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농촌지역 노인돌보미 대상 독거노인의 자살생각 관련요인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received the elderly care service in a rural area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39 no.2, 2014년, pp.81 - 93  

최희영 (조선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류소연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곽광일 (조선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최철원 (조선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농촌지역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자살생각을 파악하고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구명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전라남도 G군에 거주하는 노인돌봄서비스를 제공받는 독거노인 206명을 대상으로 사회 인구학적 특성, 건강관련 특성, 가족지지와 자살생각과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기 위해 t-검정분산분석 그리고 상관분석을 이용하였고,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회인구학적인 특성에서는 연령이 65-74세가 75-84세(${\beta}$=-.181, p=.029)보다 자살생각을 많이 하며 유의하였다. 건강관련특성은 신체적 건강관련요인으로 우울(${\beta}$=.269, p<0.001)과 스트레스의 정도(${\beta}$=.211, p=.005)가 높을수록 자살생각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의하였으며, 신체적 건강관련요인으로 일상생활동작(${\beta}$=.228, p=.003)이 자살생각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received the elderly care service in a rural area. Methods: This study was surveyed 206 the elderly living alone who received the elderly care service in G-gun, Jeol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농촌지역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자살 생각을 파악하고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구명하고자 시행하였다.
  • 이 연구는 농촌지역에서 혼자 힘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노인과 독거노인에게 안전 확인, 생활교육, 가사지원, 활동 지원 등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인 노인 돌보미 서비스를 받는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농촌지역의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자살생각을 파악하고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해 보고자 시행된 것으로, 대상자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 건강관련특성, 가족지지관련요인과 자살생각과의 관련성을 파악 하고, 다변량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농촌지역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살생각, 자살시도, 자살행위의 연관성은? 노인 자살은 65세 이상의 노인들에게 나타나는 자살생각, 자살시도, 자살행위에 이르기까지의 연속적인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자살행위는 자살시도를 경험한 사람들에게 많이 발생하고, 자살시도는 자살생각을 많이 경험한 사람들에게 발생한다[6]. 자살생각은 자살시도나 자살행위에 앞서므로 자살생각의 결정요인을 이해한다는 것은 자살시도나 자살행위의 위험을 이해하거나 예방하는데 일조할 수 있고[7], 자살생각에 대한 접근을 통하여 자살시도 및 자살행동을 예측하고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제안되고 있다[8].
노인자살의 가장 강력한 위험요인은 무엇인가? 독거는 노인자살의 가장 강력한 위험요인 중 하나이며[15], 자살로 사망한 노인의 50% 가량이 홀로 사는 노인이다[16]. 그러므로 독거노인의 자살 위험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독거노인의 자살에 대한 생각들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독거노인의 증가현상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이유는? 6%를 차지하였다[10]. 이러한 독거노인의 증가현상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은 독거노인은 일반노인에 비해 경제능력의 부족, 사회활동의 감소 및 사회적 지지망 부족 등의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하기 때문이다[2,11]. 그리고 가족이나 친척의 지지 수준이 낮고 소외감과 고독감으로 살아가기 때문에 스트레스와 우울감이 증가하고, 자살생각의 발생 가능성이 있으며[12], 지리적으로나 사회적으로 그리고 정서적으로 고립된 노인일수록 자살에 이를 가능성이 높고[13] 배우자가 있는 경우에 비하여 배우자가 없는 경우에 우울 및 자살생각이 높다고 보고하고 있다 [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oren S, Hewitt PL. Sex difference in elderly suicide rate: some predictive factors. Aging and Mental Health 1999;3(2):112-118 

  2. Sohn JN.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suicidal ideation in elderly people who live alone or live with family.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12;21(2):118-126 (Korean) 

  3.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Annual report on the causes of death statistics. 2012 [cited 2013 Sep 18]. Available form : URL:http://kosis.kr/ups/ups_01List01.jsp?grp_no&pubcodeYD&typeF 

  4. Kim KH, Kim JS, Lee BS, Lee EK, Aha YM, Choi MH. A study ab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suicidal thought in Korean elder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10;19(4):391-399 (Korean) 

  5. Kim HS. A study on epistemology of Korean elder's suicidal thought.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2;22(1):159-172 (Korean) 

  6. Lester D. A depression Paradox theory of sucid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989;10(10):1103-1104 

  7. Kim HS, Kim BS. A Comparative Study on Suicidal Ideation in the elderly and the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8;28(2):325-343 (Korean) 

  8. Beck AT, Kovacs M, Weissman A.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J Consult Clin Psychol 1979;47(2):343-352 

  9. Lee SS, Kim SH. A study on the living conditions and social welfare needs of the elderly who lives alone in the farming and fishing communities-focused on the province of Jeollanamdo. Journal of Korean Regional Development 2011;11(1):23-60 (Korean) 

  1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atistical yearbook. [serial online] 2012 Nov [cited 2013 Sep 18]. Available form : USL:http://www.mw.go.kr/front_new/jb/sjb03031vw.jsprch.jsp 

  11. Song YD, Son JA, Park SM. An analysis of Eco-systematic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who are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0;30(2):643-660 (Korean) 

  12. Kim YJ. Comparison of health habits,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thinking by gender between elders living alone and those living with others. J Korean Acad Fundam Nurs 2009;16(3):333-344 (Korean) 

  13. Hae JH, UM KW. Factors Affecting Suicide Attempt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9;29(4):1427-1444 (Korean) 

  14. Jeon GS, Lee HY. Impact of marital status 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adults: Focused on the difference by age and sex.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1;5(3):179-190 (Korean) 

  15. Ahn JH, Chun MA. A study on antecedents of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older adults: A test of the stress-diathesis model.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9;29(2):489-511 (Korean) 

  16. Draper B. Attempted suicide in old age. International J geriatric psychiatr 1996;11(7):577-587 

  17. Yang SM, Rim CS. A relative effects of depression on suicide ideation of the rural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06;32:377-396 (Korean) 

  18. Kim OS. A Study of Suicide-Thinking of Solitary Elderly: Focused on Euijeonbu City [disseratation]. Seoul. Kyunghee University. 2009 (Korean) 

  19. Sheilkh JA, Yesavage JA. 9/Geriatric depression scale(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iolence. Clinical Gerontologist 1986;5(1-2):165-173 

  20. Seo HM, Yu SJ, Hah YS. A study on the verification of the profile of Seo's elderly stress scale(SESS). J Korean Acad Nurs 2001;31(1):94-105 (Korean) 

  21. Won CW, Yang KY, Rho YG, Kim SY, Lee EJ, Yoon JL, Cho KH, Shin HC, Cho BR, Oh JR, Yoon DK, Lee HS, Lee YS. The development of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K-ADL) and 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K-IADL) scale. Geriatrics 2002;6(2):107-120 (Korean) 

  22. Lawton MP, Moss M, Fulcomer M, Kleban MH. A research and service oriented multilevel assessment instrument. J Gerontol 1982;39(5):91-99 

  23. Lim MY.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1998 (Korean) 

  24. Cobb S. Presidential address-1976. Social support as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 Med 1976;38(5):300-314 

  25. Kang HS.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reinforcement education for rehabilitation on hemiplegia patients' self-care activitie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1984 (Korean) 

  26. Park KB, Shin MS. College goal and suicidal ide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90;9(1):20-32 (Korean) 

  27. Ladwig KH, Klupsch D, Ruf E, Meisinger C, Baumert J, Erazo N, Wichmann HE, KORA Investigators. Sex- and age-related increase in prevalence rates of death wishes and suicidal ideation in the community: Results from the KORA-F3 Augsburg Study with 3154 men and women, 35 to 84 years of age. Psychiatry Res 2008;161(2):248-252 

  28. Lee HK, Chang CG. The relation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ntal health, and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elderly. Kore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12;38(1):69-79 (Korean) 

  29. Jung HY, Roh SH.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elderly suicidal idea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stress on suicidal ideatio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7;27(4):789-805 (Korean) 

  30. Kim HK, Ko SH, Chung SH. Suicidal ideation and risk factors among the elderly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010;24(1):82-92 (Korean) 

  31. Juurlink DN, Herrmann N, Szalai JP, Kopp A, Redelmeier DA. Medical illness and the risk of suicide in the elderly. Arch Intern Med 2004;164(11):1179-11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