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대면 강의환경에서의 온라인 학습패턴과 학습 효과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between Online Learning Patterns and Learning Effects in the Non-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8, 2020년, pp.557 - 562  

이영석 (강남대학교 KNU참인재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코로나19로 인해서 비대면 강의환경에서 온라인 학습이 교육환경의 주요 학습기법으로 채택되고 있다. 온라인 학습패턴이 학업성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온라인 동영상 학습횟수와 시간을 주요 요소로 두고, 매 학습에 대한 형성 평가와 함께 중간고사 기말고사를 바탕으로 학습효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대학에서 예체능 학부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교양 과목 중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과목을 분석하였다. 실제 학생들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매주 실시한 형성 평가와 학습회수, 학습 시간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와는 평소 학습회수(r=.39 p<0.05)와 학습 시간(r=.42 p<0.05)이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의 진행 과정에서 SMS 문자, 게시판, 메일 등의 요소는 모든 학생이 접하지 못하여 제외하였으므로, 앞으로는 좀 더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비대면 강의환경에서의 학습자 패턴을 분석하고 연구한다면 학습자들의 요구와 학습효과를 향상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non-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forced into effect by the COVID-19 pandemic, online learning is being adopted as a major educational technique. Given the lack of research on how online learning patterns affect academic performance, this study focuses on the number and duration of online...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LMS의 잠재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학습자들의 학습 과정의 요인과 함께 학습 결과에 대한 이해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중간고사와 기말고사를 실시한 결과에 관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학습 횟수와 학습 시간, 그에 따라서 매주 제출하는 형성 평가, 월말에 실시하는 중간평가, 학기 말에 수행하는 종합평가를 토대로 각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LMS은 어떤 솔루션을 가지고 있는가? 대부분의 LMS는 학생들의 수행평가에서 교사가 학생 들을 진단하고 싶은 필요성을 해결하고, 학생의 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솔루션을 가지고 있다[13]. 이러한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교수자의 학습 목표와 형성 평가 방안, 학생들의 학습 형태 등에 대한 요구사항과 문제점을 명시해야 한다.
TAM 이란 무엇인가? TAM(Technology Acceptance Model)은 Davis (1989)가 처음 제안한 것으로, 사용자가 기술을 활용하여 학습에 적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모델이고 이와 관련된 연구가 지속해서 이루어지고 있다[16, 17]. 기술 도구의 유용성과 사용자 편의성에 대한 사용자 인식이 학습과 해당 시스템의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를 파악하고, LMS를 통해 학습자의 시스템 사용 및 평가를 예측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로 활용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18, 19].
교수가 학생에게 형성 평가를 수행하게 하는 것이 중요한 기능인 이유는 무엇인가? 그 후, 목표를 향한 해당 수준과 비교하여 진행 상황이 측정하고, 교사와 학생들과의 정기적인 상호 작용은 새로운 개념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는 것에 대한 증거가 여러 간격으로 수집되는 형성 평가를 수행하는 것은 중요한 기능이다[20]. 왜냐하면, 학습 목표를 확인한 후 교수자는 해당 내용에 대한 학생의 지식수준을 평가해야 하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Lee, HaeDeum and Nam, Min Woo, "The Analysis of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Spatio-Temporal Data Relate to e-Learning Patterns of University e-Learning Learner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ol.8, no.4, pp.247-253, 2018. DOI: https://dx.doi.org/10.22156/CS4SMB.2018.8.4.247 

  2. Lee, Youngseok and Cho, Jungwon,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Software Education Based on Problem-solving Learning",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ol.9, no.2, pp.49-54, 2019. DOI : https://dx.doi.org/10.22156/CS4SMB.2019.9.2.049 

  3. Kizilcec, Rene F., and Sherif Halawa, "Attrition and achievement gaps in online learning." Proceedings of the Second (2015) ACM Conference on Learning@ Scale. 2015. DOI : https://doi.org/10.1145/2724660.2724680 

  4. Lee, Sunghye, et al., "Investigating Learning Type in Online Problem-Based Learning: Applying Learning Analysis Technique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23, no.1, pp.77-90, 2020. DOI : https://dx.doi.org/10.32431/kace.2020.23.1.007 

  5. Kang, Mi-Ra, "An Analysis of the Academic Achivement of Study Based on NCS-based Education and Learning Motive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ol.8, no.6, pp.353-359, 2018. DOI : https://dx.doi.org/10.22156/CS4SMB.2018.8.6.353 

  6. Sung, Eunmo, et al., "Analysis of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elf-Directed Learning of Learners in Online Software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22, no.1, pp.31-46, 2019. DOI : https://dx.doi.org/10.32431/kace.2019.22.1.004 

  7. Han, Jeongyun and Lee, Sunghye, "Investigating Online Learning Types Based on self-regulated learning in Online Software Education: Applying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22, no.5, pp.51-65, 2019. DOI : https://dx.doi.org/10.32431/kace.2019.22.5.005 

  8. Song, Yun He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Ability, Collective Intelligence,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sistence in Collaborative Learning of the College Classroom",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ol.10, no.1, pp.120-127, 2020. DOI : https://dx.doi.org/10.22156/CS4SMB.2020.10.01.120 

  9. You, Ji Won, "Identifying significant indicators using LMS data to predict course achievement in online learning."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29, pp. 23-30, 2016. DOI : https://doi.org/10.1016/j.iheduc.2015.11.003 

  10. Khan, Arshia, et al. "Active learning: Engaging students to maximize learning in an online course." Electronic Journal of E-Learning, Vol.15, No.2, pp.107-115, 2017. 

  11. Han, Jeongyun and Lee, Sunghye, "Investigating Online Learning Types Based on self-regulated learning in Online Software Education: Applying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22, no.5, pp.51-65, 2019. DOI : https://dx.doi.org/10.32431/kace.2019.22.5.005 

  12. Mbati, Lydia, and Ansie Minnaar. "Guidelines towards the facilitation of interactive online learning programmes in higher education."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Open and Distributed Learning, Vol.16, No.2, pp.272-287, 2015. DOI : https://doi.org/10.19173/irrodl.v16i2.2019 

  13. Zhang, Xiaoxi, et al., "Proactive vnf provisioning with multi-timescale cloud resources: Fusing online learning and online optimization." IEEE INFOCOM 2017-IEEE Conference on Computer Communications. IEEE, 2017. DOI : https://dx.doi.org/10.1109/INFOCOM.2017.8057118 

  14. Anshari, Muhammad, Yabit Alas, and Lim Sei Guan, "Developing online learning resources: Big data, social networks, and cloud computing to support pervasive knowledge." Edu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Vol.21, No.6, pp.1663-1677, 2016. DOI : https://doi.org/10.1007/s10639-015-9407-3 

  15. Lee, Michael J., and Andrew J. Ko., "Comparing the effectiveness of online learning approaches on CS1 learning outcomes." Proceedings of the eleventh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rnational computing education research, 2015. DOI : https://doi.org/10.1145/2787622.2787709 

  16. Markova, Tatiana, Irina Glazkova, and Elena Zaborova, "Quality issues of online distance learning."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237, pp. 685-691, 2017. DOI : https://doi.org/10.1016/j.sbspro.2017.02.043 

  17. Perez-Sanchez, Beatriz, Oscar Fontenla-Romero, and Bertha Guijarro-Berdinas, "A review of adaptive online learning for artificial neural networks." Artificial Intelligence Review, Vol.49 No.2, pp.281-299, 2018. DOI : https://doi.org/10.1007/s10462-016-9526-2 

  18. Demuyakor, John, "Coronavirus (COVID-19) and Online Learning in Higher Institutions of Education: A Survey of the Perceptions of Ghanaian International Students in China." Online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Media Technologies, Vol.10, No.3, e202018, 202. DOI : https://doi.org/10.29333/ojcmt/8286 

  19. Wong, Jacqueline, et al., "Supporting self-regulated learning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and MOOCs: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Vol.35, No.4-5, pp. 356-373, 2019. DOI : https://doi.org/10.1080/10447318.2018.1543084 

  20. Muljana, Pauline S., and Tian Luo. "Factors contributing to student retention in online learning and recommended strategies for improvement: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Research 18, 2019. DOI : https://doi.org/10.28945/4182 

  21. Khalid, Fariza. "Students' identities and its relationships with their engagement in an Online Learning Community." International Journal of Emerging Technologies in Learning (iJET), Vol.14, No.05, pp.4-19, 2019. DOI : https://doi.org/10.3991/ijet.v14i05.8196 

  22. Singh, Harpreet, and Shah Jahan Miah, "Design of a mobile-based learning management system for incorporating employment demands: Case context of an Australian University." Edu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Vol.24, No.2, pp.995-1014, 2019. DOI : https://doi.org/10.1007/s10639-018-9816-1 

  23. Ghani, Shehzad K. Role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s for Formative Assessment in Higher Education. Diss. Universite d'Ottawa/University of Ottawa, 2019. DOI : http://dx.doi.org/10.20381/ruor-23768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