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포배양 모델을 통한 함초(Salicornia herbacea L.) 물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탐색
Antiadipogenic Effect of Korean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Water Extract on 3T3-L1 Adipocyt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6, 2014년, pp.814 - 821  

김미정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전현영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김정희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염생식물의 하나인 한국산 함초(Salicornia herbacea L.) 물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고자 지방세포를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3T3-L1 adipocytes 세포의 지방분화 억제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함초 물 추출물을 농도별(125, 250, $500{\mu}g/mL$), 처리시기별(전처리, 후처리)로 처리한 결과, 함초 물 추출물을 후처리 하였을 때 지방세포의 크기와 지방축적 정도가 감소하였다. 또한 함초물 추출물 후 처리 시 $125{\mu}g/mL$ 농도에서 세포로부터의 TNF-${\alpha}$의 생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세포로부터 분비된 glycerol 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함초물 추출물이 지방분화 유도 후 지방이 축적되는 과정에서 지방분해보다는 지방합성 과정에 관련하여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함초 물 추출물 후처리 시 지방축적 감소로 인해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인슐린 저항성과 관련된 leptinresistin 생성은 감소하였고, 인슐린 민감성을 증가시키고 지방세포로의 에너지원 유입을 증가시키는 PPAR-${\gamma}$ 및 이로부터 발현이 유도되어 심혈관계 질환 예방에 관련된 adiponectin 생성을 증가시켜 인슐린 민감성과 관련된 당뇨병 및 심혈관계 질환 예방 효과를 가질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확한 관련 기전에 대한 더 많은 연구와 함초 물 추출물의 기능성 성분을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 natural plant ingredients,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contains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mainly anti-oxidative and anti-diabetic activities. However, only a few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on its anti-adipogenic effe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besity effects of Sal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비만과 관련하여 가장 많이 이용되는 세포는 3T3-L1 adipocyte로 preadipocyte가 성숙되기 위해서는 지방세포 수의 증식과정과 지방축적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함초(Salicornia herbacea L.)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고자 3T3-L1 adipocytes를 이용하였으며, 지방세포 증식단계와 지방축적단계 중 어느 단계에서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한국산 함초 물 추출물의 처리시점을 지방분화 유도 처리 전과 후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함초 물 추출물 처리농도를 알아보고 지방세포 크기 및 지방축적 정도를 조사하였으며, 지방분화와 관련이 있는 다양한 adipokines의 생성량을 측정함으로써 함초의 항비만 효과 관련 기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고자 3T3-L1 adipocytes를 이용하였으며, 지방세포 증식단계와 지방축적단계 중 어느 단계에서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한국산 함초 물 추출물의 처리시점을 지방분화 유도 처리 전과 후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함초 물 추출물 처리농도를 알아보고 지방세포 크기 및 지방축적 정도를 조사하였으며, 지방분화와 관련이 있는 다양한 adipokines의 생성량을 측정함으로써 함초의 항비만 효과 관련 기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염생식물의 하나인 한국산 함초(Salicornia herbacea L.) 물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고자 지방세포를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3T3-L1 adipocytes 세포의 지방분화 억제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함초 물 추출물을 농도별(125, 250, 500 μg/mL), 처리시기별(전처리, 후처리)로 처리한 결과, 함초 물 추출물을 후처리 하였을 때 지방세포의 크기와 지방축적 정도가 감소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항비만 효능 연구에 많이 이용되는 3T3- L1 adipocytes 세포를 이용하여 함초 물 추출물의 지방분화 억제 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앞서 우선 함초 물 추출물의 처리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MTT colorimetric assay 방법을 이용하여 지방세포의 사멸 정도를 살펴보았다(22).
  • 25, 0 μg/mL 농도로 첨가하였으며, 총 물질 처리시간은 24시간, 48시간, 96시간으로 물질 처리시간별 세포독성을 알아보았다. 처리시간을 다르게 한 이유는 지방분화 유도과정 중 어느 단계에서 함초 물 추출물이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물질을 지방분화 유도 처리 전과 후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는데, 이때 세포가 물질에 노출되는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최대 노출시간인 96시간까지의 세포 독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물질 처리 완료 후 MTT 용액(5 mg/mL in PBS)을 well당 20 μL씩 넣고, 37°C의 5% CO2 incubator(MODEL 5410, Napco Precision Scientific Inc.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함초가 주로 서식하는 곳은? 함초(Salicornia herbacea L.)는 우리나라 서해안이나 남해안, 제주도, 울릉도, 백령도 같은 섬지방의 바닷물이 닿는 해안이나 갯벌, 염전 주위에 무리지어 자란다. 우리말로는 퉁퉁하고 마디마다 튀어나온 풀이라고 하여 ‘퉁퉁마디’라고 부르고 있으며, 맛이 몹시 짜다고 하여 함초 또는 염초라고도 불린다.
천연물을 이용한 항비만 기능성 소재로 밝혀진 것은? 천연물을 이용한 항비만 기능성 소재들로는 키토산, 이눌린, hydroxycitric acid(HCA), 식이섬유, catechin, cap-saicin 등이 있으며(5-8), 대부분 지방의 소화흡수를 억제하거나 식욕을 억제하여 섭취되는 열량을 감소시키는 것에 기인하고 있다. 이 밖에도 소화효소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탄수화물과 지방의 소화 및 흡수를 감소시키는 물질들도 항비만 소재로 이용되고 있다(9).
함초의 풍부한 식이섬유소로 인한 효과는 무엇인가? 함초는 내염성이 강하여 NaCl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나 함초 100 g당 칼륨 2,083 mg, 마그네슘 110 mg, 칼슘 20 mg 등 다른 식품에 비해 천연 미네랄도 다량 함유하고 있다(10). 또한 식이섬유소 함량이 높아 콜레스테롤 및 당의 흡수를 억제시키고, 장내에서 식염과 결합하여 불필요한 장내 세균 및 발암물질을 신속하게 배설시키며 숙변을 제거해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1). 그 밖에 필수아미노산과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며 예로부터 숙변을 없애고 변비, 소화불량, 위장병, 간염 및 신장병의 약재로도 이용되고 있다는 보고가 있다(12,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Report of 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 2009. http://www.mw.go.kr/front_new/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1604&CONT_SEQ264574&page1 (accessed April2011). 

  2. Albu J, Allison D, Boozer CN, Heymsfield S, Kissileff H, Kretser A, Krumhar K, Leibel R, Nonas C, Pi-Sunyer X, VanItallie T, Wedral E. 1997. Obesity solutions: report of a meeting. Nutr Res 55: 150-156. 

  3. Grundy SM. 1998. Multifactorial causation of obesity: implications for prevention. Am J Clin Nutr 67: 563S-572S. 

  4. Aronne LJ. 1998. Modern medical management of obesity:the role of pharmaceutical intervention. J Am Diet Assoc 98: S23-S26. 

  5. Zacour AC, Silva ME, Cecon PR, Bambirra EA, Vieira EC. 1992. Effect of dietary chitin on cholesterol absorption and metabolism in rats. J Nutr Sci Vitaminol (Tokyo) 38: 609-613. 

  6. Delzenne NM, Cani PD, Daubioul C, Neyrinck AM. 2005. Impact of inulin and oligofructose on gastrointestinal peptides. Br J Nutr 93: S157-S161. 

  7. Oh SJ, Kim YS, Park CY, Kim SW, Yang IM, Kim JW, Choi YK, Paeng JR, Shin HD. 2000. Body fat decreasing mechanisms of red ginseng compound. Korean J Obesity 9: 209-218. 

  8. Rhee SJ, Kim KR, Kim HT, Hong JH. 2007. Effects of catechin on lipid composition and adipose tissue in obese rats fed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540-547. 

  9. Jeon JR, Kim JY, Lee KM, Cho DH. 2005. Anti-obese effects of mixture contained pine needle, black tea and green tea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375-381. 

  10. Kim CS, Song TG. 1983. Ecological studies on the halophyte communities at western and southern coasts in Korea (IV)-The halophyte communities at the different salt marsh habitats. Korean J Ecol 6: 167-176. 

  11. Kim KR, Choi JH, Lee SK, Woo MH, Choi SW. 2006. Effect of enzymatic hydrolysate of Hamcho (Salicornia herbacea L.) on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356-1362. 

  12. Do JR, Kim EM, Koo JG, Jo KS. 1997. Dietary fiber contents of marine algae and extraction condition of the fiber. J Korean Fish Soc 30: 291-296. 

  13. Jo YC, Ahn JH, Chon SM, Lee KS, Bae TJ, Kang DS. 2002. Studies on pharmacological effects of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0: 93-99. 

  14. Song HS, Kim DP, Jung YH, Lee MK. 2007. Antioxidant activities of red Hamcho (Salicornia herbacea L.) against lipid peroxidation and the formation of radicals. Korean J Food & Nutr 20: 150-157. 

  15. Jung BM, Park JA, Bae SJ. 2008. Growth inhibitory and quinone reductase induction activities of Salicornia herbacea L. fractions on human cancer cell lines in vitr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48-153. 

  16. Kong CS, Kim YA, Kim MM, Park JS, Kim JA, Kim SK, Lee BJ, Nam TJ, Seo Y. 2008. Flavonoid glycosides isolated from Salicornia herbacea inhibit matrix metalloproteinase in HT1080 cells. Toxicol In Vitro 22: 1742-1748. 

  17. Bang MA, Kim HA, Cho YJ. 2002. Hypoglycemic and antioxidant effect of dietary Hamcho powder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840-846. 

  18. Kim SH, Ryu DS, Lee MY, Kim KH, Kim YH, Lee DS. 2008. Anti-diabetic activity of polysaccharide from Salicornia herbacea. Kor J Microbiol Biotechnol 36: 43-48. 

  19. Vahouny GV, Roy T, Gallo LL, Story JA, Kritchevsky D, Cassidy M. 1980. Dietary fibers. III. Effects of chronic intake on cholesterol absorption and metabolism in the rat. Am J Clin Nutr 33: 2182-2191. 

  20. Kuda T, Fujii T, Saheki K, Hasegawa A, Okuzumi M. 1992. Effects of brown algae on faecal flora of rats. Nippon Suisan Gakkaishi 58: 307-314. 

  21. Kim AR, Lee JJ, Lee YM, Jung HO, Lee MY. 2010. Cholesterol- lowering and anti-obesity effects of Polymnia sonchifolia Poepp. & Endl. powder in rats fed a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210-218. 

  22. Carmichael J, DeGraff WG, Gazdar AF, Minna JD, Mitchell JB. 1987. Evaluation of a tetrazolium-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 936-942. 

  23. Smas CM, Sul HS. 1995. Control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Biochem J 309: 697-710. 

  24. Gregoire FM. 2001. Adipocyte differentiation: from fibroblast to endocrine cell. Exp Biol Med (Maywood) 11: 997-1002. 

  25. McNeel RL, Mersmann HJ. 2003. Effects of isomer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on porcine adipocyte growth and differentiation. J Nutr Biochem 14: 266-274. 

  26. Caro JF, Sinha MK, Kolaczynski JW, Zhang PL, Considine RV. 1996. Leptin: the tale of an obesity gene. Diabetes 45:1455-1462. 

  27. Yang S, Koteish A, Lin H, Huang J, Roskams T, Dawson V, Diehl AM. 2004. Oval cells compensate for damage and replicative senescence of mature hepatocytes in mice with fatty liver disease. Hepatology 39: 403-411. 

  28. Norman D, Isidori AM, Frajese V, Caprio M, Chew SL, Grossman AB, Clark AJ, Michael Besser G, Fabbri A. 2003. ACTH and ${\alpha}$ -MSH inhibit leptin expression and secretion in 3T3-L1 adipocytes: model for a central-peripheral melanocortin-leptin pathway. Mol Cell Endocrinol 28: 99-109. 

  29. Kwon JY, Ann IS, Park KY, Cheigh HS, Song YO. 2005. The beneficial effects of pectin on obesity in vitro and in viv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3-20. 

  30. Matsuzawa Y, Funahashi T, Kihara S, Shimomura I. 2004. Adiponectin and metabolic syndrome.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4: 29-33. 

  31. Pineiro R, Iglesias MJ, Gallego R, Raghay K, Eiras S, Rubio J, Dieguez C, Gualillo O, Gonzalez-Juanatey JR, Lago F. 2005. Adiponectin is synthesized and secreted by human and murine cardiomyocytes. FEBS Lett 579: 5163-5169. 

  32. Ashima RS, Flier JS. 2000. Adipose tissue as an endocrine organ. Trends Endocrinol Metab 11: 327-332. 

  33. Hotamisligil GS, Shargill NS, Spiegelman BM. 1993. Adipose expression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direct role in obesity-linked insulin resistance. Science 259: 87-91. 

  34. del Aguila LF, Claffey KP, Kirwan JP. 1999. TNF-alpha impairs insulin signaling and insulin stimulation of glucose uptake in C2C12 muscle cells. Am J Physiol 276: E849-E855. 

  35. Engelman JA, Berg AH, Lewis RY, Lisanti MP, Scherer PE. 2000. Tumor necrosis factor alpha-mediated insulin resistance, but not dedifferentiation, is abrogated by MEK1/2 inhibitors in 3T3-L1 adipocytes. Mol Endocrinol 14: 1557-1569. 

  36. Levy JR, Davenport B, Clore JN, Stevens W. 2002. Lipid metabolism and resistin gene expression in insulin-resistant Fischer 344 rats.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82:E626-E633. 

  37. Zhang J, Qin Y, Zheng X, Qiu J, Gong L, Mao H, Jia W, Guo J. 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serum resistin level and body fat content, plasma glucose as well as blood pressure. Zhonghua Yi Xue Za Zhi 82: 1609-1612. 

  38. Kim KH, Lee K, Moon YS, Sul HS. 2001. A cysteine-rich adipose tissue-specific secretory factor inhibits adipocyte differentiation. J Biol Chem 276: 11252-11256. 

  39. Shojima N, Sakoda H, Ogihara T, Fujishiro M, Katagiri H, Anai M, Onishi Y, Ono H, Inukai K, Abe M, Fukushima Y, Kikuchi M, Oka Y, Asano T. 2002. Humoral regulation of resistin expression in 3T3-L1 and mouse adipose cells. Diabetes 51: 1737-1744. 

  40. Pakala R, Kuchulakanti P, Rha SW, Cheneau E, Baffour R, Waksman R. 2004.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its role in metabolic syndrome. Cardiovasc Radiat Med 5(2): 97-103. 

  41. Sharma AK, Bharti S, Ojha S, Bhatia J, Kumar N, Ray R, Kumari S, Arya DS. 2011. Up-regulation of PPAR- ${\gamma}$ , heat shock protein-27 and -72 by naringin attenuates insulin resistance, ${\beta}$ -cell dysfunction, hepatic steatosis and kidney damage in a rat model of type 2 diabetes. Br J Nutr 106:1713-1723. 

  42. Maeda N, Takahashi M, Funahashi T, Kihara S, Nishizawa H, Kishida K, Nagaretani H, Matsuda M, Komuro R, Ouchi N, Kuriyama H, Hotta K, Nakamura T, Shimomura I, Matsuzawa Y. 2001. PPAR- ${\gamma}$ ligands increase expression and plasma concentrations of adiponectin, an adipose- derived protein. Diabetes 50: 2094-2099. 

  43. Harmon AW, Harp JB. 2001. Differential effects of flavonoids on 3T3-L1 adipogenesis and lipolysis. Am J Physiol Cell Physiol 280: C807-C813. 

  44. Kang S, Kim D, Lee BH, Kim MR, Chiang M, Hong J. 2011. Antioxidant properties and cytotoxic effects of fractions from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seed extracts on human intestinal cells. Food Sci Biotechnol 20: 115-1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