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규간호사의 극복력 경험
Newly graduated Nurse's Resilience Experienc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10, 2021년, pp.656 - 667  

황혜남 (대구대학교 간호학과) ,  이윤신 (차의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신규간호사의 극복력에 대한 경험을 확인하고 그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12개월 미만의 신규간호사 9명이었으며, 반구조화된 심층 인터뷰 자료를 이용한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한 질적연구이다. 자료분석은 Colaizzi의 방법에 근거하여 이루어졌다. 신규간호사의 극복력 경험을 분석한 결과 의미 있는 진술은 총 86개이었으며, 이로부터 13개의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4개의 주제모음으로 통합되었다. 도출된 4개의 주제모음은 '부족함을 인정하고 자기개발하기', '참고견뎌보기', '주변인들의 지지', '환기하고 승화하기' 이었다. 이에 신규간호사의 극복력을 이해하고 강화하여 간호전문성을 향상시키고 업무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신규간호사의 이직률을 줄이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silience experience and to identify in-depth the meaning of the resilience of newly graduated nurses. Methods: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study us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nd used data obtained from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

주제어

표/그림 (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극복력 경험에 대한 주관적 의미를 밝히고 이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기술하기 위한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한 질적연구이다.
  • 본 연구는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신규간호사의극복력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시도되었다. 이에 대해 9명의 입사 12개월 미만 신규간호사의 심층 면담을 통해 ‘부족함을 인정하고 자기개발하기’, ‘참고 견뎌보기’, ‘주변인들의 지지’, ‘환기하고 승화하기’의 네 가지 주제모음이 도출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신규간호사의 극복력에 대한 의미를 심층적으로 확인하여, 개념을 기술하고, 이에 따른 의미구조를 통합하는 것이다. 이에 결과적으로 확인된 기술을 중심으로 신규간호사의 극복력을 돕기 위한 간호 중재방안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 이에 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신규간호사의 극복력 경험에 대한 현상을 파악하고, 그 과정을 깊이 있게 고찰하여 본질적인 구조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신규간호사들이 직면하고 있는 어려움과 이를 극복하는 방법을 파악하고 신규간호사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신규간호사의 극복력 경험에 대한 현상을 파악하고, 그 과정을 깊이 있게 고찰하여 본질적인 구조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신규간호사들이 직면하고 있는 어려움과 이를 극복하는 방법을 파악하고 신규간호사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Hospital Nurses Association, Business report for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8. Seoul: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9. 

  2. 정정희, 최미향, 김은경, 김영혜, "신규간호사 이직의 영향요인에 관한 융합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9권, 제2호, pp.73-83, 2018. 

  3. 신수진, 박영우, 김미정, 김정현, 이인영, "신규간호사 교육체계에 대한 실태조사: 프리셉터십 운영을 중심으로," 의학교육논단, 제21권, 제2호, pp.112-122, 2019. 

  4. W. Zingg, A. Holmes, M. Dettenkofer, T. Goetting, F. Secci, and L. Clack, et al., "Hospital organisation, management, and structure for prevention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A systematic review and expert consensus," The Lancet Infectious Diseases, Vol.15, No.2, pp.212-224, 2015. 

  5. 지은아, 김지수, "근무 기간에 따른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간호행정학회지, 제24권, 제1호, pp.51-60, 2018. 

  6. 정귀남, 이화진, 권혜진,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인지적 정서조절이 신규간호사의 현장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0호, pp.6895-6904, 2015. 

  7. 박소연, 권윤희, 박영숙, "신규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조직사회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2호, pp.324-332, 2015. 

  8. 신경미, 권정옥, 김은영,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과 영향요인," 간호행정학회지, 제20권, 제3호, pp.292-301, 2014. 

  9. T. Y. Wu, D. P. Fox, C. Stokes, and C. Adam, "Work-related stress and intention to quit in newly graduated nurses," Nurse Education Today, Vol.32, No.6, pp.669-674, 2012. 

  10. D. Jackson, A. Firtko, and M. Edenborough, "Personal resilience as a strategy for surviving and thriving in the face of workplace adversity: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60, pp.1-9, 2007. 

  11. P. L. Hart, J. D. Brannan, and M. De Chesnay, "Resilience in nurses: an integrative review."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Vol.22, No.6, pp.720-734, 2014. 

  12. B. M. Gillespie, W. Chaboyer, M. Wallis, and P. Grimbeek, "Resilience in the operating room: Developing and testing of a resilience model,"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59, No.4, pp.427-438, 2007. 

  13. H. Catherine, D. Zoe, and J. Debra, "Nursing resilience interventions-A way forward in challenging healthcare territori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29, pp.3597-3599, 2020. 

  14. 김부남, 오현숙, 박용숙, "간호사의 탄력성과 직무 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제20권, 제1호, pp.14-23, 2011. 

  15. 문인오, 박숙경, 정정미, "임상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열의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제19권, 제4호, pp.525-535, 2013. 

  16. 박점미, 신나연, "종합병원 신규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회복력, 이직의도간의 관계에 대한 융합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10권, 제4호, pp.277-284, 2019. 

  17. P. F. Colaizzi,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cal views. In Valle R & King M (Eds.),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 for psychology. New York, NY:Oxford University Press, 1978. 

  18. E. G. Guba and Y. S. Lincoln, Effective evaluation: Improving the usefulness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istic approaches, San Francisco, CA: Jossey-Bass Publishers, 1981. 

  19. J. H. Larrabee, Y. Wu, C. A. Persily, P. S. Simoni, P. A. Johnston, and T. L. Marcischak, "Influence of stress resiliency on RN job satisfaction and ntend to stay,"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Vol.32, No.1, pp.81-102, 2010. 

  20. M. Ungar, Social Ecology of Resilience: A Hand-book of Theory and Practice, New York: Springer, 2012. 

  21. 서연옥, 이경우, "신규간호사의 삶의 경험," 간호행정학회지, 제19권, 제2호, pp.227-238, 2013. 

  22. 신수진, 김순희, "비판적 성찰훈련에 참여한 신규간호사의 경험," 질적연구, 제20권, 제1호, pp.60-67, 2019. 

  23. 권인각, 조용애, 조명숙, 이영희, 김미순, 김경숙, 최애선, "신규간호사의 실무적응지원 교육만족도 및 역할이행경험에 관한 조사," 임상간호연구, 제25권, 제3호, pp.237-250, 2019. 

  24. C. Delaney, "Walking a fine line: graduate nurses' transition experiences during orientation,"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42, No.10, pp.437-443, 2003. 

  25. M. Mooney, "Professional socialization: The key to survival as a newly qualified nurs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Vol.13, No.2, pp.75-80, 2007. 

  26. 신연화, 이해정, 임연정,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 예측요인," 간호행정학회지, 제16권, 제1호, pp.37-47, 2010. 

  27. 윤혜미, 김정순,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 관련요인," 글로벌 건강과 간호, 제2권, 제2호, pp.52-61, 2012. 

  28. B. Eric, P. O. Anthony, M. Rebecca, R. Mark, J. Carole, M. Karen, N. Kim, and G. Michelle, "Workplace stress and resilience in the Australian nursing workforce: A comprehensive integrativ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Nursing, Vol.29, pp.5-34, 2020. 

  29. 김창희, 김혜숙, 조혜성, 이순옥, 함형미, 박미미, "신규간호사 배치 후 교육시 프리셉터쉽 적용사례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제12권, 제4호, pp.546-559, 2000. 

  30. 박보현, 김세영, "2011-2015년 신규간호사와 경력간호사의 이동 경향과 지역 간 이동의 영향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제47권, 제5호, pp.676-688, 2017. 

  31. G. Mcdonald, D. Jackson, M. H. Vickers, and L. Wilkes, "Surviving workplace adversity: a qualitative study of nurses and midwives and their strategies to increase personal resilience,"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Vol.24, pp.123-131, 2016. 

  32. 이미영, 임숙빈, 변은경, 정은자, "간호조직문화가 신규간호사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임상간호연구, 제24권, 제2호, pp.137-146, 2018. 

  33. 박정옥, 이미정, 김경자, 장봉희, 유문숙, "신입간호사의 회복탄력성,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 가정간호학회지, 제20권, 제2호, pp.124-132, 2013. 

  34. 조은아, 강지연, "신규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경험과 회복탄력성이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근관절건강학회지, 제22권, 제2호, pp.78-86, 2015. 

  35. 김정운, 박정열, 손영미, 장훈, "일과 삶의 조화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효과성," 여가학연구, 제2권, 제3호, pp.29-48, 2005.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