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외식행동에 따른 대학생의 소셜커머스 외식상품 이용 현황 Use of Social Commerce Restaurant Products by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ating Out Behavior원문보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se of social commerce restaurant products by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ating out behavior. The questionnaire for the survey was distributed to 450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s of purchasing a restaurant pr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se of social commerce restaurant products by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ating out behavior. The questionnaire for the survey was distributed to 450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s of purchasing a restaurant product on social commerce, with 286 responses used for analysis. From the result, college students frequently use smart phones and SNS for making such purchases. While the awareness of social commerce was high, they sometimes visited the websites and purchased products. The awareness and purchase experience of Coupang and Ticket Monster turned out to be the highest. The most frequently purchased product was restaurant discount coupons, followed by fashion/accessories, movie or concert tickets, food products, and beauty shop discount coupons. The discount rate was mostly 30 to 40% on average. The most significantly considered matter in purchasing products and services was product quality, followed by discount rate and consumer review. The respondents ate out at least 3 to 5 times a week, spent $100,000{\leq}200,000$ won, and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restaurant products from social commerce sites. The main satisfaction reason was price, whereas the dissatisfaction reason was false and puffy advertising. Service quality improvement and variety of category were the most necessary factors for improvement. Amo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as a difference in purchase expenditure of social commerce restaurant products, as well as purpose, companion, time used and word-of-mouth experience according to gender. According to grade, there was a difference in purchase expenditure, companion, area of use and impulsive purchase. Among the eating out behavior, there was a difference in purpose, companion and word-of-mouth experience according to the eating out frequency. Meanwhile, there was a difference in purchase expenditure, companion, time used, word-of-mouth experience and tool according to the eating out co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se of social commerce restaurant products by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ating out behavior. The questionnaire for the survey was distributed to 450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s of purchasing a restaurant product on social commerce, with 286 responses used for analysis. From the result, college students frequently use smart phones and SNS for making such purchases. While the awareness of social commerce was high, they sometimes visited the websites and purchased products. The awareness and purchase experience of Coupang and Ticket Monster turned out to be the highest. The most frequently purchased product was restaurant discount coupons, followed by fashion/accessories, movie or concert tickets, food products, and beauty shop discount coupons. The discount rate was mostly 30 to 40% on average. The most significantly considered matter in purchasing products and services was product quality, followed by discount rate and consumer review. The respondents ate out at least 3 to 5 times a week, spent $100,000{\leq}200,000$ won, and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restaurant products from social commerce sites. The main satisfaction reason was price, whereas the dissatisfaction reason was false and puffy advertising. Service quality improvement and variety of category were the most necessary factors for improvement. Amo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as a difference in purchase expenditure of social commerce restaurant products, as well as purpose, companion, time used and word-of-mouth experience according to gender. According to grade, there was a difference in purchase expenditure, companion, area of use and impulsive purchase. Among the eating out behavior, there was a difference in purpose, companion and word-of-mouth experience according to the eating out frequency. Meanwhile, there was a difference in purchase expenditure, companion, time used, word-of-mouth experience and tool according to the eating out cos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셜커머스에서 외식 상품을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20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소셜커머스의 일반적 이용현황을 알아보고 인구통계학 특성 및 외식 행동에 따른 소셜커머스 외식상품 이용 현황의 차이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활용하는 전자상거래의 일종인 소셜커머스에서 외식 상품을 구매해본 경험이 있는 20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소셜커머스의 일반적 이용현황을 알아보고 인구통계학 특성 및 외식 행동에 따른 소셜커머스 외식상품 이용 현황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제안 방법
Kim IS 등(2011)과 Seong GH(2011)의 연구를 토대로 설문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조사 대상자의 일반사항은 성별, 학년을 조사하였고, 외식 행동은 외식 빈도, 외식 비용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소셜커머스 일반적 이용 현황은 스마트폰 및 SNS 사용 여부, 소셜커머스 인지도, 방문빈도, 구매빈도, 소셜커머스 사이트 인지도(중복 응답), 소셜커머스 사이트 구매 경험(중복 응답), 구매 품목(중복 응답), 제품 및 서비스 구매 시 할인율, 타 사이트 제품 가격 확인 경험, 소셜커머스 만족도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Kim IS 등(2011)과 Seong GH(2011)의 연구를 토대로 설문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조사 대상자의 일반사항은 성별, 학년을 조사하였고, 외식 행동은 외식 빈도, 외식 비용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소셜커머스 일반적 이용 현황은 스마트폰 및 SNS 사용 여부, 소셜커머스 인지도, 방문빈도, 구매빈도, 소셜커머스 사이트 인지도(중복 응답), 소셜커머스 사이트 구매 경험(중복 응답), 구매 품목(중복 응답), 제품 및 서비스 구매 시 할인율, 타 사이트 제품 가격 확인 경험, 소셜커머스 만족도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소셜커머스 사이트 인지도 및 사이트 구매 경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랭키닷컴에서 2013년 3월 기준 소셜커머스 상위 20개 업체를 선정하여 예시로 제시하였다.
소셜커머스 외식상품 이용 현황에 대해서는 Lee SY(2012)의 연구를 참조하여, 소셜커머스 외식상품 구매 후 만족도, 만족 이유, 불만족 이유, 피해 사례, 개선점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또한 외식 상품 구매빈도, 구매 시 지출 금액, 구매 시 선호 업종, 구매목적, 구매 시 선택 조건, 이용 시 동행인, 사용지역, 사용시간대, 구전 경험, 구전 시 이용 매체, 충동 구매경험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질문 문항의 척도는 명목척도와 순위척도를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성별, 학년에 따른 소셜커머스 외식상품 이용 현황의 차이를 살펴보았다(Table 5).
외식 빈도, 월별 외식 비용에 따른 소셜커머스 외식상품 이용 현황의 차이를 살펴보았다(Table 6). 외식 빈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소셜커머스 외식상품 구매 빈도, 구매 시 지출 금액, 구매 시 선호 업종, 구매 시 선택 조건, 사용 지역, 사용 시간대, 구전 시 이용 매체, 충동 구매 경험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성별, 학년 등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소셜커머스 외식상품 이용 현황을 살펴보았다. 성별에 따라 구매 시 지출 금액은 남자가 2만원 이상-3만원 미만으로 여자 1만원 이상-2만원 미만보다 많았고, 구매 목적은 남자는 할인을 통한 절약을 위해서, 데이트를 위하여, 여자는 할인을 통한 절약을 위해서, 먹고 싶었던 메뉴가 있어서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외식 빈도, 월별 외식 비용 등 외식 행동에 따른 소셜커머스 외식상품 이용 현황을 살펴보았다. 외식 빈도에 따라 구매 목적은 외식 빈도가 월 1-2회 이하인 경우, 할인을 통한 절약을 위해서, 먹고 싶었던 메뉴가 있어서, 주 1-2회 그룹은 할인을 통한 절약을 위해서, 충동적으로 구매, 데이트를 위하여, 주 3-5회 이상 그룹은 할인을 통한 절약을 위하여, 데이트를 위하여, 평상시에는 가보지 못한 곳이므로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무적 기여도로는 성별, 학년 등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외식 빈도, 외식 비용 등 외식 행동에 따른 소셜 커머스 외식상품 이용현황의 차이점을 파악함으로써, 소셜커머스 상품 개발 담당자가 각각의 타깃 마켓에 맞는 외식 상품을 개발하고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특히 친구와 함께 외식업체를 이용하는 여자 고객을 위한 중저가 외식상품 개발과 데이트에 활용할 목적으로 다소 가격대가 높은 상품을 구매하는 남자 고객을 대상으로 한 상품 개발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였으며, 외식 빈도, 외식 비용이 높은 소셜커머스 heavy user를 타깃으로 한 상품 개발에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대상 데이터
소셜커머스 시장에서 20대 대학생은 가장 주요한 소비자층이므로, 본 연구의 실증조사를 위하여 서울·경기 지역의 7개 대학의 20대 대학생 중 소셜커머스에서 외식 상품을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이들을 조사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 방법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소셜커머스 시장에서 20대 대학생은 가장 주요한 소비자층이므로, 본 연구의 실증조사를 위하여 서울·경기 지역의 7개 대학의 20대 대학생 중 소셜커머스에서 외식 상품을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이들을 조사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 방법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13년 3월 11일부터 2013년 4월 10일까지 총 450부를 배포하여 296부를 회수하였으며(회수율: 65.8%),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다수의 문항에 응답하지 않은 10부를 제외한 286부(유효 63.6%)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소셜커머스 일반적 이용 현황은 스마트폰 및 SNS 사용 여부, 소셜커머스 인지도, 방문빈도, 구매빈도, 소셜커머스 사이트 인지도(중복 응답), 소셜커머스 사이트 구매 경험(중복 응답), 구매 품목(중복 응답), 제품 및 서비스 구매 시 할인율, 타 사이트 제품 가격 확인 경험, 소셜커머스 만족도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소셜커머스 사이트 인지도 및 사이트 구매 경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랭키닷컴에서 2013년 3월 기준 소셜커머스 상위 20개 업체를 선정하여 예시로 제시하였다. 또한 소셜커머스 제품 및 서비스 구매 시 고려 사항에 대해 1, 2, 3순위 조사하였다.
데이터처리
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 소셜 커머스 일반적 이용 현황, 소셜커머스 제품 및 서비스 구매시 중요 고려 요인, 소셜커머스 외식상품 구매 후 만족도와 관련된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빈도 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한 성별, 연령, 학년 등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외식 빈도, 외식 비용 등 외식 행동에 따른 소셜커머스 외식상품 이용 현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카이제곱 분석(chi-squar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 소셜 커머스 일반적 이용 현황, 소셜커머스 제품 및 서비스 구매시 중요 고려 요인, 소셜커머스 외식상품 구매 후 만족도와 관련된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빈도 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한 성별, 연령, 학년 등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외식 빈도, 외식 비용 등 외식 행동에 따른 소셜커머스 외식상품 이용 현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카이제곱 분석(chi-squar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론/모형
또한 소셜커머스 제품 및 서비스 구매 시 고려 사항에 대해 1, 2, 3순위 조사하였다. 소셜커머스 외식상품 이용 현황에 대해서는 Lee SY(2012)의 연구를 참조하여, 소셜커머스 외식상품 구매 후 만족도, 만족 이유, 불만족 이유, 피해 사례, 개선점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또한 외식 상품 구매빈도, 구매 시 지출 금액, 구매 시 선호 업종, 구매목적, 구매 시 선택 조건, 이용 시 동행인, 사용지역, 사용시간대, 구전 경험, 구전 시 이용 매체, 충동 구매경험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또한 외식 상품 구매빈도, 구매 시 지출 금액, 구매 시 선호 업종, 구매목적, 구매 시 선택 조건, 이용 시 동행인, 사용지역, 사용시간대, 구전 경험, 구전 시 이용 매체, 충동 구매경험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질문 문항의 척도는 명목척도와 순위척도를 사용하였다.
성능/효과
조사 대상자들의 소셜커머스에 대한 인지도는 ‘잘 알고 있다’가 121명(42.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조금 알고 있다’ 98명(34.3%), ‘아주 잘 알고 있다’ 48명(16.8%), ‘잘 모른다’ 17명(5.9%)으로 나타났다.
소셜커머스 이용 현황을 살펴본 결과(Table 2), 스마트폰의 사용 여부는 사용한다는 응답이 279명(97.6%)으로 매우 높은 편이였으며, SNS 이용 여부는 이용한다는 응답이 246명(86.0%)으로 높게 나타났고 비이용 35명(12.2%) 순으로 나타났다.
6%)으로 조사되었다. 소셜커머스 구매 빈도는 가끔 구매한다 123명(43.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보통이다 52명(18.2%), 잘 구매하지 않는다 52명(18.2%)으로 같은 비율을 보여 주었으며, 구매해 본 적이 없다 28명(9.8%), 자주 구매한다 22명(7.7%)으로 나타났다.
소셜커머스 사이트 인지도(중복 응답)에서는 쿠팡이 274명(27.7%)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여 주었으며, 티켓 몬스터 250명(25.3%), 위메이크프라이스 158명(16.0%), 그루폰 코리아 119명(12.0%), G마켓 소셜쇼핑 71명(7.2%), CJ 오클락 39명(3.9%), 딜나우 16명(1.6%), 쿠즐 14명(1.4%)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가 40명(4.
기타에는 원어데이, 아이쇼팡, 신한 Secret, 딜나우 등이 포함되었다. 즉 몇 개 상위 업체에 인지도 및 구매 경험이 매우 집중되어 있지만, 그 외에 다양한 군소업체에 대해서도 인지도 및 구매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소셜커머스 시장은 2010년 500억 원에서 2013년 3조원 규모까지 성장했지만 1위 업체 없이 치열한 경쟁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8%)으로 나타났다. 소셜커머스에 대한 만족도는 만족한다 141명(49.3%)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통이다 107명(37.4%), 만족하지 않는다 16명(5.6%) 순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 20대 대학생들은 음식점 이용 할인권의 구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순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 20대 대학생들은 음식점 이용 할인권의 구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hoi YI와 Seo IJ(2011)는 식/음료 서비스는 저렴한 가격과 구전을 통한 홍보효과를 크게 볼 수 있는 품목이기 때문에 거래가 가장 활발하다고 하였다.
소셜커머스 제품 및 서비스 구매 시 고려 사항의 순위를 살펴본 결과(Table 3), 제품 및 서비스 구매 시 고려사항 1순위 에서는 제품(서비스) 품질이 86명(30.1%)으로 높게 나타났고, 할인율은 70명(24.5%), 이용 고객의 후기 (평가) 21명(7.3%), 제품(서비스)종류 17명(5.9%), 할인제품의 실제 가격은 12명(4.2%), 제품(서비스) 관련 설명 4명(1.4%), 주문/결제 편리성은 3명(1.0%) 순으로 조사되었다. 제품 및 서비스 구매 시 고려사항 2순위 에서는 할인율 57명(19.
소셜커머스 외식 상품 이용 현황을 살펴본 결과(Table 4), 소셜커머스 외식 상품 구매 후 만족도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이 146명(51.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보통이다 115명(40.2%), 매우 만족이 9명(3.1%), 대체로 불만족이 6명(2,1%) 순으로 나타났다. 소셜커머스 외식 관련 상품의 만족 이유는 가격이 148명(51.
소셜커머스 외식 관련 상품과 관련된 피해 사례는 없음이라는 응답이 142명(49.7%)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음식의 양과 맛은 52명(18.2%), 서비스 불친절 34명(11.9%), 추가 금액 발생에 따른 피해 28명(9.8%)으로 조사되었다. 소셜커머스 외식 관련 상품의 소비에 따른 개선점은 기업체의 서비스 품질 향상이 90명(31.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소셜커머스 외식상품 구매 빈도, 구매 시 선호 업종, 구매 시 선택 조건, 구전시 이용 매체, 충동구매 경험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구매 시 지출 금액은 남자는 2만원 이상-3만원 미만이 17명(38.
01). 즉 남녀 모두 할인을 통한 절약을 위해서 소셜커머스에서 외식 상품을 구매하지만, 그 다음 순위로는 남자는 데이트, 여자는 먹고 싶은 메뉴가 있어서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남자의 경우 충동구매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이용 시 동행은 남자는 친구 21명(47.
주로 구매하는 메뉴는 패스트푸드류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파스타(피자)류 구매가 높게 나타났다. 외식쿠폰 구매 후 동반 이용자는 친구 및 후배, 연인, 가족 등이 고르게 나타났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가족과의 이용이 높게 조사되었다. Kim HH(2012)의 연구는 본 연구 결과와 조사 대상의 연령대가 차이가 있으므로 결과도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 빈도, 월별 외식 비용에 따른 소셜커머스 외식상품 이용 현황의 차이를 살펴보았다(Table 6). 외식 빈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소셜커머스 외식상품 구매 빈도, 구매 시 지출 금액, 구매 시 선호 업종, 구매 시 선택 조건, 사용 지역, 사용 시간대, 구전 시 이용 매체, 충동 구매 경험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외식 비용에 따라서 소셜커머스 외식상품 구매 빈도, 구매 시 선호 업종, 구매 목적, 구매 시 선택 조건, 사용 지역, 충동구매 경험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구매 시 지출금액은 월별 외식 비용이 20만원 이상인 그룹은 소셜커머스에서 외식상품을 구매할 때 지출 금액도 높게 나타난 반면, 외식 비용이 10만원 미만인 그룹은 소셜커머스 외식상품 구매시 지출 금액도 낮게 나타났다 (p<0.01).
소셜커머스에서 외식상품 구매 후 만족도는 대체로 만족, 만족 이유는 가격, 불만족 이유는 과대·허위 광고가 높게 나타났다.
이용 시 동행은 월별 외식 비용이 10만원 미만으로 낮은 그룹은 친구 47명(59.5%), 가족 18명(22.8%)으로 가족과의 동행이 상대적으로 많은 반면, 10만원 이상-20만원 미만 그룹은 친구 66명(60.6%), 연인 33명(30.3%), 20만원 이상 그룹은 친구 38명(63.3%), 연인 16명(26.7%)으로 나타나 가족보다 연인과의 동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5).
01). 외식 비용이 낮은 경우 facebook 을 구전 매체로 주로 이용하는 반면, 외식 비용이 높은 그룹은 SMS message를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1월 현재 국내 4대 소셜커머스 사이트의 SNS 구전 tool을 살펴보면, 쿠팡은 트위터, 이메일, 페이스북, 티켓몬스터는 SMS, 페이스북, 트위터, 미투데이, 위메이크프라이스는 페이스북, 트위터, 미투데이, Daum 마이피플, 그루폰코리아는 페이스북, 트위터, 미투데이, 핀터레스트 등을 구전 tool로 제공하고 있다.
첫째, 응답자들의 스마트폰 및 SNS 이용률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소셜커머스 인지도는 높은 반면 방문 빈도 및 구매 빈도는 가끔이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소셜커머스 사이트 인지도 및 구매 경험은 쿠팡, 티켓몬스터가 높았고, 위메이크프라이스, 그루폰 코리아 순이었다.
첫째, 응답자들의 스마트폰 및 SNS 이용률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소셜커머스 인지도는 높은 반면 방문 빈도 및 구매 빈도는 가끔이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소셜커머스 사이트 인지도 및 구매 경험은 쿠팡, 티켓몬스터가 높았고, 위메이크프라이스, 그루폰 코리아 순이었다. 제품 및 서비스 구매 시 할인율은 30% 이상-40% 미만이 높게 나타났고, 타 사이트에서 제품가격 확인 경험이 높게 나타났으며, 서비스 족도는 만족한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소셜커머스 사이트 인지도 및 구매 경험은 쿠팡, 티켓몬스터가 높았고, 위메이크프라이스, 그루폰 코리아 순이었다. 제품 및 서비스 구매 시 할인율은 30% 이상-40% 미만이 높게 나타났고, 타 사이트에서 제품가격 확인 경험이 높게 나타났으며, 서비스 족도는 만족한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제품 및 서비스 구매 시 고려사항은 1순위 제품 품질, 2순위 할인율, 3순위 이용 고객의 후기로 나타났다.
둘째, 외식 빈도는 주당 3-5회, 월별 외식 비용은 10만원 이상-20만원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소셜커머스에서 외식상품 구매 후 만족도는 대체로 만족, 만족 이유는 가격, 불만족 이유는 과대·허위 광고가 높게 나타났다.
소셜커머스에서 외식상품 구매 후 만족도는 대체로 만족, 만족 이유는 가격, 불만족 이유는 과대·허위 광고가 높게 나타났다. 피해 사례는 없다, 음식의 양과 맛, 불친절한 서비스, 추가 비용 순으로 나타났으며, 개선점은 기업체의 서비스 품질 향상, 다양한 카테고리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구매 시 지출 금액은 남자가 2만원 이상-3만원 미만으로 여자 1만원 이상-2만원 미만보다 많았고, 구매 목적은 남자는 할인을 통한 절약을 위해서, 데이트를 위하여, 여자는 할인을 통한 절약을 위해서, 먹고 싶었던 메뉴가 있어서 순으로 나타났다. 이용 시 동행은 남자는 친구, 연인이 동일한 반면, 여자는 친구가 연인보다 높게 나타났고 가족과의 동행도 많았다. 사용 시간대는 남녀 모두 저녁, 점심 순이었으며 여자는 커피 등 음료를 마실 때 이용 비율이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고, 구전 경험은 남자는 없다, 여자는 있다가 높게 나타났다.
이용 시 동행은 남자는 친구, 연인이 동일한 반면, 여자는 친구가 연인보다 높게 나타났고 가족과의 동행도 많았다. 사용 시간대는 남녀 모두 저녁, 점심 순이었으며 여자는 커피 등 음료를 마실 때 이용 비율이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고, 구전 경험은 남자는 없다, 여자는 있다가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 구매 시 지출 금액은 1-2학년은 1만원 이상-2만원 미만, 3-4학년은 2만원 이상-3만원 미만이 높게 나타났다.
이용 시 동행은 월 1-2회 이하 그룹은 친구가 많았고, 주 1-2회 그룹은 친구, 연인, 주 3-5회 이상 그룹도 친구, 연인 순으로 외식 빈도가 높을수록 연인의 비율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구매 후 구전 경험은 월 1-2회 이하 그룹은 구전 경험이 없다, 주 3-5회 이상 그룹은 있다가 높게 나타났고, 주 1-2회 그룹은 있다가 없다 보다 조금 더 많아 외식 빈도가 높을수록 구전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별 외식 비용에 따라, 구매 시 지출 금액은 월별 외식 비용이 20만원 이상인 그룹은 소셜커머스 외식상품 구매 시 지출 금액이 2만원 이상-3만원 미만, 1만원 이상-2만원 미만, 3만원 이상 순으로 나타난 반면 10만원 미만인 그룹은, 1만원 이상-2만원 미만, 2만원 이상-3만원 미만, 1만원 미만 순으로 나타났다.
이용 시 동행은 10만원 미만 그룹은 친구, 가족, 10만원 이상-20만원 미만 그룹은 친구, 연인, 20만원 이상 그룹은 친구, 연인 순으로 나타났다. 사용 시간 대는 20만원 이상 그룹은 저녁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10만원 미만 그룹은 저녁, 점심, 커피 등 음료를 마실 때가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다. 10만원 이상-20만원 미만 그룹은 저녁이 가장 높았다.
첫째, 대학생은 스마트폰과 SNS를 활발히 이용하고 있고 소셜커머스에 대한 인지도는 높은 반면, 소셜커머스 사이트에 방문하거나 구매하는 빈도는 가끔 방문하고 구매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이는 소셜커머스가 앞으로도 성장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직까지 업계 1위를 다투고 있는 쿠팡, 티켓몬스터와 3, 4위의 위메이크프라이스, 그루폰코리아의 인지도 및 구매도는 매우 높은 반면, 나머지 군소 업체는 숫자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이용률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도 소셜커머스 업계의 구조 조정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소셜커머스에서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학생들은 음식점 이용 할인권을 가장 많이 사용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기에 식품까지 포함하면 그 이용률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식업계 및 식품업계에서는 소셜커머스에 적합한 상품 개발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둘째, 대학생은 외식 빈도는 높은 반면, 월별 외식 지출 비용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가벼운 주머니 사정에 맞는 저렴한 상품대의 외식 상품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소셜커머스에서 외식상품 이용 시 남자는 연인과의 데이트를 위한 상품 구매가 많기 때문에 가격대가 상대적으로 높은 상품을 구매하고, 여자는 친구와 함께 먹고 싶었던 메뉴를 먹기 위해 가격대가 낮은 상품을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자보다는 여자가 상품에 대한 구전 활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자는 주로 식사를 위한 외식 상품을 이용하는 반면, 여자는 커피 등 음료를 마실 때에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타깃 마켓에 적합한 상품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또한 남자는 주로 식사를 위한 외식 상품을 이용하는 반면, 여자는 커피 등 음료를 마실 때에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타깃 마켓에 적합한 상품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학년이 낮을수록 저렴한 상품을 구매하여 친구와 함께 가고 충동 구매가 적은 반면, 학년이 높아질수록 구입 상품의 가격대가 높아지고 연인과의 이용이 늘어나고 충동 구매 경험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에 맞는 상품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외식 빈도가 높을수록 연인과의 동행이 늘어나고 데이트를 위해 외식 상품을 구매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구전 경험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식 비용을 많이 지출할수록 소셜커머스에서 외식 상품 구매 시 지출 금액도 많아지고, 연인과의 동행이 늘어나고, 저녁 시간대 이용이 많아지며 구전 경험도 증가하고 페이스북보다는 SMS 메시지를 이용해 구전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외식 빈도가 높을수록 연인과의 동행이 늘어나고 데이트를 위해 외식 상품을 구매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구전 경험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식 비용을 많이 지출할수록 소셜커머스에서 외식 상품 구매 시 지출 금액도 많아지고, 연인과의 동행이 늘어나고, 저녁 시간대 이용이 많아지며 구전 경험도 증가하고 페이스북보다는 SMS 메시지를 이용해 구전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들이 저녁 시간에 데이트 할 때 이용할 수 있는 2-3만원대 소셜커머스 외식 상품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학문적 기여점을 살펴보면, 지금까지 소셜커머스와 관련된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었으나 외식 분야에서 이루어진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므로, 외식 분야와 관련한 소셜커머스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높이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소셜커머스에서 외식상품을 실제로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20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소셜커머스의 일반적 이용 현황을 알아보고,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외식 행동에 따른 소셜커머스 외식상품 이용현황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므로 외식분야에서 이루어진 소셜커머스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구매 후 구전 경험은 외식 빈도가 월 1-2회 이하로 낮은 그룹은 구전 경험이 없다가 27명(56.3%)으로 있다 21명(43.8%)보다 높게 나온 반면, 외식 빈도가주 1-2회인 그룹은 있다 57명(58.2%), 없다 41명(41.8%), 주 3-5회 이상인 그룹은 있다 91명(71.7%), 없다 36명(28.3%)로 나타나 외식 빈도가 높을수록 소셜커머스 외식 상품 구매 후 구전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후속연구
조사 대상을 서울·경기 지역의 20대 대학생으로 한정하였으므로, 조사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학문적 기여점을 살펴보면, 지금까지 소셜커머스와 관련된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었으나 외식 분야에서 이루어진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므로, 외식 분야와 관련한 소셜커머스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높이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소셜커머스에서 외식상품을 실제로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20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소셜커머스의 일반적 이용 현황을 알아보고,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외식 행동에 따른 소셜커머스 외식상품 이용현황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므로 외식분야에서 이루어진 소셜커머스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실무적 기여도로는 성별, 학년 등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외식 빈도, 외식 비용 등 외식 행동에 따른 소셜 커머스 외식상품 이용현황의 차이점을 파악함으로써, 소셜커머스 상품 개발 담당자가 각각의 타깃 마켓에 맞는 외식 상품을 개발하고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특히 친구와 함께 외식업체를 이용하는 여자 고객을 위한 중저가 외식상품 개발과 데이트에 활용할 목적으로 다소 가격대가 높은 상품을 구매하는 남자 고객을 대상으로 한 상품 개발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였으며, 외식 빈도, 외식 비용이 높은 소셜커머스 heavy user를 타깃으로 한 상품 개발에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조사 대상을 서울·경기 지역의 20대 대학생으로 한정하였으므로, 조사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다고 사료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실증조사의 범위를 확대하고 다양한 표본의 확보를 통하여 연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최근 모바일을 활용한 소셜커머스의 이용이 점차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상당히 미흡한 실정이다.
최근 모바일을 활용한 소셜커머스의 이용이 점차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상당히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모바일 쇼핑 환경의 소셜커머스와 관련된 외식 분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국내 소셜커머스는 외식쿠폰 등 레스토랑과 연계된 상품 외에도 패션잡화, 가전제품, 가공식품 등 다양한 품목들을 소개되고 있다.
국내 소셜커머스는 외식쿠폰 등 레스토랑과 연계된 상품 외에도 패션잡화, 가전제품, 가공식품 등 다양한 품목들을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소셜커머스를 활발히 이용하는 20대 대학생들은 음식점 이용할인권의 구매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대학생에게 적합한 소셜 커머스 외식 상품 개발을 위한 컨조인트 분석 연구 등 신상품 개발과 관련된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셜커머스란 무엇입니까?
현재 IT업계의 최대 이슈인 소셜커머스는 더 이상 낯설지 않은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소셜커머스는 트위터나 페이스북 등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새로운 형태의 전자상거래의 일종이다(Lee SH 2010). 과거의 인터넷 활동이 검색을 통한 정보를 찾는 역할에 그쳤다면 이제는 SNS를 통하여 검색뿐만 아니라 누군가와 소통하고 관계를 맺는 욕구를 해결하며 인맥을 넓힐 수 있게 되었으며(Kim YJ 2010), 소셜미디어는 인간의 사고에 도움을 주는 것을 넘어 인간의 사고와 의사결정에 직접 개입한다(Yoo SH 2012).
2010년 국내의 소셜커머스 시장 현황은 어떠합니까?
우리나라의 경우 2010년 국내의 소셜커머스 시장이 급격히 커지며 시장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중소 업체까지 포함한 업체 수만 500개가 넘어 업체 간 경쟁도 치열해졌다. 현재 국내의 소셜커머스 시장은 4강 체제로, 티켓 몬스터(티몬), 쿠팡, 위메이크프라이스(위메프), 그루폰코리아 등 상위 4개 업체가 국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MK News 2012). 한편 국내 소셜커머스의 경우 출범 초기 하루 몇 가지 상품만 팔던 것에서 벗어나 식당·미장원 등의 쿠폰뿐 아니라 가전제품, 생필품, 가공식품, 자동차 등 다양한 품목을 판매하는 ‘한국형 라이프커머스(Life Com-merce)’로 변신하고 있다.
소셜커머스의 장점은 무엇입니까?
과거의 인터넷 활동이 검색을 통한 정보를 찾는 역할에 그쳤다면 이제는 SNS를 통하여 검색뿐만 아니라 누군가와 소통하고 관계를 맺는 욕구를 해결하며 인맥을 넓힐 수 있게 되었으며(Kim YJ 2010), 소셜미디어는 인간의 사고에 도움을 주는 것을 넘어 인간의 사고와 의사결정에 직접 개입한다(Yoo SH 2012). 소셜커머스에서 제공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이용한 소비자들은 SNS를 통하여 자발적인 구전 (word-of-mouth)활동을 하기 때문에 소셜커머스는 제품 판매의 단순한 의미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효과도 거둘 수 있다는 장점을 내포한다(Gong YI 2010).
참고문헌 (25)
Cho SH, Ann DH, Lim ES. 2012. The Effects of Consumer Trust and Consuming Behaviors on the Social Commerce and Daily Deal Service in the Foodservice Industry. J Foodservice Manage 15(1):155-176
Choi YI, Seo IJ. 2011. The use of social commerce and satisfation: focusing on 20s and 30s. J Social Sci 28(0):13-30
Gong YI. 2010. Daily deal services market trends and prospects. Commun Policy 22(18):65-74
Han EK, Song SJ, Lim HN. 2011. The use of motives and satisfaction, social commerce study on re-purchase: centered on the theory met use. Korean J Advertising Public Relat 13(3):298-325
Kim HH. 2012. Usage trend and customer loyalty of social commerce on foodservice industry.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pp 17-38
Kim IS, Kim NS, Kim HS. 2011. Social commerce and consumer issues. Korea Consumer Agency. Policy research paper. pp 1-169
Kim YG, Chung JY. 2013. Effects of Service Convenience and Perceived Value on Satisfaction with Eating out in Social Commerce Service. J Tourism Sci 37(3):83-102
Kim YH. 2011. Social factors influencing the purchase of Commerce motivation for study. Communication Policy 23(11):41-63
Kim YJ. 2010. The Motivation to use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formation of social network service : focusing on Twitter and Me2DAY.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p 22
Ko SS, Kim MG, Yoo YJ, Kim SS. 2012. A Study on the Utilization Strategy of Social Commerce in Small Restaurants. J Soc Korea Ind Syst Eng 35(1):161-168
Lee JW. 2011. Effect of Social Commerce on Online Marketing of Food Service.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pp 47-53
Lee SH. 2010. An overview of social commerce in Korea. Seri Benchmarking Report. 2010.10.22.
Lee SY. 2012. Effect of social media marketing on university students' eating-out behavior.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pp 65-67
Lee YS. 2013. Social Commerce Characteristics Influencing Customer Trust and Satisfaction for Food service products.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pp 37-40
Li J. 2011. Joint purchase-type social commerce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acceptance.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pp 58-63
MK news. 2012. What led social commerce to exceed the market size worth KRW 1 trillion? Maeil Business Newspaper. 2012.4.2. Available from: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2&no 202941
MK news. 2013a. "We sell everything imaginable" Social commerce is a boom on mobile. Maeil Business Newspaper. 2013. 9. 5. Available from: http://digital.mk.co.kr/v2/articlePopup.php?MKCM0&SCA&YC2013&MC09&DC05&NC806968&EC2013&PC3&PN0.
MK news. 2013b. Ticket Monster on sale again: Social commerce business looks serous. Maeil Business Newspaper. 2013.11.8. Available from: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3&no1103426.
Moon JB, Kim IS, Jung WJ. 2012. A Study on the Effect of SNS Satisfaction on the Reliability and Continuous Use of Social Commerce. J Korea Manage Engineers Soc 17(2):273-292
Na YS, Ahn DH, Cho SH. 2012. The Influence of Socal Commerce of Foodservice on Buying Motives. Korean J Culinary Res 18(1):141-155
Nam JH, Kim YI, Hyun YH. 2013. A Study on Building Trust of Social Commerce by Food Product Consumers. J Foodservice Manage 16(5):147-170
Seong GH. 2011. study of the impact of SNS on e-commerce and the way for improvement.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pp 77-79
The Korea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KCCI Report. 2011. The use of social commerce and satisfaciton research.
Yoo SH. 2012. Are you social? The landscape of mankind changed by social media.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SERI Research essay. p 18
2012 Survey on the wireless internet usage - executive summary. KISA Report. 2012.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