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교육 전·후 대학 신입생과 재학생 간 건강증진행위, 자기효능감 비교
Comparison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Self-efficacy between New freshmen and University students before and after Health Educa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5, 2014년, pp.295 - 303  

김성수 (청주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이현주 (중원대학교 의료정보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충청지역 1개 대학에서 교양교과목으로 보건교육 과목을 수강한 기숙사 신입생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두 군간 보건교육 전 후 건강증진행위와 그 하위영역인 건강책임, 신체활동, 자아실현 및 스트레스관리와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수강생 115명에 대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13년 6월 12-13일 양일간이었다. 건강증진행위는 4점 척도로, 자아효능감은 5점 척도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건교육 전에 비해 보건교육 후의 점수 상승이 선행 연구의 일반대학생들보다 컸으며 이는 함께 숙식을 하는 친구들과의 단체생활이 보다 긍정적인 경쟁을 유도한 때문으로 판단된다. 특히, 자기효능감 및 건강증진행위 하위영역인 스트레스관리에서 보건교육의 효과가 신입생, 재학생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입증되었다. 신입생과 재학생 간 비교 시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항목은 '자기효능감'이었고 보건교육 전 후 모두 재학생이 신입생보다 자기효능감 점수가 높았다. 따라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기숙사생 등 단체 숙식생활자에 대해서는 개별교육 보다는 단체교육을 시행하고, 보건교육 대상자 선정 시 자기효능감이 낮거나 스트레스 지수가 높은 학생 특히, 자기효능감이 재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신입생에 대해 우선적으로 보건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더 좋은 교육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tried to find the gap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the lower level-health responsibility, physical activity, self-actualization, stress management and self-efficacy-between new freshmen and other university students in dormitories who have taken health education as an elective c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생활습관의 정립이 강조되는 대학생 시기 중에서도 특히, 시작 시기인 신입생을 구분하여 재학생과의 차이를 확인하고 또한 일반 대학에서 기숙사생활을 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보건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건강증진행위를 하위 영역별로 분석하여 향후 보건교육 시 중점 추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보건교육 교양 교과목을 수강한 기숙사 신입생과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보건교육 전·후 건강증진행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또한 집단거주자에 대한 연구는 기숙사 생활을 하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거나[26] 사관학교와 소년원 등 일상생활이 엄격히 통제되는 특수계층에 대한 연구에 국한되어 있었다[11,12].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생활습관의 정립이 강조되는 대학생 시기 중에서도 특히, 시작 시기인 신입생을 구분하여 재학생과의 차이를 확인하고 또한 일반 대학에서 기숙사생활을 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보건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건강증진행위를 하위 영역별로 분석하여 향후 보건교육 시 중점 추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보건교육 교양 교과목을 수강한 기숙사 신입생과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보건교육 전·후 건강증진행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대학신입생과 재학생 간의 비교와 더불어 기숙사 생활을 하는 대학생의 결과가 일반 대학생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늘날 국민보건정책은 어떻게 바뀌었는가? 오늘날의 국민보건정책은 치료중심에서 예방과 수요자 중심의 건강증진으로 바뀌었다[1]. 이에 행위요인이 건강 결정의 주된 인자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는 주로 학교보건교육을 포함한 건강증진사업을 통해서 달성된다[2].
행위요인은 무엇을 통해 달성할 수 있는가? 오늘날의 국민보건정책은 치료중심에서 예방과 수요자 중심의 건강증진으로 바뀌었다[1]. 이에 행위요인이 건강 결정의 주된 인자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는 주로 학교보건교육을 포함한 건강증진사업을 통해서 달성된다[2]. 청소년기에는 학교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학교를 효과적인 건강증진사업의 장으로 보는 견해가 대두되고 있다[1].
대학생 맞춤형 건강관리 교육의 실태는? 특히 대학생부터는 음주, 흡연 등이 갑자기 자유로워지는 등 여러 가지 건강위험요인에 노출되어 있으나 아직까지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대학생 맞춤형 건강관리에 요구되는 교육항목, 필수 개설과목 및 교과내용 등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과정이 없다[3]. 이에 각 대학별로 교양교과목을 부정기적으로 개설하거나 그 내용 또한 교수재량에 따르고 있어 표준화가 되어 있지 않아 초·중·고등학교에서 뿐 아니라 대학생에게도 연계된 보건교육이 절실한 실정이다. 또 다른 선행연구에서도 대학에 건강관련 학과가 있는 경우 전공 학생 외 교내 전체 대학생의 건강증진을 위해 교양과목이나 세미나 등을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Health for Health Educator 2nd edition. pp. 55-193, 2013. 

  2. Life and Health Promotion. pp. 9, 2007. 

  3. H. S. Yoon, Y. C. Cho, A Study on the Preventive Attitudes and Health Behavior of Life-style Related Diseases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22, No. 4, pp. 229-244, 2005. 

  4. M. S. Kwon, K. H. Kang. H. R. Cho, The Effects of Health Education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Body-image, and Self-efficacy of Female and 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Armed Forced Nursing Academy. Vol. 30, No. 2, pp. 82-92, 2012. 

  5. Y. H. Chung, N. S. Seo, S. H. Moon, Related Factors in Health Promotion Behavior by Gender amo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Vol. 12, No. 2, 2011. 

  6. J. H. Kim, E. Y. Park, K. C. Lim,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8, No.3, pp. 413-423, 2012. 

  7. K. J. Lee, C. J. Chang, J. H. Yoo, Effect of Health Promoting education programme on self-efficacy, Knowledge of Health management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for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Vol. 15, No. 4, pp. 577-586, 2004. 

  8. Paulette A. Chaponniere, Susan M. Cherup, Lillie Lodge, Measuring the Impact of Health Education Modules in Cameroon, West Africa. J Transcult Nurs, Vol. 24, No. pp. 254-262, 2013. 

  9. K Peker, O Uysal, G Bermek, Dental Training and Changes in Oral Health Attitudes and Behaviors in Istanbul Dental Students. J Dent Educ., Vol. 74 pp. 1017-1023, 2010. 

  10. M Sato, J Camino, HR Oyakawa, L Rodriguez, L Tong, C Ahn, WF Bird, T Komabayashi, Effect of Dental Education on Peruvian Dental Students' Oral Health-Related Attitudes and Behavior. J Dent Educ., Vol. 77, pp. 1179-1184, 2013. 

  11. Y. J. Bang, The Effects of Health Promotion Education Program on Cadets of A.F.N.A. Using the K-WIFY Model. Journal of Armed Forced Nursing Academy. Vol. 26, No. 2, 2008. 

  12. S. H. Hong, A Research on Recognition of Oral Health based on Oral Health Education for Adolescents in some Reformatories. Journal of Health Hygiene Science. Vol. 7, No. 3, pp. 187-191, 2007. 

  13. J. M. Choi, I. O. Moon,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on their Health Promotion Behavior.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Vol. 31, No. 2, pp. 105-113, 2005. 

  14. H. S. Park, M.H. Seong, Y. M. Yun, Effect of Health Management programme on Body composition,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nr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omen Health Nursing. Vol. 9, No. 2, pp.152-160, 2003. 

  15. E. S. Baek, H. J. Park, Effects of a Case Management Program on Self-efficacy, Depression and Anxiety in Pregnant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 19, No. 2, pp. 88-98, 2013. 

  16. R Hacihasanoglu, S Gozum, The effect of patient education and home monitoring on medication compliance, hypertension management, healthy lifestyle behaviours and BMI in a primary health care setting. J Clin Nurs, Vol. 20, No. 5, pp. 692-705, 2011. 

  17. Y. H. Park, M. Song, B. L. Cho, J. Y. Lim, W. Song, S. H. Kim, The effects of an integrated health education and exercise program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ith hypertens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atient Educ Couns, Vol. 82, No. 1, pp. 133-7, 2011. 

  18. H. J. Choi, J. H. Yoo, The Effect of Depression and Self-efficac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in Rural Area. Journal of East -West Nursing Research. Vol. 17, No. 2, pp. 149-155, 2011. 

  19. J. Choi, Effects of Husband and Wife Compatibility and Self-Efficac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14, No.4, pp. 507-514, 2007. 

  20. I. S. Park, Influence of Line Dance Participants' Physical Self-Efficacy and Heath Promotion Acts on Mental Happines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Vol. 43. pp. 127-139, 2011. 

  21. K. S. Kim, Y. H. Cho, J. S. Park, Y. Ju, Correlations among Self-Efficacy, Social Support Networks, and Health Behavior in Undergraduate Students. Vol. 22, No. 2, pp. 211-223, 2008. 

  22. S. S. Kim, S. Kam, The Effect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23, No4, pp. 155-171, 2006 

  23. E. S. Lim, C. Y. Lee, Y. J. Lee, J. A. Kim, Effects of '5&6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Perception, Behavior, and Physiology of high school smok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24, No. 4, 2007 

  24. M. R. Song, K. A. Park, An Effect of the Health Education for Health Promotion on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7, No. 2, pp. 298-307, 2001. 

  25. S. Y. Min, K. S. Paek, The Effects of a Health Education Program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Self-efficacy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Vol. 18, No. 4, pp. 562-571, 2007. 

  26. C. H. Han, J. O. Park. J. Y. Park,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Related Factors on the High School Students Who Live in a Dormitory.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23, Np. 2, 2006. 

  27. World Health Organization. accessed online on January 2014 at http://www.who.int/topics/health_education/en/ 

  28. N. J. Pender,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3rd ed). Stamford, Connecticut: Appleton & Lange. 1996. Re-quote in S. H. Ho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 Vol. 19 No.1, 33-42, 2013. 

  29. A. Bandur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New York: Prentice-Hall. 1986. 

  30. T. J. Lee,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ng-Behavior of Poor. Hallym University Health Promotion Business Group. 2006. 

  31. M. S. Choi, H. G. Kim, G. Y. Choi, Study of oral health knowledge, management and attitude change after health education program designed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4, No.1, pp. 206-213, 2013. 

  32. G. Y. Ha, H. J. Lim, C. G. Kim, Effectiveness of Health Education for Elderl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22 No. 1, pp. 117-134, 2005. 

  33. Y. M. Kim, M. H. Jung,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Web-based Alcohol Preventiv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22, No. 4, pp. 17-40, 2005. 

  34. CJ Heckman, JL Dykstra, BN Collin, Substance-related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ur among college students: Opportunities for health education. Health Education Journal, Vol. 70, pp. 383-399. 2011. 

  35. E. S. Lim, C. Y. Lee, Y. J. Lee, J. A. Kim, Effects of '5&6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Perception, Behavior, and Physiology of high school smok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24, No.4, pp. 115-130, 2007. 

  36. H. J. Kim, The Effects of Health Education and Program Induced Self-participation of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nd Self-efficacy in Obesity and Overweight Children.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Vol. 16, No. 3, 2007. 

  37. F Bastani, S Hashemi, N Bastani, H Haghani, Impact of preconception health education on health locus of control and self-efficacy in women. East Mediterr Health J, Vol. 16, No. 4, pp. 396-401, 2010. 

  38. R Larsen, SJ Zahner, The impact of Web-delivered education on preceptor role self-efficacy and knowledge in public health nurses. Public Health Nurs, Jul Vol. 28, No. 4, pp. 349-56,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