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워크 환경에서 업무와 비업무간 간섭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ferences Between Work and Nonwork in the Smart Work Context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4, 2014년, pp.213 - 226  

오상조 (동양미래대학교 e-비즈니스과) ,  김용영 (건국대학교 경영경제학부) ,  이희진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  이종만 (동양미래대학교 e-비즈니스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스마트워크를 통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 수월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면서 업무와 비업무 경계가 더욱 희미해지고 있다. 기존 연구들에서는 업무와 비업무 경계의 모호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로 간섭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업무의 비업무 영역에 대한 일방향적인 간섭을 경계가 모호해 지면서 발생하는 부정적 효과로 보는 경향이 있다. 스마트워크로 인해 업무와 비업무 간의 경계가 더욱 모호해짐으로써 간섭이 쉽게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스마트워크가 지향하는 일하는 방식의 변화를 통한 일과 삶의 균형을 저해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따라서 간섭에 대해 관심을 갖고 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 과정에서 업무의 비업무 영역에 대한 간섭뿐 아니라 반대 방향으로의 간섭에 대해서도 고려하는 양방향적 시각이 전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계이론을 바탕으로 스마트워크 상황에서 간섭에 영향을 주는 선행요인을 파악하고, 스마트워크를 도입하기 위해 준비 중이거나, 이미 추진하고 있는 조직에서 이를 적절히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과업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evious research on work and life balance mainly focused on workers' passive acceptance of interferences rather than active management of them. However, workers can also actively manage boundaries to enhance work and life balance. To find ways to enhance work and life balance, especially in the c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양한 요인이 업무와 비업무 영역간 간섭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12, 35], 본 연구에서는 경계이론에서 제시하는 핵심 개념인 경계강도와 직무자율성의 역할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왜냐하면 스마트워크 이용자들은 업무와 비업무에 대한 심리적 경계와 그 강도를 능동적으로 형성하여 업무와 비업무 영역간 간섭을 감소시키며[6], 직무자율성을 통해 개인적으로 납득이 되는 방식으로 업무와 비업무 영역간 간섭을 능동적으로 관리하기 때문이다[2].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워크 환경에서 업무와 비업무 영역 간에 일방향이 아닌 양방향적 간섭이 가능하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업무와 비업무 영역간 간섭에 대한 (1)업무 경계와 비업무 경계의 강도와 (2)직무자율성의 역할에 대한 실증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워크로 인해 더욱 모호해져 가는 업무와 비업무 경계 하에서의 영역간 간섭과 이의 관리 방안에 대한 실무적인 통찰력을 제공하고자 한다.
  • 모바일 오피스의 경우는 업무의 양상이 많이 변화되었다기 보다는 원래 수행하던 업무를 모바일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영상회의의 경우는 지속적인 업무의 형태로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택근무와 스마트워크센터근무를 수행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경계강도와 직무자율성의 간섭에 대한 영향을 실증하였다.
  • 본 연구는 경계이론을 기반으로 스마트워크 환경과 간섭이라는 주제에 대해 파악하려는 노력의 일환이고, 이러한 과정에서 연구의 내용이 경계이론이 다루고 있는 전체적인 맥락을 이해하고자 하기보다는 분절적이고 미시적인 일부분만을 파악한 경향이 있다. 향후 연구를 통해서는 저자 일부가 사전에 진행하였던 연구의 결과 등을 종합한 전체적인 차원의 포괄적인 분석과 설명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 본 연구는 스마트워크 이용 환경이 업무와 비업무 영역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고 있고, 그에 따라 영역간 간섭이 문제로 제기되어 이러한 간섭의 메커니즘을 확인하고자 시작되었다. 스마트워크 이용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실증분석을 통해 경계강도가 강한 영역에 대해서는 다른 영역의 간섭이 쉽지 않고(업무·비업무 영역의 표준화된 경로계수 각각 -.
  • 본 연구는 스마트워크를 도입하기 위해 준비 중이거나, 이미 추진하고 있는 조직에서 이를 제대로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과업을 제시하고 있다. 스마트워크를 도입하고자 하는 조직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된 간섭 축소 요인인 경계강도와 직무자율성을 근로자들에게 사전 조사함으로써 스마트워크 도입에 있어 조직에서의 준비 정도를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워크 환경에서 업무와 비업무 영역 간에 일방향이 아닌 양방향적 간섭이 가능하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업무와 비업무 영역간 간섭에 대한 (1)업무 경계와 비업무 경계의 강도와 (2)직무자율성의 역할에 대한 실증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워크로 인해 더욱 모호해져 가는 업무와 비업무 경계 하에서의 영역간 간섭과 이의 관리 방안에 대한 실무적인 통찰력을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구성 항목들이 내적 일관성을 유지하는 있는가를 평가하기 위해 크론바하 알파(Cronbach’s alpha) 계수를 사용하여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워크 환경에서 업무와 비업무 영역간 영향과 간섭의 양방향적 성격을 전제하여, 업무와 비업무 영역간의 상호 간섭에 대한 업무 및 비업무 영역의 경계강도와 직무자율성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업무의 비업무 영역에 대한 간섭에 대한 가설 2개, 비업무의 업무 영역에 대한 간섭과 관련한 가설 2개를 설정하였다.
  • 실무적인 관점에서 볼 때, 본 연구는 스마크워크에서 우선적으로 추구하는 일과 삶의 균형을 증진시키기 위해 필요한 업무와 비업무 영역간 간섭을 줄여주는 선행요인과 그 메커니즘을 제시하고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업무와 비업무 영역간 간섭은 직업적 스트레스를 형성하는 주요 원천이기 때문에[48], 오래 전부터 이를 줄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보여 왔다[26].
  • 더 나아가서는 스마트워크로 인해 업무와 비업무 영역의 경계가 모호해져 가는 상황에 있는 사용자이다. 이들이 인지하는 업무 및 비업무 영역의 경계 강도와 직무자율성이 업무의 비업무 영역에 대한, 또 비업무의 업무 영역에 대한 간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가 본 연구의 탐구 내용이다.

가설 설정

  • 가설 1-1: 스마트워크 이용자가 인식하는 업무 영역의 경계강도는 비업무의 업무 영역에 대한 간섭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
  • 가설 1-2: 스마트워크 이용자가 인식하는 비업무 영역의 경계강도는 업무가 비업무 영역에 대한 간섭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
  • 가설 2-1: 스마트워크 이용자가 인식하는 직무자율성은 비업무의 업무 영역에 대한 간섭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
  • 가설 2-2: 스마트워크 이용자가 인식하는 직무자율성은 업무의 비업무 영역에 대한 간섭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계이론은 무엇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가? 경계이론은 사람들이 경계를 창출, 유지, 또는 변경하는 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경계를 규정하는 이유는 자신 주위의 세상을 단순화하고 범주화하기를 원하기 때문이다[6].
일과 삶의 균형이 업무와 비업무 영역 간 상호 간섭을 줄이는 활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일과 삶의 균형은 업무와 비업무 영역 간 상호 간섭을 줄이는 활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왜냐하면 일과 삶의 균형은 업무 영역과 비업무 영역 간의 상호 간섭[14]이나 업무 역할과 비업무 역할 간 갈등의 감소[17]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스마트워크가 강조하는 일과 삶의 균형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업무 영역과 비업무 영역 간의 간섭을 줄이는 메커니즘에 대해 탐색이 필요하다.
스마트워크는 개인에게 무엇을 제공하는가? 스마트워크는 정해진 시간과 공간에서 일하는 과거의 업무 방식에서 사람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즉, 개인에게 업무 시간과 공간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지만, 업무와 비업무 시간과 공간이 명확히 구분되었던 과거와는 다르게 혼돈을 가져다 줄 수도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8)

  1. Ahuja, M.K., Chudoba, K.M., Kacmar, C.J., McKnight, D.H., & George, J.F., IT Road Warriors, MIS Quarterly, Vol.31, No.1, pp. 1-17, 2007. 

  2. Ahuja, M.K., & Thatcher, J.B., Moving Beyond Intentions and Toward the Theory of Trying, MIS Quarterly, Vol.29, No.3, pp. 427-459, 2005. 

  3. Allen, T.D., Herst, D.E.L., Bruck, C.S., & Sutton, M., Consequences Associated with Work-to-Family Conflict,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Vol.5, No.2, pp. 278-308, 2000. 

  4. Allen, T.D., Johnson, R.C., Kiburz, K.M., & Shockley, K.M., Work-Family Conflict and Flexible Work Arrangements, Personnel Psychology, Vol.66, No.2, pp. 345-376, 2013. 

  5. Annink, A., & den Dulk, L., Autonomy, Community, Work & Family, Vol.15, No.4, pp. 383-402, 2012. 

  6. Ashforth, B.E., Kreiner, G.E., & Fugate, M., All in a Day's Work,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5, No.3, pp. 472-491., 2000. 

  7. Barnett, R.C., & Hyde, J.S., Women, Men, Work, and Family, American Psychologist, Vol.56, No.10, pp. 781-796, 2001. 

  8. Beehr, T.A., Perceived Situational Moderato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Role Ambiguity and Role Strai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61, No.1, pp. 35-40, 1976. 

  9. Beham, B., Drobnic, S., & Prag, P., Work Demands and Resources and the Work-Family Interfa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78, No.1, pp. 110-122, 2011. 

  10. Bulger, C.A., Matthews, R.A., & Hoffman, M.E., Work and Personal Life Boundary Management,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Vol.12, No.4, pp. 365-375, 2007. 

  11. Cardenas, R.A., Major, D.A., & Bernas, K.H., Exploring Work and Family Distrac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tress Management, Vol.11, No.4, pp. 346-365, 2004. 

  12. Carlson, D.S., & Frone, M.R., Relation of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Involvement to a New Four-Factor Conceptualization of Work-Family Interference,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Vol.17, No.4, pp. 515-535, 2003. 

  13. Carlson, D.S., Kacmar, K.M., & Williams, L.J., Construction and Initial Validation of a Multidimensional Measure of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56, No.2, pp. 249-276, 2000. 

  14. Clark, S.C., Work/Family Border Theory, Human Relations, Vol.53, No.6, pp. 747-770, 2000. 

  15. Eagle, B., Miles, E., & Icenogle, M., Interrole Conflicts and the Permeability of Work and Family Domain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ur, Vol.50, No.2, pp. 168-184, 1997. 

  16. Fornell, C., & Larcker, D.F.,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1, pp. 39-50, 1981. 

  17. Frone, M.R., Work-Family Balanc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p. 143-162, 2003. 

  18. Frone, M.R., Russell, M., & Cooper, M.L., Antecedents and Outcomes of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7, No.1, pp. 65-78, 1992. 

  19. Frone, M.R., Russell, M., & Cooper, M.L., Prevalence of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13, No.7, pp. 723-729, 1992. 

  20. Gefen, D., Straub, D.W., & Boudreau, M.-C.,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Regression, Communication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AIS), Vol.4, No.7, pp. 1-77., 2000. 

  21. Golden, T.D., & Fromen, A., Does It Matter Where Your Manager Works?, Human Relations, Vol.64, No.11, November 1, 2011, pp. 1451-1475, 2011. 

  22. Goldstein, N., IT at Work, SRI International, 2003. 

  23. Greenhaus, J.H., & Beutell, N.J., Source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0, No.1, pp. 76-88, 1985. 

  24. Hackman, J.R., & Oldham, G.R., Development of the Job Diagnostic Surve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60, No.2, pp. 159-170, 1975. 

  25. Hair, J.F., Anderson, R.E., Tatham, R.L., & Black, W.C., Multivariate Data Analysis, (5th ed.), Prentice-Hall, 1998. 

  26. Hall, D.T., & Richter, J., Balancing Work Life and Home Life, The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Vol.2, No.3, pp. 213-223, 1989. 

  27. Hammer, L., Bauer, T., & Grandey, A., Work-Family Conflict and Work-Related Withdrawal Behaviors,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Vol.17, No.3, pp. 419-436, 2003. 

  28. Hayduk, L.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LISREL,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7. 

  29. Hecht, T.D., & Allen, N.J., A Longitudinal Examination of the Work-Nonwork Boundary Strength Construc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30, No.7, pp. 839-862, 2009. 

  30. Hu, L.-t., & Bentler, P.M.,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Vol.6, No.1, pp. 1- 55, 1999. 

  31. Ilies, R., Wilson, K.S., & Wagner, D.T., The Spillover of Daily Job Satisfaction onto Employees' Family Liv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52, No.1, pp. 87-102, 2009. 

  32. Jacobs, J.A., & Gerson, K., The Time Divid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4. 

  33. Kaldenberg, D.O., & Becker, B.W., Workload and Psychological Strain,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13, No.6, pp. 617-624, 1992. 

  34. Kossek, E.E., & Ozeki, C., Work-Family Conflict, Policies, and the Job-Life Satisfaction Relationship,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3, No.2, pp. 139-149, 1998. 

  35. Kreiner, G.E., Consequences of Work-Home Segmentation or Integration,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7, No.4, pp. 485-507, 2006. 

  36. Lewin, K., Field Theory in Social Science, Harper & Brothers, 1951. 

  37. Major, D.A., & Germano, L.M., The Changing Nature of Work and Its Impact on the Work-Home Interface, Psychology Press, pp. 13-38, 2006. 

  38. Nilles, J.M., Carlson, F.R., Gray, P., & Hanneman, G., The Telecommunications-Transportation Tradeoffs, Wiely, 1974. 

  39. Nippert-Eng, C., Home and Work,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6. 

  40. Nunnally, J.C., Psychometric Theory, McGraw Hill, 1967. 

  41. Olson, M.H., New Information Technology and Organizational Culture, MIS Quarterly, Vol.6, No.4, pp. 71-92, 1982. 

  42. Parasuraman, S., & Greenhaus, J.H., Toward Reducing Some Critical Gaps in Work-Family Research,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Vol.12, No.3, pp. 299-312, 2002. 

  43. Park, Y., & Jex, S.M., Work-Home Boundary Management Using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Stress Management, Vol.18, No.2, pp. 133-152, 2011. 

  44. Perlow, L.A., Boundary Control,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43, No.2, pp. 328-357, 1998. 

  45. Pleck, J.H., The Work-Family Role System, Social Problems, Vol.24, No.4, pp. 417-427, 1977. 

  46. Pratt, J., Costs/Benefits of Teleworking to Manage Work/Life Responsibilities, ITAC, 1999. 

  47. Rau, B.L., & Hyland, M.M., Role Conflict and Flexible Work Arrangements, Personnel Psychology, Vol.55, No.1, pp. 111-136, 2002. 

  48. Sauter, S.L., Murphy, L.R., & Hurrell, J.J., Prevention of Work-Related Psychological Disorders, American Psychologist, Vol.45, No.10, pp. 1146-1158, 1990. 

  49. Schieman, S., Milkie, M.A., & Glavin, P., When Work Interferes with Lif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74, No.6, pp. 966-988, 2009. 

  50. Sieber, S.D., Toward a Theory of Role Accumula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39, No.4, pp. 567-578, 1974. 

  51. Staples, D.S., Hulland, J.S., & Higgins, C.A., A Self-Efficacy Theory Explanation for the Management of Remote Workers in Virtual Organizations Organization Science, Vol.10, No.6, pp. 758-776 1999. 

  52. Steenkamp, J.-B.E.M., & van Trijp, H.C.M., The Use of LISREL in Validating Marketing Constructs,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Marketing, Vol.8, No.4, pp. 283-299, 1991. 

  53. Thomas, L.T., & Ganster, D.C., Impact of Family-Supportive Work Variables on Work-Family Conflict and Strai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0, No.1, pp. 6-15, 1995. 

  54. Valcour, P.M., & Hunter, L.W., Technology, Organizations, and Work-Life Integration, Lawrence Erlbaum, pp. 61-84, 2005. 

  55. van Steenbergen, E.F., Ellemers, N., & Mooijaart, A., How Work and Family Can Facilitate Each Othe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Vol.12, No.3, pp. 279-300, 2007. 

  56. Voydanoff, P., Work, Family, and Community, Lawrence Erlbaum, 2007. 

  57. Xie, J.L., & Johns, G., Job Scope and Stress, Th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8, No.5, pp. 1288-1309, 1995. 

  58. Zerubavel, E., The Fine Line, Free Press,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