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 교육에서 초·중등학생의 집단 창의성 함양을 위한 디자인적 사고 프로세스의 제안 및 타당성 검토 연구
The Suggestion of Design Thinking Process and its Feasibility Study for Fostering Group Creativity of Elementary-Secondary School Students in Science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5 no.3, 2015년, pp.443 - 453  

이도현 (효원고등학교) ,  윤지현 (단국대학교) ,  강성주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과학 교육에 도입 가능한 디자인적 사고 프로세스를 제안하고, 집단 창의성의 발현 측면에서 프로세스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국외에서 개발된 다양한 디자인적 사고 프로세스로부터 우리나라 과학 교육 상황에 적용 가능한 디자인적 사고 프로세스를 선정하고, 이를 수정 및 보완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디자인적 사고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고, 이를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관련 지식 이해', '공감', '관점 공유', '아이디어 생성', '프로토타입'의 다섯 단계로 디자인적 사고 프로세스를 제안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를 과학 교육 현장에 적용한 결과, 관련 지식 이해 단계에서는 관계 형성과 정보 수집 요소를, 공감 단계에서는 사용자 지향, 관계 형성, 대인 이해 요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관점 공유 단계에서는 팀의 조직 요소를, 아이디어 생성 단계에서는 분석적, 전략적 사고력 요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프로토타입 단계에서는 의사소통과 분석적, 전략적 사고력 요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집단 창의성 과정에 능숙한 전문가들로부터 발견되는 집단 창의성의 핵심 속성을 학생들로부터 모두 확인할 수는 없었지만, 이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세스를 통해 우리나라 학생들이 집단 창의성이 발현되는 과정을 경험하고, 관련 가치를 배울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suggested the design thinking process that was possible to be introduced in science education and also examined the validity of the process in terms of group creativity. To do this, the design thinking process applicable to science education was selected from a variety of design th...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협력 학습에는 무엇이 강조되어 왔는가? , 1998; Johnson, Johnson, & Stanne, 2000; Sharan, 1980), 협력 학습을 이루는 주요 원리에 대해서도 대체적인 합의를 이루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협력 학습에서는 일반적으로 긍정적 상호의존, 개인적 책무성, 촉진적 상호작용, 사회적 기술의 적절한 활용, 그리고 집단 처리 과정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 등이 강조되어 왔다(Johnson & Johnson, 2009; Johnson, Johnson, & Smith, 2007). 그러나 이와 같은 원리는 일반적인 집단 과제 수행에서 요구되는 요건을 포괄적으로 드러낸 것으로서, 집단 창의성의 구현에 초점을 맞춘 교육적 원리로서는 미흡한 부분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집단 창의성이란? 집단 창의성(Group Creativity)이란 자기 정체성을 공유한 집단이 공통의 목표 달성을 위해 유용할 것으로 기대되는 아이디어를 협력적 상호작용을 통해 개발하고 표현하는 과정이다(Nijstad & Paulus, 2003). 개별적 특징을 지닌 집단 구성원들 간의 소통과 협업은 집단의 응집된 사고와 통찰을 이끌어내어 인간의 사고를 더욱 창의적으로 만들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부분은 집단 창의성의 가치를 간과할 수 없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Ha, Lee, & Ryu, 2011).
여러 사람들이 함께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사례에는 무엇이 있는가? 최근 우리사회에 어느 한 개인이나 한 분야의 노력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복잡한 문제들이 등장함에 따라 여러 사람들이 함께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사례가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세계적인 디자인 회사 아이디오(IDEO)나 실리콘밸리의 첨단 기업인 애플 컴퓨터(Apple Computer) 등은 모두 협력에 기초하고 있다(Martin, 2009). 유럽 핵입자 물리학 연구소(CERN)와 같이 고도의 기술력을 가지고 있는 연구소도 수많은 실험실들과 국제적인 협력 관계를 맺으면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Sawyer, 2007). 이는 다양한 사람들 간의 장점이 서로 교환됨에 따라 가치 창출을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경향은 앞으로도 가속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Lee, 2012; Malone, 2008; Shalley, Zhou, & Oldham,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ntil, L. A., Jenkins, J. R., Wayne, S. K., & Vadasy, P. F. (1998). Cooperative learning: Prevalence, conceptualization, and the relation between research and practic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5(3), 419-454. 

  2. Brown, T. (2010). Change by design [Ko, S. Y.]. Paju: Gimyoungsa Press. 

  3. Burnette, C. (1996). Design-based education: 12, Unpublished materials. University of the Arts. 

  4. Carroll, M., Goldman, S., Britos, L., Koh, J., Royalty, A., & Hornstein, M. (2010). Destination, imagination, and the fires within: Design thinking in a middle school classroom. International Journal of Art & Design Education, 29(1), 37-53. 

  5. Dillenbourg, P. (1999). Introduction: What do you mean by collaborative learning?. In P. Dillenbourg (Ed.), Collaborative learning: Cognitive and computational approaches. New York: Elsevier Science Press. 

  6. Gillies, R. M., Ashman, A. (2003). Cooperative learning: The social and intellectual outcomes of learning in groups. New York: Psychology Press. 

  7. Goldman, S., Carroll, M. P., Kabayadondo, Z., Cavagnaro, L. B., Royalty, A. W., Roth, B., Kwek, S. H., & Kim, J. (2012). Assessing learning: Capturing the journey of becoming a design thinker. Design Thinking Research, Understanding Innovation. 

  8. Ha, J. H., Lee, B. I., & Ryu, H. S. (2011). Study on the creativity of an individual and a group level, and the effects of rewards in a group level. Korean Society for Creativity Education, 11(1), 89-108. 

  9. Helms, J. E. (1992). A race is a nice thing to have: A guide to being a white person or understanding the white persons in your life. Topeka, KS: Content Communications. 

  10. IDEO (2011). Design thinking for educators toolkit from http://www.designthinkingforeducators.com/DTtoolkit_v1_062711.pdf. 

  11. Jeon, J. H. (2013). An exploration of current state of collective intelligence in engineering college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7(1), 1-34. 

  12. Johnson, D. W., & Johnson, R. T. (2009). An educational psychology success story: Social interdependence theory and cooperative learning. Educational Researcher, 38(5), 365-379. 

  13. Johnson, D. W., Johnson, R. T., & Smith, K. (2007). The state of cooperative learning in postsecondary and professional settings.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9, 15-29. 

  14. Johnson, D. W., Johnson, R. T., & Stanne, M. B. (2000). Cooperative learning methods: A meta-analysis. University of Minnesota. Retrieved August 12, 2010, from http://www.tablelearning.com/uploads/File/EXHIBITB.pdf. 

  15. Joung, Y. J. (2014).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implications of community of inquiry for science education toward community of inquiry in science classroo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3), 303-319. 

  16. Kelley, T., & Kelley, D. (2014). Creative confidence [Park, J. S.]. Seoul: Chungrim Press. 

  17. Kolodner, J. L., Camp, P. J., Crismond, D., Fasse, B., Gray, J., Holbrook, J., Puntambekar, S., & Ryan, M. (2003). Problem-based learning meets case-based reasoning in the middle-school science classroom: Putting learning by design into practic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2(4), 495-547. 

  18. Kwek, D. (2011). Innovation in the classroom: Design thinking for 21st century learning. Stanford University Master Thesis. 

  19. Lee, D. H., Yoon, J. H., & Kang, S. J. (2014). The introduction of design thinking to science education and exploration of its characterizations as a method for group creativity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2), 93-105. 

  20. Lee, H. J., Choi, Y. H., & Ko, Y. J. (2014). Designing collective intelligence-based instructional models for teaching socioscientific issu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6), 523-534. 

  21. Lee, J. S., & Eune, J. H. (2012). A study of open collaboration creative thinking system based on design thinking. Journal of Digital Design, 12(3), 180-190. 

  22. Lee, S. S. (2012). New directions in educational innovation as a response to the networked society. Teacher Education Research, 51(2), 282-296. 

  23. Lee, Y. N., & Lee, S. S. (2009). Conceptual design principles of collective intelligenc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5(4), 213-239. 

  24. Malone, T. W. (2008). What is collective intelligence and what will we do about it?. In Mark Tovey. Collective intelligence: Creating a prosperous world at peace(1-4). Oakton, Virginia: Earth Intelligence Network. 

  25. Martin, R. L. (2009). Design thinking [Lee, G. S.]. Seoul: Woongjin Wings Press. 

  26. Mesmer-Magnus, J., & DeChurch, L. (2009). Information sharing and team performance: A meta-analysi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4(2), 535-546. 

  27. Mioduser, D., & Kipperman, D. (2002). Evaluation/modification cycles in junior high students'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and Design Education, 12(2), 123-138. 

  28. Munari, B. (2010). Da cosa nasce cosa [Yang, Y. W.]. Paju: Doosungbooks. 

  29. Nam, J. Y., & Kim, H. M. (2013). A study on necessity of application of design process in secondary school art education for enhancing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Korea Science & Art Forum, 10, 65-76. 

  30. Never, H., Finsterwald, M., & Urban, N. (2001). Cooperative learning with gifted and high-achieving students: A review and meta-analyses of 12 studies. High Ability Studies, 12(2), 199-214. 

  31. Nijstad, B. A., & Paulus, P. B. (2003). Group creativity: Innovation through collaboration innovation through collabor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32. Sawyer, R. K. (2007). Group genius: The creative power of collaboration. NY: Basic Books Press. 

  33. Seelig, T. (2012). In genius: A crash course on creativity [Kim, S. H.]. Seoul: Eldorado Press. 

  34. Shalley, C., Zhou, J., & Oldham, R. G. (2004). The effects of personal and contextual characteristics on creativity: Where should we go from here. Journal of Management, 30(6), 933-958. 

  35. Sharan, S. (1980). Cooperative learning in small groups: Recent methods and effects on achievement, attitudes, and ethnic relation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0(2), 241-271. 

  36. van Ginkel, W. P., & van Knippenberg, D. (2008). Knowledge about the distribution of information and group decision making: When and why does it work?.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108(2), 218-229. 

  37. Webb, N. M., & Mastergeorge, A. M. (2003). The development of students' helping behavior and learning in peer-directed small groups. Cognition and Instruction, 21(4), 361-428. 

  38. Welch, M. (1998). Students' use of three-dimensional modelling while designing and making a solution to a technological problem.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and Design Education, 8(3), 241-260. 

  39. Wright, K. B. (2000). Social support satisfaction, on-line communication apprehension, and perceived life stress within computer-mediated support groups. Communication Research Reports, 17, 139-147. 

  40. Yang, M. K. (2011). Exploring the principles of collaborative learning for realiz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23(2), 457-483. 

  41. You, Y. M. (2008). Learning power. Seoul: WisdomHouse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