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주지역 일부 저소득층 여자노인에서 지역사회 영양중재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식행동 변화 및 영양상태 개선 효과
The Effect of a Community-Based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m on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al Status of Low-Income Elderly Women in Gwangju City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7 no.3, 2014년, pp.495 - 506  

김복희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양지숙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  계승희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이윤나 (신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effect of a community-based nutritional intervention program on dietary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s of low-income elderly women in Korea.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 group of 88 elderly women using the free meal service in Dong-gu, Gwangju city in Kor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료급식을 이용하는 저소득층 여자노인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기반의 영양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사전조사를 통해 대상자들의 건강상태와 영양문제를 파악하고, 영양교육과 간식 지원 프로그램을 36회 실시했으며, 건강증진 효과를 높이기 위해 매회 30분간의 근력운동도 병행하였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무료급식에 참여하는 저소득층 여자 노인을 대상으로 영양교육과 간식 제공을 포함한 영양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식행동 및 영양섭취 개선효과를 평가하고자 했다. 조사대상자의 일반환경요인의 특성을 선행 연구들과 비교했을 때, 혼자 사는 비율과 교육 및 소득 수준은 저소득층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과는 비슷한 수준이었으나(Ro & Oh, 2003; Kim 2005; Park 2007a), 지역사회 건강한 일반 노인에 비해서는 혼자 사는 비율이 높고, 가구소득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Kim 등 2002; Kang & Lee 2005; Choi 등 2007).
  • 본 연구에서는 광주시 동구지역에 소재한 무료급식소 3곳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여자노인 88명을 대상으로 약 3개월간 일주일에 3회씩, 총 36회의 영양교육과 간식지원을 포함한 영양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사전, 사후의 식행동 요인 및 식품섭취량 조사를 통해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영양교육을 통한 식습관 변화를 유도함과 동시에 영양소 섭취수준을 높이기 위해 간식을 제공하였다. 간식은 사전조사에서 섭취량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난 에너지, 칼륨, 칼슘, 리보플라빈, 비타민 A의 섭취량을 높일 수 있도록 각 영양소의 급원식품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60세 이상 노인들이 당면하는 가장 어려운 문제는? 최근 발표된 정부 통계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노인 인구 비율, 노인가구 비율 및 독거노인 비율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KOSTAT 2012), 60세 이상 노인들이 당면하는 가장 어려운 문제는 건강문제와 경제적인 어려움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전체 노인의 48.
노인이 정부로부터 가장 지원 받기를 원하는 서비스는? 7%와 독거노인의 61.8%에서 건강문제가 있다고 평가했으며, 정부로부터 가장 지원 받기를 원하는 서비스로는 건강검진, 간병서비스, 가사지원, 식사 제공, 취미여가활동 지원 등으로 나타났다(KOSTAT 2009).
노인을 위한 영양지원 서비스에는 급식관리와 급식지원이 있는데 이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 현재 노인을 위한 영양지원 서비스는 사회복지시설이나 노인의료시설에서 제공되는 급식관리와 재가노인을 위한 급식지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시설에서 급식관리에 대해서는 전문 영양사의 배치를 늘리고, 급식관리 매뉴얼을 개발하는 등의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져 왔으며, 체계적 급식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의견이 제기되어왔다(KHIDI & KHEALTH, 2009). 재가노인의 경우는 노인복지법 제4조(보건복지증진의 책임)에 근거해 지방자치단체에서 저소득층 결식 우려 노인들에게 경로식당 무료급식사업과 거동불편 저소득 재가노인 식사배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MOHW 2010). 또한 노인장기요양보험 도입에 따라 부분적이나마 일부 재가노인에서 식사제공 및 취사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밖에도 종교단체를 비롯한 비정부 민간단체가 제공하는 무료 급식지원이 있다(MOHW 2010). 그러나 이들 급식지원 프로그램이 단순한 식사 제공의 의미를 넘어 체계적 영양관리가 될 수 있도록 관리되고 있지는 못한 실정이며, 건강문제나 복지와 관련된 연계서비스 제공까지는 고려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hn Y, Kim KA, Kang H, Kim H. 2006.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materials for healthy aging. Korean J Community Nutr 14:340-352 

  2. Choi Y, Kim C, Park YS. 2007.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in physical health,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Seoul. Korean J Nutr 40:270-280 

  3. Chu SK, Kang NE, Yi SH. 2007. The effect of nutrition evaluation related to suitable food supply program for elders living alone in Sung Nam city. Korean J Food & Nutr 20:467-475 

  4. Dutram K, Cook RA, Bagnulo J, Lincoln WL. 2002. Trends in nutritional risks and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among low-income elderly in Maine. J Nutr Elder 21:3-19 

  5. Ha L, Hauge T, Spenning AB, Inversen PO. 2010. Individual, nutritional support prevents undernutrition, increases muscle strength and improves QoL among elderly at nutritional risk hospitalized for acute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Nutr 29:567-573 

  6. Hendrix SJ, Fischer JG, Reddy S, Lommel TS, Speer EM, Stephen H, Park S, Johnson MA. 2008. Fruit and vegetable intake and knowledge increased following a community-based intervention in older adults in Georgia senior centers. J Nutr Elder 27:155-178 

  7. Jeong M, Kim HK. 1998. A study on the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condition of elderly in Ulsan area. Korean J Diet Cult 13:159-168 

  8. Johnson GS, McGee BB, Gossett JM, Thrnton A, Simpson PM, Johnson C, Richardson V, Bogle M. 2008. Documenting the need for nutrition and health intervention for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n the lower Mississippi Delta region. J Nutr Elder 27:83-99 

  9. Kang NE, Lee YJ. 2005. The analysis of effect on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in Sung-nam area. Korean J Food & Nutr 18:357-366 

  10. Kang Y, Kim M, Lee E. 2008.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health statu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nutritional status in the community-dwelling Korean elderly. J Korean Acad Nurs 38:122-130 

  11. Kim BH, Jung E. 2008. The changes of types of nutritional risk and nutritional intake according to depression and self-esteem among the elderly in Chunnam province.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 46:97-107 

  12. Kim Hy, Kim MH, Hong SG, Hwang SJ, Park MH. 2005. A study on the nutrient intake, health risk factors, blood health status in elderly Korean women living alone. Korean J Community Nutr 10:216-223 

  13. Kim IS, YU HH, Seo ES, Seo EA, Lee HJ. 2002. A study on the dietary quality assessment among the elderly in Jeonju area. Korean J Nutr 35:352-367 

  14. Kim K, Kwon J. 2004.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living in Songnam II - Dietary habits and nutrients intakes. Korean J Food & Nutr 17:420-428 

  15.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HIDI),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KHEALTH). 2009.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 elderly -Elderly meal service guide. pp.151-169 

  16. Korean Nutrition Society (KNS). 200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17. Millen BE, Ohls JC, Ponza M, Mccool AC. 2002. The elderly nutrition program: An effective national framework for preventive nutrition interventions. J Am Diet Assoc 102:234-240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2009. 2009 National Health Statistic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4th quarter 3rd year. pp.260-263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2010. Social Welfare Service for the Aged. pp.756-760 

  20. Moon HK, Kong JE. 2009. Reliability of nutritional screening using DETERMINE checklist for elderly in Korean rural areas by season. Korean J Community Nutr 14:340-352 

  21. Park HJ, Lim BK, Kim WY. 2007a. Effect of food commodity supplementary program for low income elderly people. Korean J Food Cult 22:149-156 

  22. Park MY, Kim GR, Lee DJ, Kim JM, Park PS. 2006. A study of food and nutrient intakes of the aged people in rural area, Gyeongbuk Yecheon. Korean J Nutr 39:58-73 

  23. Park PS, Chun BY, Jeong GB, Huh CH, Joo SJ, Park MY. 2007b. The effect of follow-up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ms applied to the aged group of high risk undernutrition in rural area (I). Korean J Food Cult 22:127-139 

  24. Park YH, Suh E. 2007. The risk of malnutrition, depression, and the perceived health status of older adults. J Korean Acad Nurs 37:941-948 

  25. Posner BM, Jette AM, Smith KW, Miller DR. 1993. Nutrition and health risks in the elderly: the nutrition screening initiative. Am J Public Health 83:972-978 

  26. Ro HK, Oh KA. 2003. Gender and age difference in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low income elderly living in Gwangju. Korean J Community Nutr 8:302-310 

  27. Rufenacht U, Ruhlin M, Wegmann M, Imoberdorf R, Ballmer PE. 2010. Nutritional counseling improves quality of life and nutrient intake in hospitalized undernourished patients. Nutrition 26:53-60 

  28. Sahyoun NR. 2002. Nutrition education for the healthy elderly population: Isn't it time? J Nutr Educ Behav 34:S42-S47 

  29. Son Sm, Park JK. 2005. The change of dish consumption frequencies, dietary attitudes and health-nutrition risk for single living female elderly on food-aid program. J Korean Diet Assoc 11:286-298 

  30. Statistics Korea (KOSTAT). 2009. Social Survey 

  31. Statistics Korea (KOSTAT). 2012. Estimated Future Population 

  32. Wikby K, Ek AC, Christensson L. 2009. Implementation of a nutritional programme in elderly people admitted to resident homes. Scand J Caring Sci 23:421-430 

  33. Yim KS, Min YH, Lee TY. 1997. Evaluation of the elderly nutrition improvement program in the community health center. J Korean Diet Assoc 3:197-2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