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빅데이터 산업 활성화 전략 연구
Characterizing Business Strategy in a New Ecosystem of Big Data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4, 2014년, pp.1 - 9  

유순덕 (한세대학교 e-비즈니스학과) ,  최광돈 (한세대학교 e-비즈니스학과) ,  신선영 (한국정보화진흥원 빅데이터기획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빅데이터 생태계의 개념 및 구성요소의 역할과 책임을 파악하여 빅데이터 산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 필요한 전략을 도출하였다. 빅데이터 생태계의 구성요소는 거버넌스, 데이터 보유자, 서비스 이용자, 서비스 제공자, 인프라 제공자로 5개 구분하였다. 5개의 구성요소 간 역할과 책임을 통해 총 11개의 활성화 전략을 도출하였다. 또한 빅데이터 산업 활성화를 위해 선행연구자들이 주장한 내용을 요약 정리하여 총 12개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빅데이터 구성요소 간 활성화방안과 선행연구자들이 주장한 내용을 결합하여 본 연구에서 총 13개의 빅데이터 산업의 활성화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빅데이터 산업 활성화 전략이 빅데이터 사업 및 정책방향과 계획 수립의 기본자료로 활용되기 위하여 빅데이터 산업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describes strategies to promote the growth of the Big Data industry and the companies within the ecosystem. In doing so, we identify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various objects of this ecosystem and Big Data concepts. We describe the five components of the Big Data ecosystem: go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은 구성요소 간 제공 및 요청되는 사항에 따른 책임을 파악하여 빅데이터 생태계의 활성화 전략으로 도출하고자한다.
  • 다음은 상기의 선행연구자들의 산업 육성 방안과 빅데이터 생태계간의 구성요소 간 책임과 역할을 통해 도출한 내용을 기반으로 빅데이터 활성화 전략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빅데이터 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해 여러 연구자들이 개별적인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 있으나 전체적으로 활성화 측면에서 제시한 부분은 다소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산업활성화 측면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여 각각 연구자들의 의견과 빅데이터 생태계 간의 구성요소 측면에서의 요구사항을 통한 활성화를 위한 요소를 통합 정리하였다.
  • 산업분야를 생태계 구조 분류에 대한 이해를 통해 구성 요소 간 유기적인 조직들의 상호관계를 파악하여 산업의 향후 발전방향등을 예측할 수 있고 산업성장에 기여할수 있다. 따라서 빅데이터 생태계도 선행연구를 통해 본 연구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구성요소를 파악하였다. “빅데이터 시대 : 에코시스템을 둘러싼 시장경쟁과 전략분석 (2012)”에서는 빅데이터 생태계를 3개의 구성요소인 서비스 공급업체, 서비스 사용자와 어플리케이션 공급업체로 나누어 구분하였다.
  • 본 연구는 빅데이터 산업 활성화 전략을 제시한 것으로 빅데이터 생태계의 구성요소의 역할과 책임을 살펴보고 유기적 관계에서 요구사항 11개를 도출 하였다. 이는 생태계가 잘 운영되기 위해서 서로간의 요구사항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다.
  • 본 연구는 빅데이터 생태계 핵심 구성요소 측면에서 빅데이터 산업 활성화를 위한 시장의 요구사항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음은 빅데이터 생태계의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빅데이터 생태계 활성화 전략을 빅데이터의 구성요소 간 책임과 역할분석을 통해 11개의 산업 활성화 요소를 제시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자들이 주장하는 산업육성방안 검토를 통해 12개의 산업육성 방안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 진행한 빅데이터 생태계의 구성요소를 통한 연구는 시장 및 선행연구들에서 주장하는 단편적인 사항에 대해 객관적 배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개념을 파악하려 진행한 효율적인 연구방법으로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여러 연구자들이 주장한내용에 대한 검증 절차로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 본 연구에서 진행한 빅데이터 생태계의 구성요소를 통한 연구는 시장 및 선행연구들에서 주장하는 단편적인 사항에 대해 객관적 배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연구방법으로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여러 연구자들이 주장한내용에 대한 검증 절차로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 빅데이터 생태계의 핵심 구성요소인 5개 개체의 유기적 관계에서 구성요소의 역할(Role)과 책임(Responsibility)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또한 R&R에서 추출된 성공사례집 발간에 대한 요구사항은 선행연구에서는 직접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상세한 내용은 선행연구에서 기재를 했으므로 성공사례집 발간에 대해 논의한다. 빅데이터 확산을 위해서는 성공한 사례를 시장에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빅데이터 도입마인드 확산 및 도입의 효율성에 대한 인식확보가 필요하다.
  • 빅데이터 생태계가 성숙시장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각 구성요소들이 서로 협력하여 발전하는 선순환 구조가 이루어져야 한다. 선순환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개체 간 역할과 책임을 파악하여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자한다. 다음은 빅데이터 생태계 구성요소의 역할과 책임에 대해 논의하고자한다.
  • 데이터 보유자는 인프라 제공자에게 환경에 따른 인프라를 요청하고 이를 대응하기 위해 인프라 제공자는 적절한 대응방안 및 인프라를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인프라 제공자는 각종 관련된 기술을 보유하고 관리를 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기술개발 및 기술을 수행한다.
  • 또한 선행연구자들이 주장하는 산업육성방안 검토를 통해 12개의 산업육성 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발견한 산업육성 방안을 정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13개의 산업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즈니스 생태계란 무엇인가? 빅데이터 생태계를 논의하기 위해 생태계의 기본이 되는 자연생태계를 보면, 생태계의 구성요소는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로 연결된 먹이사슬로 형성되어 있고, 개체 간 상호작용에 의하여 생태계의 균형이 유지되고 외부환경에 적응하며 진화하고 있다. 자연생태계의 원리를 기반으로 하는 비즈니스 생태계는 핵심기업을 중심으로 비젼을 공유하고 공동의 가치창출로 경제적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공진화를 통해 발달·성장하는 생태계이다[11]. 산업분야를 생태계 구조 분류에 대한 이해를 통해 구성 요소 간 유기적인 조직들의 상호관계를 파악하여 산업의 향후 발전방향등을 예측할 수 있고 산업성장에 기여할수 있다.
글로벌 ICT 기업들의 M&A 사례로 무엇이 있는가? 특히 글로벌 ICT 기업들은 M&A로 조기 경쟁력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오라클(DBMS 1위)은 하이페리온 인수로 데이터 분석기술, SUN Microsystems 인수로 H/W 분야를 보강하였다.
빅데이터 기술력은 무엇으로 각광받기 시작했는가? 다양하고 광범위한 정보를 신속하게 분석하는 빅데이터 기술력이 기업혁신 및 신규 서비스 발굴의 수단으로 각광받기 시작하고 있다. 빅데이터 기술은 데이터 자체를 다루는 기술일 뿐만 아니라 모바일 앱에서 부터 클라우드 서비스 인프라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분야에 연결되어 있어 산업 전반에 영향을 주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s new technology paradigm Big Data: Issues and Challenges, 2012. 

  2. Bae Dong Min, Park Hyun Sue, Oh Ki Hyan, Trends and Policy Implications of Big Data, Focus, Vol 25, No 10, 555, 2013. 

  3. Big Data ecosystem-based analysis of the future of society and industry outlook tasks entrusted Request for Proposals,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2. 

  4. Big Data Era: market competition and the surrounding ecosystem strategy analysis, IT & Future Strategy Report,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2. 

  5. Big Data Field Guide for Health, Microsoft, 2012. 

  6. Big Data Industry Development Strategy, 2013. 

  7. Big Data industry trends, KISTI Market Trend, Special Issue April 2013. 

  8. Big Data Market Analysis, KAIT 2013. 

  9. Big Data, NASSOM, 2012. 

  10. Big Data trend analysis and application strategies, DMC media. 2013. 

  11. Buen Jung Woo, Big Data, how could be used tourism ?,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ion. 2013. 

  12. Bum Ji In, Choi Sung Jong, Big Data Use Cases and Implications, CEO Focus, Vol 312, 2013. 

  13. Case of Big Data Success Guide, IDG Group, 2013. 

  14. Dean Compher, The Big Deal About Big Data, 2013. 

  15. Cho Ji Yoen, An Analysis of Big Data Structure Based on the Ecological Perspective, Korea Society of IT Services, 2012. 

  16. Choi Gyu Hyun, This applies to domestic and international examples of Big Data Implications,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2012. 

  17. Eh Yoon Bong, Big Data Trends and Implications,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2012. 

  18. Gong Kyung Su, Internet portal business model in the digital ecosystem design,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2008. 

  19. Han Hyuk, Big Data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2013. 

  20. Hyang In Young, Composition of industrial policy for shared growth ecosystems content,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21. James F. Moore, Predators and Prey : A New Ecology of Competition, Harvard Business Review, 1993. 

  22. Jay Kreps, The Big Data Ecosystem at LinkedIn. 

  23. Jeun Sung Sue, Big Data ecosystem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Super Connection Society, KISTEP, 2012. 

  24. Joe Han Sung, Big Data era, data scientists benign ways,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Article 23, No. 3, 2013. 

  25. Jojiyeon, Gimyejin, Bakgeoncheol, Lee, Bong Gyou, in terms of ecosystem structure study for the activation of Big Data, 2012. 

  26. Jun Chul Hee, Step-by-step essentials and utilizing big data analytics strategy. 

  27. Jung Boung Guan, Kim Hae Yoeng, Choi waun, Society and the future of Big Data technology, KISA, 2012. 

  28. Jung Bu Yuan, Status and prospects of big data market, IFS(The Institute for the Future of State), 2013. 

  29. Martin Pavlik, IBM Big Data Platform Overview, 2013. 

  30. Kayvan Tirdad, The age of Big Data. 

  31. Kang Anmo, Kim Sangrack, Park Sangmoo, Big Data Utilization and it's application,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2012. 

  32. Kim Hee Su, The role of government for the Mobile ecosystem and the creation economy, Digital Ecosystem, 2013. 

  33. Kim Sa Hyuk, Big Data industry trends in ecosystem analysis, Vol 25, No 13, 558, 2013. 

  34. Kim Sung Tae, Big Data Era: market competition and the surrounding ecosystem strategy analysis,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2. 

  35. Lee Jae Sik, Big Data technologies for privacy environment, Korea Internet & Securiy Agency, 2013. 

  36. Lee Jin Hyeong, Data Big Bang, Big Data trends, Journal of Communications & Radio Spectrum,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