;17(5):664-5. 

  22. Kim BS, Lim JH, Lee MH, Yun YJ. Reliability study of the pattern identification questionnaire developed by korean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The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Diagnostics. 2013;17(1): 29-44. 

  23. Park KS, Yoo SY, Park YJ, Lee CH, Cho JH, Jang JB, et al. A study on diagnostic pattern questionnaire associated with body mass index in 20-40's women. Journal of Society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2011; 11(1):25-34. 

  24. Choi SY, Bae KR, Park JY, Jung JH, Shin KM, Seo GM, et al. Case report of metabolic syndrome patients improved with oriental medical treatment and dietetic therapy. Journal of Society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2009;9(2):65-7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