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풍건조 및 데침 처리에 따른 배암차즈기(Salvia plebeia R. Br.)의 항산화 및 이화학적 특성 변화
Antioxidant and Physicochemical Changes in Salvia plebeia R. Br. after Hot-air Drying and Blanching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6, 2014년, pp.893 - 900  

정지숙 (구례야생화연구소) ,  김용주 (구례야생화연구소) ,  최보름 (구례야생화연구소) ,  고근배 (구례군농업기술센터 자원연구개발과) ,  손병길 (구례군농업기술센터 자원연구개발과) ,  강석원 (구례군농업기술센터 자원연구개발과) ,  문승만 (구례군농업기술센터 자원연구개발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배암차즈기 나물을 열풍건조 및 데침 처리에 따른 이화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열풍건조한 배암차즈기의 총 폴리페놀 함량 94.64 mg/g이었으며, 데친 후에는 48.40 mg/g으로 감소하였다. 열풍건조한 배암차즈기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9.70 mg/g이며, 데친 후에는 22.10 mg/g으로 감소하였다. 농도 비례적으로 DPPH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25{\mu}g/mL$ 농도에서 ascorbic acid, 열풍건조 및 데친 후 열풍건조한 배암차즈기가 각각 94.5%, 84.3% 및 59.7%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총당 함량은 각각 7,187 mg/100 g과 6,104 mg/100 g으로 데친 후에 감소하였다. 데치는 과정 중 sucrose와 maltose는 감소하고 glucose와 fructose는 증가하였다. 주요 유기산은 succinic acid이었으며, 데친 후에는 succinic acid가 감소한 반면에 citric acid는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Glucose와 fructose는 citric acid의 생성에 영향을 주며, sucrose와 maltose는 tartaric acid, malic acid 및 succinic acid의 생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4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으며, methionine, lysine, glycine, histidine, cystine은 검출되지 않았다. 배암차즈기는 총 아미노산의 함량은 다른 종류의 나물에 비해 적은 편이었으나, 총 아미노산에 대한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은 열풍건조한 배암차즈기가 61.76%로 필수아미노산의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열풍건조 배암차즈기는 비아미노산인 norvaline과 GABA가 각각 1.40 mg/100 g과 39.00 mg/100 g으로 상당량 검출되었다. 따라서 항산화 효과 및 영양학적으로도 우수한 배암차즈기는 나물뿐만 아니라 다양한 건강기능성 식품소재로의 활용가치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hysicochemical changes in Salvia plebeia R. Br. (SPA) upon hot-air drying and blanching. After hot-air drying and blanching,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reduced from 96.64 mg and 48.40 mg gallic acid equivalent/g to 29.70 mg and 22.10 mg qu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식용야생화자원 개발 및 나물활용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나물 이용 시 보편적인 방법인 열풍건조 및 데침 처리에 따른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등의 항산화 효과와 유기산, 유리당 및 유리아미노산 등의 이화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배암차즈기 나물을 열풍건조 및 데침 처리에 따른 이화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열풍건조한 배암차즈기의 총 폴리페놀 함량 94.

가설 설정

  • 1)ND: not detected.2)NS: not significa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배암차즈기는 무엇인가? Br.)는 꿀풀과(Labiatae)의 두해살이풀로 잎의 모양이 곰보 같다고 하여 곰보배추, 뱀비늘처럼 생겼다고 뱀배추 등으로 불린다(1). 또한 설견초, 나인초, 수양이(水羊耳), 과송청(過冬靑)이라고도 하며 한방에서는 향기로운 가지가 달린 풀이라 하여 여지초(荔枝草)라고도 한다(1).
배암차즈기의 주요 성분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한의학적으로 성미가 고신, 량(凉)하며, 청혈해옥, 양혈산어, 이수소종 등의 효능이 있어 감모발열, 인후종통, 폐열해수, 토혈, 요혈, 치창출혈, 신염누종, 백탁, 치질, 옹종 창독, 습진소양, 질타손상 등을 치료한다고 하였다(3,4). 주요 성분으로는 flavonoid와 phenol성 물질, saponin, 강심 배당체, 불포화 sterol, 정유 등이 있으며 종자에는 지방유를 함유하고 있다. Cho 등(5)은 배암차즈기 경엽을 메탄올로 추출하여 추출액의 에칠아세테이트 분획을 1H NMR, 13C NMR 등으로 구조를 분석한 결과 rosmarinic acid, luteolin 7-O-β-glucopyranoside, hispidulin 7-O-glucopyranoside 등을 동정하였으며, 이 중 rosmarinic acid의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나물은 주로 어떻게 이용되는가? 나물은 일상식으로 쉽게 접할 수 있는 식재료이나 데쳐서 양념에 버무리는 형태로 주로 이용될 뿐 가공 활용도가 낮은 편이다. 참나물(9), 활나물(10), 땅콩나물(11), 우산나물 (12), 동부나물(13) 등의 다양한 종류의 나물에 대한 기능성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배암차즈기는 항산화 및 세포독성 등의 효능에 대한 연구가 일부 보고되었을 뿐이며, 영양학적 성분조사는 Park 등(14)의 연구 외에는 전무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Salvia plebeia R. Br.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33589#.U6OCWZCweUk&plantPilbkNo33589&mnKFS_28_01_02_01. 

  2. Lim JA, Yun BW, Baek SH. 2007. Antioxidativ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methanol extract from Salvia plebeia R. Br.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5: 183-188. 

  3. State Administratio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2. Chinese medicinal stuff. Shanghai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er, Shanghai, China. p 1672-1675. 

  4. Lee HJ, Han DS. 2002. Appliances and antitoxic effects of the extracts of Salvia plebeia R. Br. J Wonkwang Dental Research Institute 11: 199-216. 

  5. Cho KJ, Bae SC, Kim JB, Kim SS, Kang SA, Kim MB. 2007. Development of functional medicinal food materials and separation of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s from native plants.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GOVP1200723280), Sejong, Korea. p 3-146. 

  6. Shin MK, Kim SK, Lee SK, Yang EY, Lee HO, Baek SH. 2001. Cytotoxicity and antimicrobial effect of the extract of Salvia plebeia. Kor J Pharmacogn 32: 55-60. 

  7. Jeong HR, Sung MS, Kim YH, Ham HM, Choi YM, Lee JS. 2012.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alvia plebeia R. Br. leaf through heme oxygenase-1 induction in LPS-stimulated RAW264.7 macrophag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888-894. 

  8. Jo SY, Lee UY, Kim EY, Lee SJ, Her JW, Yoon TJ. 2010. A study on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effect of Salvia plebeia R. extracts. Kor J Pharmacogn 41: 31-37. 

  9. Ahn SM, Kim MS, Jung IC, Sohn HY. 2011. Antibacterial, antioxidative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against human colorectal cell of Pimpinella brachycarpa. Korean J Food Preserv 18: 590-596. 

  10. Woo NRY, Kim TS, Park HW, Park CG, Seong HJ, Ko SB, Jung JW, Kang MH. 2005. Comparison of antioxidtive activities of Crotalaria sessiflora L. extracts from leaves, seed, stem and roo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297-1301. 

  11. Jo NR, Park CI, Park CW, Shin DH, Hwang YC, Kim YH, Park SN. 2012.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f peanut sprout root extracts. Appl Chem Eng 23: 183-189. 

  12. Lee YS, Ahn DS, Joo EY, Kim NW. 2009.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yneilesis palmat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471-1477. 

  13. Chon SU. 2013. Difference in growth, phenolics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owpea sprouts at different plant parts. Korean J Crop Sci 58: 232-238. 

  14. Park SI, Kim TS, Park CG, Kang MH. 2012. Nutritional and sensory of green leafy vegetables cultivated from medicinal plant seed.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 271-277. 

  15. Park SH. 2013. Effects of ellagic acid and sage weed extract on cholesterol efflux. MS Thesis. Hallym University, Gangwon, Korea. 

  16. Cho JY, Lee HH, Moon JH, Park KH. 2011. Physio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nonfermented flower and fermented flower teas using Camellia japonica flower. J Korea Tea Soc 17: 48-55. 

  17. Moreno MI,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18.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 Gancedo MC, Luh BS. 1986. HPLC analysis of organic acid and sugars in tomato juice. J Food Sci 51: 571-573. 

  20. Kim DH, Lim DW, Bai S, Chun SB. 1997.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whole soybean meju model system inoculated with 4 Bacillus strai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1006-1015. 

  21. Mun MI, Xu M, Park YD, Hur YK. 2009. Organic nutrition and gene expression in different tissues of Chinese cabbage. Hort Environ Biotechnol 50: 166-174. 

  22. http://ko.wikipedia.org/wiki/%ED%8F%B4%EB%A6%AC%ED%8E%98%EB%86%80. 

  23. Ra KS, Suh HJ, Chung SH, Son JY. 1997.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extract from onion ski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95-600. 

  24. Lee YM, Bae JH, Jung HY, Kim JH, Park DS. 2011. Antioxidant activity in water and methanol extracts from Korean edible wild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29-36. 

  25. Chae HS, Lee SH, Jeong HS, Kim WJ. 2013. Antioxidant activ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impinella brachycarpa Nakai with treatments methods. Korean J Food & Nutr 26: 125-131. 

  26. Yoon S, Kwak HK, Kim YK, Kim HK, Park MS, Yeum KJ, Oh HS, Lee MJ, Lee JH, Ji GE. 2006. Functional foods. Life Science Publishing Co., Seoul, Korea. p 222-231. 

  27. Carmela L, Davide F. 2011. Silybin and the liver: from basic research to clinical practice. World J Gastroenterol 17:2288-2301. 

  28. Jeong JS, Kim YJ, Choi BR, Park NJ, Son BG, Kwak YS, Kim JC, Cho KH, Kim IH, Kim SH. 2013. Physicochemical changes in Hemerocallis coreana Nakai after blanching, drying, and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1638-1648. 

  29. Son HK, Kang ST, Jung HO, Lee JJ. 2013.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after blanching. Korean J Food Preserv 20: 628-635. 

  30. Lim SD, Kim KS. 2009. Effects and utilization of GABA. Korean J Dairy Sci Technol 27: 45-51. 

  31. Dhakal R, Bajpai VK, Baek KH. 2012. Production of GABA ( ${\gamma}$ -aminobutyric acid) by microorganisms: a review. Braz J Microbiol 43: 1230-1241. 

  32. Kang TJ, Oh SH. 2007. GABA production and use. BioWave 9: 1-18. 

  33. Lee HH, Kim GH. 2013. Changes in the levels of ${\gamma}$ -aminobutyric acid and free amino acids during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Cookery Sci 29: 671-677. 

  34. Kim MJ, Kim KS. 2012.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gamma}$ - aminobutyric acid (GABA)-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5: 777-785. 

  35. Cha YS, Oh SH. 2000. Investigation of ${\gamma}$ -aminobutyric acid in Chinese cabbages and effects of the cabbage diets on lipid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of rats administered with ethano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500-505. 

  36. Maw GA. 1981. The chemistry of the sulfonium group. John Wiley & Sons, Ltd., Hoboken, NJ, USA. p 704-770. 

  37. Gessler NN, Kharchenko LI, Pavlovskaya TE, Bykhovskii VY. 1996. Radioprotective effects of S-methylmethionine (vitamin U). Appl Biochem Microbiol Prikl Biokhim Mikrobiol 32: 599-601. 

  38. Green RC, Davis NB. 1960. Biosynthesis of S-methylmethionine in the jack bean. Biochim Biophys Acta 43:360-362. 

  39. Hong EY, Kim GH. 2005. Changes in vitamin U and amino acid levels of Korean Chinese cabbages during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12: 411-416. 

  40. Lee NY, Park KY, Min HJ, Song KY, Lim YY, Park JH, Kim BJ, Kim MN. 2012. Inhibitory effect of vitamin U (S-methylmethionine sulfonium chloride) on differentiation in 3T3-L1 pre-adipocyte cell lines. Ann Dermatol 24: 39-4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