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 신입생과 재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수준 및 교육요구도 차이 분석
An Analysis on Differences between Freshmen and The Other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Need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2, 2017년, pp.509 - 520  

김현순 (단국대학교 교양교육대학 교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과 재학생 간의 진로개발역량 수준 차이 검증을 통해 진로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고, 두 집단 간의 교육요구도의 차이를 파악하여 대학 진로교육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학생 362명의 교육요구를 조사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개발역량의 중요도 인식에서 재학생은 신입생에 비해 경력개발이나 직업정보탐색 역량보다 효과적인 대인관계형성과 긍정적 자아개념형성 역량을 더 중요한 역량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진로개발역량의 보유도 차이 비교에서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영역은 긍정적 자아개념형성 뿐이었다. 셋째,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은 역량은 두 집단 모두 경력개발이었으며 그 다음이 직업정보탐색, 경력전환기술, 긍정적 자아개념형성순으로 동일하였다. 그러나 그 다음 순위로 진로계획수립은 신입생에서는 5위였으나 재학생에서는 6위였고, 효과적인 대인관계형성은 신입생에서는 6위였으나 재학생에서는 5위였다. 넷째, The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을 통해, 신입생 때는 긍정적 자아개념형성과 효과적인 대인관계형성의 중요성을 잘 인식하지 못하지만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그 중요성을 깨닫고 교육에 대한 요구가 생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더 효과적인 진로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freshmen and the other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needs. To achieve this, the survey was carried out and 362 undergraduates participated. The findings of the survey were shown as follows: First, the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학 진로교육이 효과적인 성과를 보이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수준과 요구에 맞는 교육내용을 구성하고 적용하기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12], 기존의 진로교과목을 개발하는 연구들[13-15]은 교육과정 개발단계에서 교육수요자인 학생들의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공급자 중심으로 교과목을 개발하였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학년의 요구에 부응하는 진로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신입생과 재학생의 교육요구도를 밝혀보고자 한다.
  • 진로교육의 목적은 진로개발역량의 제고이므로[11], 진로교육이 효과적이었다면 진로개발역량이 증진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입생과 재학생 간의 진로개발역량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진로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신입생이란 대학에서 ‘아직 진로교육을 받지 않은 1학년 학생’으로, 재학생은 ‘정규진로교과목을 교양필수 과목으로 수강하였고 기타 각종 진로관련 교과를 수강하거나 비교과활동을 통해 진로교육을 받을 기회를 가졌던 2학년부터 4학년까지의 학생’으로 정의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진로개발역량을 기존의 일반적인 범주인 ‘자기이해’, ‘진로.
  • 셋째, 본 연구는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신입생 집단과 재학생 집단의 교육요구도를 분석함으로써 Borich 계수를 통한 교육요구도 분석에서는 자칫 놓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제적인 교육요구도를 구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그 요구도가 진정한 요구인지 아닌지를 점검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의 다수의 교육요구도 분석 논문들은 Borich 계수를 통한 교육요구도 순위 분석에 머물러 있거나[12][24][25][31],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적용하더라도 역량의 개수를 제한하는데 활용하는데 머물러[29][39-42], 연구결과가 주는 더 풍부한 정보를 분석하지 못하고 놓치고 있었다.
  • 본 연구는 신입생과 재학생 간의 진로개발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의 차이를 밝혀 집단 별로 부족한 역량을 파악하고 이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게 함으로써 효율적인 진로교육에 기여하리라 기대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진로교육을 받기 전인 신입생과 진로관련 정규 교과목 이수와 비교과활동을 통해 진로교육을 받고 있는 재학생 간에 진로개발역량수준에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 진로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고, 신입생과 재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다름을 알고,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것이다.
  • 본 연구의 의의는 대학 신입생과 재학생 간에 진로개발역량의 중요도와 보유도를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대학진로교육의 효과를 평가하고 더 나은 진로교육과정으로의 개편을 위한 시사점을 찾았다는 것이다. 즉, 비록 교육요구도 분석이 가지는 본질적인 한계로 인해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제한이 따르겠지만,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진로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부분의 대학생들에게 진로 문제가 가장 큰 고민거리인 이유는 무엇인가? 대학 시절은 졸업 후 바로 노동시장에 진입해야 하는 진로 실행 직전의 시기로서,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고 준비하여 원하는 진로를 획득하는 중요한 발달과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시기이다[1]. 하지만 세계적인 경제 불황과 청년 노동시장의 악화 등으로 진로결정 및 취업 준비는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어 대부분의 대학생들에게 진로 문제는 가장 큰 고민거리이다[2][3].
진로개발역량은 어떤 맥락에서 제시된 개념인가? 불확실성으로 가득 찬 미래사회에서 자신의 진로를 자기 주도적 및 창의적으로 개발해야 나가야 하는 개인에게 필요한 것은 단계별로 나누어진 과업이 아닌 평생에 걸쳐 스스로 발전시킬 역량이다. 진로개발역량이란 그런 맥락에서 제시된 개념으로, 자기주도성과 전이가능성을 강조하고 있다.
진로개발의 정의는 무엇인가? 진로개발(career development)이란 한 개인이 삶의 전 과정을 통하여 행복하고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가기 위하여 다양한 삶의 맥락 속에서 자기주도적으로 경험을 선택하고, 계획하며, 준비하는 활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이정애, 최웅용, "대학생의 진로목표추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간의 구조관계 분석," 진로교육연구, 제23권, 제2호, pp.101-112, 2010. 

  2. 서울대 대학생활문화원, 2011학년도 대학생활의 견조사주요결과 보도자료, 2011. 

  3. 조경덕, 황매향, 김지영, 충청지역 대학생의 직업 지도연구, 대전지방노동청, 2005. 

  4. 김성남, 변정현, "대학생의 구직역량 개발에 대한 욕구분석-대학생, 대학교 취업담당관, 기업체 인사담당자의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진로교육연구, 제25권, 제1호, pp.91-113, 2012. 

  5. 민춘기, "대학 교양교육에서 진로교육의 방향- 수업 사례를 기반으로," 교양교육연구, 제9권, 제4호, pp.73-109, 2015. 

  6. 윤영란, 대학생의 효과적인 진로지도 방안 연구: 진로교과목 수업과 진로집단상담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7. 이동혁, "대학 진로관련 교과목의 효과성 검증 연구 분석," 상담학연구, 제11권, 제2호, pp.657-683, 2010. 

  8. 강미영, "대학생 대상 역량기반 진로교과목 운영 및 효과," 진로교육연구, 제24권, 제2호, pp.95-113, 2011. 

  9. 한미희, "대학생을 위한 진로교육 교과목의 개발 및 효과," 진로교육연구, 제24권, 제2호, pp.95-113, 2011. 

  10. 한국교육개발원, 한국의 교육지표.지수 개발연구(III): 대학생역량지수 개발 연구, 연구보고 RR 2014-21, 2014. 

  11. 임언, 역량중심 교과통합 진로교육을 위한 탐색,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12. 정은이, "대학생의 진로 역량 교육 및 상담 서비스 요구도 분석," 교육방법연구, 제26권, pp.629-657, 2014. 

  13. 전은화, "대학생 신입생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설계기반 연구-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 응도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진로교육연구, 제26권, 제3호, pp.103-122, 2013. 

  14. 전은화, 정효정, 서응교, "대학생 핵심역량 기반의 진로교육을 위한 교과목 개발연구," 열린교육연구, 제23권, 제3호, pp.293-318, 2015. 

  15. 한미희, "대학생을 위한 진로교육 교과목의 개발 및 효과," 진로교육연구, 제24권, 제2호, pp.95-113, 2011. 

  16. D. C. McClelland,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Vol.28, No.1, pp.1-14, 1973. 

  17. 최동선, 한상근, 임언, 정윤경, 이상준, 김나라 외, 진로교육 정책의 성과와 추진방향,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18. 임언, 정윤경, 최동선, 김나라, 장명희, 정연순, 장석민,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 운영모델 구축: 총괄보고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19. 정재원, "대학생의 진로개발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5권, 제7호, pp.41-62, 2015. 

  20. 최인재, 김봉환, 황매향, 허은영, 조지혜, 한국 청소년 지표 조사 IV: 청소년 진로.직업 지표(연구보고 09-R1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21. 이지연, 고등교육단계에서의 효율적인 진로지도 방안 연구: 4년제 일반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기본연구 01-11, 2001. 

  22. 임언, 장홍근, 윤형한, 직업진로교육의 실태 및 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23. 이재경,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방법론에 대한 고찰: 마케팅 역량 강화 교육과정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제18권, 제4호, pp.25-56, 2002. 

  24. 김경화, "대학생의 진로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6호, pp.359-379, 2012. 

  25. 박가열, "대학생 진로개발 역량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진로교육연구, 제22권, 제2호, pp.181-198, 2009. 

  26. 이건남, "대학생의 구직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직업교육연구, 제31권, 제3호, pp.199-225, 2012. 

  27. 이현우, 조명희, "사범대학 재학생의 학년별 교수자 역량 진단 및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교원교육 연구, 제29권, 제4호, pp.521-540, 2012. 

  28. 백순근, 함은혜, "중등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이 '교육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 교육평가연구, 제20권, 제4호, pp.1-29, 2007. 

  29. 박영신, 이효림, "예비 유아교사의 학년별 핵심역량 교육요구도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1권, 제1호, pp.343-366, 2016. 

  30. 노은호, "예비 유아교사의 교직 적.인성과 핵심역량 비교 분석연구," 한국교육학회지, 제13권, 제2호, pp.205-221, 2013. 

  31. 김현순, 김지효, "대학생의 진로인식에 따른 교육요구도 차이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5호, pp.651-659, 2016. 

  32. G. Borich,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Vol.31, No.1, pp.39-42, 1980. 

  33. 조대연,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교육문제 연구, 제35집, pp.165-187, 2009. 

  34. O. G. Mink, J. M.Shultz, and B. P. Mink, Developing and managing open organizations: A model and method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potential, Somerset Consulting Group, Inc., 1991. 

  35. 김지효, 이정은, "IPA를 활용한 대학생의 진로교육 요구도 분석:진로결정상태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6권, 제8호, pp.851-878, 2016. 

  36. 이정은, 김현순, "진로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교육 요구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6권, 제4호, pp.1001-1027, 2016. 

  37. 황매향, 손만익, 강혜영, "대학생 대상 진로탐색 교과목 운영의 효과," 아시아교육연구, 제8권, 제1호, pp.71-91, 2007. 

  38. 김정희, 대학생 진로교육 실태 모니터링, 대통령직속 청년위원회, 2015. 

  39. 이주호, "소방공무원의 직무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방안-서울.경기지역 소방공무원을 중심으로-," Korean Review of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Vol.11, No.10, pp.133-150, 2015. 

  40. 윤소희, 권순형, 강성주, 김인희, 김현진, 정순원, 계보경, "스마트교육 구현을 위한 학교관리자 역량 요구 분석," 교원교육, 제29권, 제2호, pp.67-94, 2013. 

  41. 이대용, "구성주의 관점에서 초등학교 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요구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6권, 제3호, pp.295-312, 2016. 

  42. 양수진, 신다혜, 송영수, "대학생 셀프리더십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H대 대학생의 인식을 중심으로," HRD연구, 제17권, 제2호, pp.241-266, 2015. 

  43. 박정민, 정원일, "대학생의 보건 교육 욕구도 및 정신건강보건교육,"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0호, pp.385-393, 2013. 

  44. 지윤정, 윤현서, "일부 해양경찰들의 구강보건경험 유무에 따른 구강보건지식수준과 구강보건교육 요구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7호, pp.322-329, 2015. 

  45. 박혜영, "항공관련학과 교과과정에 대한 교육요구도 비교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1호, pp.521-535,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