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춘천지역 대학생의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Problematic Drinking by University Students in Chuncheon A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6, 2014년, pp.934 - 942  

김윤선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  김복란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춘천지역 대학생 429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및 사회심리적 요인이 대학생의 문제음주정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평생음주율은 98.1%이었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문제음주정도에서 전체 학년 모두 '위험음주'가 가장 많았다(P<0.001). AUDIT의 기준점을 8점으로 문제음주를 분류하였을 때 1학년(P<0.001)과 동아리 활동을 하고 있는 학생들(P<0.01)에서 문제음주자가 더 많았으며, 인지된 건강상태는 본인이 건강하다고 인지할수록 문제음주정도가 낮았다(P<0.001). 또한 어머니의 음주정도(P<0.05)가 많을수록, 음주시작연령이 빠를수록(P<0.001) 문제음주정도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심리적 특성에 따른 문제음주정도에서 음주결과에 대한 긍정적 기대(P<0.001)와 음주대처동기(P<0.001)는 문제음주정도가 커질수록 높고, 음주문화에 대한 인식도(P<0.001)는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변인들 간의 상호관련성을 알아본 결과 본인의 인지된 건강상태가 낮고, 음주시작연령이 빠를수록, 음주결과에 대한 긍정적 기대와 음주대처동기가 높을수록, 음주문화에 대한 인식도가 바람직하지 않을수록 AUDIT에 의한 문제음주정도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음주결과에 대한 긍정적 기대가 높을수록 음주대처동기가 높고, 음주문화에 대한 인식도가 바람직하지 않으며, 자기효능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주대처동기가 높을수록 음주문화에 대한 인식도가 바람직하지 않고, 자기효능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동아리 활동여부, 인지된 건강상태, 대학생활 만족도, 음주시작연령, 음주결과에 대한 긍정적 기대, 음주대처동기, 음주문화인식도, 자기효능감의 변인들이 대학생의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독립변인들이 대학생의 문제음주정도를 27.0% 설명해 주고 있으며, 음주대처동기(${\beta}=0.283$, P<0.001)가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문제음주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하기 위한 예방적 차원의 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대학생들이 건전한 음주문화를 조성할 수 있도록 대학 내 음주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접근이 요구된다. 대학생들의 높은 음주율과 특히 1학년과 동아리 활동을 하고 있는 학생들에서 문제음주자가 높게 나타난 만큼 대학 당국에서는 신입생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절주 캠페인 및 교육을 실시하고 절주 동아리가 구성 운영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대학 내 음주관련 환경적 통제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음주대처동기가 과음 및 음주관련 문제행동을 증가시키고 알코올 의존으로 발전하게 하는 핵심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음주관련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부정적 정서 또는 사건을 경험했을 때 대처수단으로 음주를 선택하는 자신의 음주습관을 통찰해 보고, 음주가 아닌 다른 대처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실천적 방법들이 개발 교육되어 문제성 음주를 변화시킬 수 있는 개입이 필요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problematic drinking by university students in the Chuncheon area. Lifelong drinking rate of subjects was 98.1%. Problematic drinking rates according to AUDIT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were as follows: 21.3% 'no probl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개인·가족적 및 사회심리적 요인이 대학생의 문제음주정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대학생의 음주습관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의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학생의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족력, 동아리, 거주상태, 스트레스, 음주시작연령, 음주문화에 대한 인식, 음주결과기대, 음주대처동기 및 자기효능감 등 다양하다(2,5,8-10). 즉 부모의 문제성 음주에서 기인하기도 하며 생활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8,10), 음주시작연령이 빠를수록 대학에서 음주관련문제를 경험하거나 이후의 생애에 알코올중독의 발생률이 높아진다고 하였다(9).
대학생들의 음주문화에 관한 연구 내용은? 대학생들의 음주문화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대학생의 90% 이상이 한 달에 한 번 이상의 음주를 하고 있었으며(2,3), 고위험음주율(1회 평균 음주량이 남자 7잔, 여자 5잔 이상 음주하는 분율)도 37.4% 이상으로 나타나 대학생의 음주문제가 심각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2-5). 이러한 일상적이고 지속적인 대학생의 음주문화는 개인의 잘못된 음주습관으로 이어져 개인적으로는 학업 능률의 저하 및 건강에 지장을 초래하고, 사회적으로는 폭음, 음주 관련 사건·사고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6-8).
사회심리적 요인인 음주 결과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 음주 대처 동기, 자기효능감에 대해서 설명하면? 음주결과에 대한 긍정적 기대(positive alcohol outcome expectancies)는 개인의 음주를 결정하는 핵심요인으로, 미래의 특정 시점에서의 음주행위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주어 음주로 인한 경험을 긍정적인 강화로 인식한 개인은 지속적으로 음주를 하면서 알코올을 남용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12,13). 음주대처동기(coping motives for drinking) 는 개인적인 문제나 부정적 감정을 감소하기 위한 음주를 의미하며, 개인이 실제로 음주를 하게 된 이유가 파악되면서 음주행위의 원인을 설명할 수 있다(14,15). 또한 음주량과 음주결과 후 나타나는 음주관련행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16).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은 음주와 관련하여 주어진 상황에서 심하게 술을 마시지 않을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자신감 또는 상황 전반에 걸쳐 절제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말한다(17). 따라서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일수록 절제된 음주행동을 할 것이다. 한편 음주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상습 폭음자가 될 가능성이 2.12배나 높게 나타나기도 하였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Kim SY. 2004. Analysis on factors that affect drinking effect expectation and binge drinking of university students. M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 Oh HS. 2011. Alcohol consumption rates and the perception of drinking cultures among college students in the Wonju area. Korean J Food Culture 26: 101-112. 

  3. Rhim KH, Lee JH, Choi MK, Kim CJ. 2004.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drinking and smoking habit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es 30: 57-70. 

  4. Chung SK. 2006. The influence of Korean drinking culture and perceived attitude toward alcohol on risky drinking behavior among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Alcohol Science 7: 1-16. 

  5. Nam CY. 2008. The relations of stress, drinking trait, and problem behavior after drinking among the college students in Jeju. Journal of Welfare for the Correction 12: 27-47. 

  6. Kim SD. 2010. A survey on the drinking culture of some university students in Kyeongbuk province.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36: 17-30. 

  7. Kim JI, Kim JS, Kim KH, Kim JS. 2007. Influences of level of alcohol consumption and motives for drinking on drinking permissiveness in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Acad Fundam Nurs 14: 382-390. 

  8. Chun SS. 2002. Analysis of college student binge drinking and alcohol-related problems. J Korean Alcohol Science 3:221-233. 

  9. Jang SO. 2010. Does early alcohol initiation increase the risk of alcohol use disorder?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Kyungsung University 26: 199-218. 

  10. Park JS. 2000.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problem drinking of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Public Health Assoc 26:393-413. 

  11. Cooper ML, Russell M, George WH. 1988. Coping, expectancies, and alcohol abuse: a test of social learning formulations. J Abnorm Psychol 97: 218-230. 

  12. Smith GT, McCarthy DM, Goldman MS. 1995. Self-reported drinking and alcohol-related problems among early adolescents: dimensionality and validity over 24 months. J Stud Alcohol 56: 383-394. 

  13. Kim YS, Yoon HM. 2001. Middle school students' alcohol expectancies and related factors. Korean J Soc Welfare 44:91-116. 

  14. Suh KH, Kim BY. 2011. The concept and measurement of alcohol use as coping of college students. Korean J Health Psychol 16: 815-825. 

  15. Lee JS, Lee BJ. 2009.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daily stress and coping motives on the adolescent's alcohol-related problems-focusing on a city in Chungnam. J Adolescent Welfare 11: 1-21. 

  16. Tak JK. 2000. The effects of personality traits and life events on drinking motives. Korean J Health Psychol 5:73-83. 

  17. Oei TPS, Hasking PA, Young RM. 2005.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questionnaire-revised (DRSEQ-R): a new factor structure wit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rug Alcohol Depend 78: 297-307.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hungbuk, Korea. 

  19. Babor TF, Grant M. 1989. From clinical research to secondary prevention: international collaboration in the development of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 Alcohol Health Res World 13: 371-374. 

  20. Babor TF, Higgins-Biddle JC, Saunders JB, Monteiro MG. 2001. AUDIT: guidelines for use in primary health care. WHO, Geneva, Switzerland. p 16-20. 

  21. Annis HM. 1984. Outcome expectancies questionnaire (in alcoholism treatment assessment research instrument). National Institute on Alcohol Abuse and Alcoholism (NIAAA), Rockville, MD, USA. p 36-37. 

  22. Shin WW. 2003. The effect of the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nd homelessness experiences of homeless persons on alcohol problems before and after homelessness.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3. Polich JM, Orvis BR. 1979. Alcohol problems: patterns and prevalence in the U. S. air force (Rep. No. R-2308-AF). Rand Corporation, Santa Monica, CA, USA. 

  24. Sherer M, Maddox J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Rogers RW.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 Reports 51: 663-671. 

  25. Nam KC. 2000. The effect of the psychosocial trauma according to the homeless duration on the exit from the homeless shelter.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6. Kang JE, Choi HS, Choi JH, Jung ST, Yeo SH, Kim MH. 2013. The comparative study of dietary habits according to the alcohol drink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3: 681-689. 

  27. Chun S, Ahn B, Kim M, Sohn A. 2011. Cognitive differences of drinking attitude and drinking problems between the normal drinker and the problem drinker.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37: 121-130. 

  28. Kim MK. 2012. A study on parents' alcohol use, university students' alcohol expectancy, and alcohol use disorder: mediating effects on self-esteem and depression. Asian J Child Welfare Development 10: 61-80. 

  29. Han SH, Han DW. 2001. The related factors of alcohol drinking in Korean young adults. J Korean Public Health Assoc 27: 130-143. 

  30. Kim GE, Cho NA. 2012. The effects of drinking environment on the degree of youth drinking: moderating effects of the interaction of parents and adolescent. Korean Youth Research Assoc 19(11): 45-68. 

  31. Hong JP. 1990. The effects of alcohol-related expectancies on drinking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J Graduate School Student Assoc 17: 387-411. 

  32. Han SY, Lee MK, Shin HC. 2005.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risk factors on drinking problems in college students. Korean J Counseling Psychotherapy 17: 1003-1019. 

  33. Demmel R, Nicolai J, Gregorzik S. 2006. Alcohol expectancies and current mood state in social drinkers. Addict Behav 31: 859-867. 

  34. Oei TPS, Baldwin AR. 1994. Expectancy theory: a twoprocess model of alcohol use and abuse. J Stud Alcohol 55: 525-534. 

  35. Ahn KS. 1996. The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of parents and friends with regard to adolescent's drinking behavior and expectation. M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6. Kim IS, Lee YH. 2003. The effects of personality, social pressure and drinking motivation on drinking and drinking problems. Korean J Clinical Psychol 22: 525-541. 

  37. Kim MH. 2011. An analysis of psychosocial factors affecting alcoholic dependency among homeless inpatients in South Korea. M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38. Oei TP, Burrow T. 2000. Alcohol expectancy and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a test of specificity theory. Addict Behav 25: 499-507. 

  39. Kim SJ. 1999. Modeling relapse of alcoholism: male alcoholic in-patients of psychiatric ward.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40. Cho H. 2000. Developing a predictive model for alcohol consumption behavior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PhD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41. Kho YM, Hyun MH, Park JS. 2009. The mediating effect of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restraint and drinking behaviors in college students. Korean J Health Psychol 14: 891-909. 

  42. Kim JU. 2007. The effect of drinking prevention group counseling on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alcohol expectancy, and drinking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Korean J Counseling 8: 115-130. 

  43. Aas H, Klepp KI, Laberg JC, Aaro LE. 1995. Predicting adolescents' intentions to drink alcohol: outcome expectancies and self-efficacy. J Stud Alcohol 56: 293-299. 

  44. Shin HW. 1998. The effects of personality and drinking motives on drinking problems. PhD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45. Kim IS, Hyun MH, You JM. 2001. Risk/ vulnerability factors of drinking & drinking problem: data mining answer tree and neural connection. Korean J Health Psychol 6:75-95. 

  46. Carey K, Correia C. 1997. Drinking motives predict alcohol-related problems in college students. J Studies Alcohol 58: 100-1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