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교 생명과학 수업의 진단평가 및 형성평가에서 교실응답시스템의 활용 효과
Practical Use of the Classroom Response System (CRS) for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s in a High School Life Science Clas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4 no.3, 2014년, pp.273 - 283  

강정민 (한국교육방송공사) ,  심규철 (공주대학교) ,  동효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김운화 (진주제일중학교) ,  손정우 (경상대학교) ,  곽대오 (경상대학교) ,  오경환 (경상대학교) ,  김용진 (경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문제풀이 중심으로 운영되는 고등학교 생명과학 수업에서 교육매체의 일종인 교실응답시스템(CRS)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수 학습 전략으로 CRS 활용반(34명)은 학생들이 CRS단말기로 응답한 결과를 교사가 즉시 파악하고 개인별 응답 이유를 질문한 후 피드백을 하였다. 비교반(35명)에서는 CRS를 사용하지 않았으며 학생들에게 일괄적인 피드백을 하였다. 연구 결과, CRS 활용이 학생들로 하여금 수업 활동에 흥미와 집중력을 높여주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학업 성취도의 향상에 있어서 CRS 활용반과 비교반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다만 성적 수준에 따라 그룹을 나누었을 때, 중위그룹에서는 CRS 활용반과 비교반 사이에 학업 성취도의 향상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진단평가 및 형성평가에서 CRS 활용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수준의 문제들을 사전에 개발하고, 학생들의 응답 이유를 정확히 파악하여 더욱 많은 학생들에게 개인별 맞춤형 피드백을 할 수 있는 교수 전략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tential of the use of the Classroom Response System (CRS), a kind of new ICT medium, in a quiz problem-solving oriented high school life science class. To find the usefulness of CRS as a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the CRS group (n=34) sent prompt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등학교 물리 수업에 CRS를 도입함으로써 물리 개념의 이해에 효과가 있음을 보고한 연구(Jung & Jeon, 2008)와 사회과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 향상에 CRS 활용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연구(Kim & Kim, 2010)가 있을 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RS와 같은 모바일 응답매체를 형성평가 중심의 고등학교 과학(생명과학) 수업 전략에 활용한 효과와 고등학생 및 과학 교사들의 인식 조사를 통한 진단평가와 형성평가 도구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대학입시 준비를 하는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학생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 윤리적 측면을 고려하였다. 교수‧ 학습 활동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생명 과학Ⅰ (Shim et al.
  • 본 연구는 문제풀이 중심으로 운영되는 고등학교 생명과학 수업에서 교육매체의 일종인 교실응답시스템(CRS)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수․ 학습 전략으로 CRS 활용반(34명)은 학생들이 CRS 단말기로 응답한 결과를 교사가 즉시 파악하고 개인별 응답 이유를 질문한 후 피드백을 하였다.
  • 실험반과 비교반의 차이점은 CRS 사용 유․ 무와 개인별 피드백의 유․ 무에 있다. 실험반은 CRS 응답 매체를 사용함으로써 개별 학생의 응답 상황 파악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피드백 방법의 수업 전략에도 차이가 생기게 되므로 이를 포함하여 CRS 응답 매체의 활용에 따른 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비교반은 실험반과 다르게 CRS를 사용하지 않았으며,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수업 상황에 맞추어 교사가 정답을 제시하고 학생의 응답을 소리나 손들기로 확인한 후에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일괄적인 문제풀이 해설을 하는 피드백을 적용 하였다.

가설 설정

  • CRS로 내 점수가 즉시 모두에게 공개되니 부끄럽고 스트레스를 받는다. (유사 응답자 5명).
  • 개념 이해가 제대로 되지 않는 상태에서 너무 질문 위주로 수업하는 방식은 좋지 않다. 문제를 읽고 이해할 시간이 부족한 점이 아쉬웠다.
  • 학생들이 CRS 기기 사용에 흥미를 느껴 수업에 적극 참여해요. CRS를 통해 학생들의 응답 결과를 신속하게 확인하고 설명해 줄 수 있는 수업의 편리성도 아주 좋고요.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대학입시를 준비하는 주요 방법은 무엇인가? 학교 학습의 진행 과정에서 교사는 학생의 학습 도달 수준을 확인하거나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평가 도구를 활용할 수 있다. 우리나라 일반계 고등학교에서는 대학입시를 준비하는 주요 방법으로서 평가 중심의 교수․ 학습 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다. 교수 학습 과정에서 행해지는 진단평가와 형성평가는 실제적인 수업 과정 중에 학습자의 이해를 평가하여 학습 안내를 위한 자료로 활용한다는 점에서 교수․ 학습의 한 과정이며(Park, Nam, & Yoo, 2000), 학생이 배운 것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학업 성취도를 높여주는 기능을 갖는다(Crooks, 1988; Kim, 2008).
문제풀이 중심으로 운영되는 고등학교 생명과학 수업에서 교육매체의 일종인 교실응답시스템(CRS)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연구 분석 한 결과는? 비교반(35명)에서는 CRS를 사용하지 않았으며 학생들에게 일괄적인 피드백을 하였다. 연구 결과, CRS 활용이 학생들로 하여금 수업 활동에 흥미와 집중력을 높여주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학업 성취도의 향상에 있어서 CRS 활용반과 비교반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다만 성적 수준에 따라 그룹을 나누었을 때, 중위그룹에서는 CRS 활용반과 비교반 사이에 학업 성취도의 향상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진단평가 및 형성평가에서 CRS 활용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수준의 문제들을 사전에 개발하고, 학생들의 응답 이유를 정확히 파악하여 더욱 많은 학생들에게 개인별 맞춤형 피드백을 할 수 있는 교수 전략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평가 중심의 교수․ 학습 활동은 어떤 기능을 갖는가? 우리나라 일반계 고등학교에서는 대학입시를 준비하는 주요 방법으로서 평가 중심의 교수․ 학습 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다. 교수 학습 과정에서 행해지는 진단평가와 형성평가는 실제적인 수업 과정 중에 학습자의 이해를 평가하여 학습 안내를 위한 자료로 활용한다는 점에서 교수․ 학습의 한 과정이며(Park, Nam, & Yoo, 2000), 학생이 배운 것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학업 성취도를 높여주는 기능을 갖는다(Crooks, 1988; Kim, 2008). 또한 교사가 진단평가와 형성평가를 통해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학습 곤란이나 결손을 파악하고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해 줄 수 있다(Kim, 2010; Lee, Choi, & Nam,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ddison, S., Wright, A., & Milner, R. (2009). Using clickers to improve student engagement and performance in an introductory biochemistry class.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Education, 37(2), 84-91. 

  2. Anderson, L. S., Healy, A. F., Kole, J. A., & Bourne, L. E., Jr. (2011). Conserving time in the classroom: The clicker technique. The Quarterl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in the Schools, 64(8), 1457-1462. 

  3. Bartsch, R. A., & Murphy, W. (2011). Examining the effects of an electronic classroom response system on student engagement and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44(1), 25-33. 

  4. Beatty, I. D., Feldman, A., Gerace, W. J., Leonard, W. J., Dufresne, R. J., & Lee, H. (2008). Teacher learning of technology-enhanced formative assessment. Annual Conference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Baltimore. 

  5. Caldwell, J. E. (2007). Clickers in the large classroom: Current research and best-practice tips. CBE-Life Science Education, 6(1), 9-20. 

  6. Crooks, T. (1988). The impact of classroom evaluation practices on student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8(4), 438-482. 

  7. Crouch, A. H., & Mazur, E. (2001). Peer instruction: Ten years of experience and results. American Journal of Physics, 69, 970-977. 

  8. Dufresne, R. J., Gerace, W. J., Mestre, J. P., & Leonard, W. J. (2000). ASK-IT/A2L: Assessing student knowledge with instructional technology (Tech. Rep Dufresne 2000 ask).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Scientific Reasoning Research Institute. 

  9. Fies, C., & Marshall, J. (2006). Classroom response systems: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5(1), 101-109. 

  10. FitzPatrick, K. A., Finn, K. E., & Campisi, J. (2011). Effect of personal response systems on student percep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in courses in a health sciences curriculum. Advances in Physiology Education, 35(3), 280-289. 

  11. Gim, W. H., Seo, J-H., & Kim, Y-J. (2011). A study on the use of ICT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 Educational Research, 51, 171-194. 

  12. Jeong, H-H. (2009). A qualitative study on the use of ICT in elementary school.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36(4), 69-97. 

  13. Jung, J., & Jeon, D. (2008). The effect of using a remote answering machine in high school physics class. School Science Journal, 2(2), 95-104. 

  14. Kim, H-S., & Kim, J-R. (2010). Effects of student participation performance assessment using a remote responder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4(3), 461-468. 

  15. Kim, J. G. (2010). Inquiry of formative assessment: 50 story. Seoul: Kyoyookbook. 

  16. Kim, J. G. (2008). The story of formative assessment by professor Kim. Seoul: KangHyun Publisher. 

  17. Kim, Y-A., Seo, J-H., Kye, B-K., & Lee, E. H. (2011). Study of educational using plan for new trendy ICT. (Research report CR2011-55-4).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18. King, D. B. (2011). Using clickers to identify the muddiest points in large chemistry classes.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88(11), 1485-1488. 

  19. Langman, J., & Fies, C. (2010). Classroom response system-mediated science learning with English language learners. Language & Education: An International Journal, 24(2), 81-99. 

  20. Larry, J. B. (2008). Lecture-free high school biology using an audience response system.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70(9), 531-536. 

  21. Lee, H., Choi, K., & Nam, J. H. (2000). The effects of formative assessment with detailed feedback on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attitude, and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3), 479-490. 

  22. Lee, J., Gu, Y. M., Shin, K. J., Kim, D. I., Gye, B-K., & Jeong, S. W. (2012). Developmental study of SMART education running program creative problem solving. (RM 2012-30)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23. MacArthur, J., L., Jones, L., & Suits, J. (2011). Faculty viewpoints on teaching large-enrollment science courses with clickers. Journal of Computers in Mathematics and Science Teaching, 30(3), 251-270. 

  24. Metz, A. M. (2008). The effect of access time on online quiz performance in large biology lecture courses.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Education, 36, 196-202. 

  25.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8). Educational information white paper in the year of 2008. Seoul: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26.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Strategy for driving SMART education. The report of strategy committee for national information (2011. 6. 29.). 

  27. Oh, J. (2013). Perception and effects of classroom response system us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2), 435-458. 

  28. Park, J. Y., Nam, J. H., & Yoo, H. S. (2000). The effects of a teaching strategy based on the interactive formative assessment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3), 468-478. 

  29. Poirier, C. R., & Feldman, R. S. (2007). Promoting active learning using individual response technology in large introductory psychology classes. Teaching of Psychology, 34(3), 194-196. 

  30. Ryu, G. H., Kim, H., & Yoon, E. J. (2011). Tapper-interactive lecture system design for intelligent campus environment. Workshop presentation file in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38(2A), 63-66. 

  31. Shaffer, D. M., & Collura, M. J. (2009).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a personal response system in the classroom. Teaching of Psychology, 36(4), 273-277. 

  32. Shim, K-C., Yeau, S-H., Kim, Y-J., Hwang, U. W., Ahn, P. H., & Lee, I. G. (2011). High school life science I (textbook). Seoul: Visang education. 

  33. Strasser, N. (2010). Who wants to pass math? Using clickers in calculus. Journal of College Teaching & Learning, 7(3), 49-52. 

  34. Towns, M. H. (2010). Crossing the chasm with classroom response systems.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87(12), 1317-1319. 

  35. Uhari, M., Renko, M., & Soini, H. (2003). Experience of using an interactive audience response system in lecture. BMC Medical Education, 3, 12. 

  36. Walgren, J. (2011). Innovative use of a classroom response system during physics lab. The Physics Teacher, 49(1), 30-32. 

  37. Weerts, S. E., Miller, D., & Altice, A. (2009). "Clicker" technology promotes interactivity in an undergraduate nutrition course.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Behavior, 41(3), 227-228. 

  38. Wit, E. (2003). Who wants to be... The use of personal response system in statistics teaching. MSOR Connections, 3(2), 14-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