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양병원에서 신체억제대를 적용한 일부 치매노인 환자의 특성과 부작용 관련성
Characteristics and Side effects Relevance of Physically Restrained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in the Nursing Hospital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4, 2018년, pp.221 - 229  

김수연 (강동대학교 의무부사관과) ,  채경숙 (신성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억제대를 적용한 치매노인 환자의 구체적인 특성과 부작용 발생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함이었다. 2016년 5개 요양병원에서 치매노인에게 신체억제대를 적용한 간호사, 간호조무사,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190개의 자료를 SPSS 21.0의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카이제곱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75- 84세' 연령의 환자가 58.3%, 1일 총 적용시간 중 '17-24시간'인 환자가 22.6%, 밤에 적용한 환자가 57.4%, 낙상과거력이 없는 환자가 54.2%를 차지하였다. 연령은 국소부종, 관절구축과 관련성이 있으며 특히 85세 이상의 환자에서 관절구축의 발생빈도가 25%로 나타났다(p<.05). 보행능력은 욕창과 관련이 있었으나 걸을 수 없는 환자보다 걸을 수 있는 환자의 욕창 발생빈도가 오히려 더 많았다. 총 적용시간은 피부발적, 국소부종, 관절구축의 3가지 부작용과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p<.05). 본 연구를 기초로 신체억제대를 적용한 환자 돌봄 시 연령과 총 적용시간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side effects relevance of physically restrained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in the nursing hospital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nursing care providers working at the 5 nursing hospitals with survey and analyzed 190 data using S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요양병원에서 신체억제대를 적용한 치매노인환자의 구체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환자의 특성과 신체억제대 적용 후 발생하는 부작용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신체억제대를 적용한 치매노인환자의 성별에서 여성(57.
  • 본 연구는 요양병원에서 신체억제대를 적용한 치매노인환자의 특성과 부작용 발생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셋째. 요양병원에서 신체억제대를 적용한 노인치매 환자의 특성과 부작용의 관련성을 파악한다.
  • 첫째. 요양병원에서 신체억제대를 적용한 노인치매 환자의 특성을 파악한다
  • 국내 신체억제대 관련 연구는 신체억제대를 적용한 환자 가족의 정서반응[17], 간호제공자의 인식, 태도 및 지식[18], 신체억제대 사용 관련 요인[10], 신체억제대 적용에 영향을 주는 사고유발요인[16], 프록토콜 개발 및 교육효과[19]등으로 신체억제대를 적용한 환자특성과 부작용의 발생 관련성을 구체적으로 확인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이에 본 연구는 신체억제대를 적용한 치매 노인 환자의 특성과 부작용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체억제대의 정의는? 신체억제대는 환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하거나 신체 가까이에 부착하여 자유로운 신체의 움직임을 제한, 특정한 자세를 취하지 못하게 하거나 신체일부를 만지지 못하도록 고안된 장치, 도구 또는 재료로 손목억제대, 장갑억제대, 발목억제대, 다리억제대, 벨트억제대, 자켓억 제대, 홑이불억제대, 4방형 난간 등이 포함되며 환자에 의해 쉽게 제거되거나 조절될 수 없다[5]. 요양병원 내 신체억제대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환자인권이 훼손될 위험이 커지면서 2013년 신체억제대 관련 의료법 시행규칙이 제정되었다.
국내 치매환자의 수는 2013년과 2016년에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또한 관련 증상이 장기적으로 지속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악화되는 양상을 보여 치매환자의 증가는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국내 치매환자는 2013년 약31만 5천명에서 2016년 42만 4천명으로 증가하였고[1], 치매로 입원한 환자는 2010년 19,147명에서 2015년 28,889명으로 증가하였다[2]. 요양병원에 입원하는 치매환자는 가족구성원의 돌 봄이 힘든 중증환자가 많아 안전사고 예방등의 이유로 신체억제대를 사용하고 있다.
신체억제대 적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과 실태는? 신체억제대 적용으로 인한 부작용은 피부찰과상, 근육 위축, 흥분, 불안, 섬망의 증가, 인지능력의 악화, 활동 의존성의 증가, 심지어는 사망 위험이 있다[11].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 최소 2시간마다 주기적으로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도록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요양병원 노인치매환자를 돌보는 간호제공자의 76.8%가 신체억제대 사용과 관련된 교육을 이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간호제공자의 88.4%가 신체억제대 적용 후 부작용의 발생을 경험하였다[12]. 부작용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부작용 발생과 관련이 있는 요소를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예방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August. 1. 2017). Healthcare bigdata hub, dementa., Healthcare bigdata hub(online). http://opendata.hira.or.kr 

  2.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orean Health Industry Statistics System. (August. 2, 2017).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Annual Medical Insurance Statistics for 2015 and 2010. KHISS(online). https://www.khiss.go.kr 

  3. Bundang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Dementia elderly survey final report, Bundang publishing.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arch. 31, 2018). National Health and Medical Care Survey fina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online), http://www.mohw.go.kr 

  5. A. P. Retsas. (1998). Survey findings describing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s in nursing homes in Victoria. Australia.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y, 35(3), 184-191. DOI :http://dx.doi.org/10.1016/S0020-7489(98)00027-3 

  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ecember. 23. 2013). Guideline for safe use of physical restraint in geriatric hospital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online). http://www.mohw.go.kr 

  7. D. H. Kim, C. M. Kim, E. M. Kim & M. S. Park. (2011). Application of Physical Restraints by Health personnel in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3(2), 131-141. 

  8. S. Marangos-Frost & D. Wells. (2000). Psychiatric nurses'Thoughts and Feelings about Restraint Use: a Decision Dilemma.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1(2), 362-369. DOI : http://dx.doi.org/10.1046/j.1365-2648.200X.01290. 

  9. A. R. Yoo & H. S. Kim. (2016). Physical restraints use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older adults in nursing homes. Korean Health Economic Review, 22(1), 39-58. 

  10. R. Nay & S. Koch. (2006). Overcoming restraint use: Examining barriers in Australian aged care facilitie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32(1), 33-38. DOI: http://dx.doi.org/10.3928/0098-9134-20060101-13 

  11. E. Bellenger, JE. Ibrahim, L. Bugeja & B. Kennedy. (2017). Physical restraint deaths in a 13-year national cohort of nursing home residents. Age Ageing, Jan 3. [Epub ahead of print] DOI: http://dx.doi.org/10.1093/ageing/afw246. 

  12. H. J. Lee & K. H. Kim. (2016). Perceptions and Intention of Nurses in Using Physical Restraints for Dementia 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8(3), 159-171. 

  13. C. H. Kim. (2006). Characteristics of geriatric diseases.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Symposium. 71(2), S844-S847. 

  14. O. Kirkevold, L. Sandvik & K. Engedal. (2004). Use of contraints and their correlates in Norwegian nursing homes, International Jouranl of Geriatric Psychiatry, 19(10), 980-988. DOI: http://dx.doi.org/10.1002/gps.1197 

  15. N. G. Castle, B. Fogel & V. Mor. (1997). Risk factors for physical restraint use in nursing homes: pre-and post implementation of the nursing home reform Act. Gerontologist, 37, 737-747. DOI: http://dx.doi.org/10.1093/geront/37.6.737 

  16. M. H. Lim & I. S. Ko. (2012). Risk Factors leading to Accidents associated with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s in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4(1), 1-11. 

  17. J. Y. Kang, E. N. Lee, E. Y. Park, Y. Lee & M. M. Lee. (2013). Emotional Response of ICU Patients'Family toward Physical restrai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5(1), 148-156. DOI: http://dx.doi.org/10.7475/kjan.2013.25.2.148 

  18. S. M. Kim, Y. J. Lee, D. H. Kim, S. Y. Kim, H. Y. Ahn & S. J. Yoo. (2009). Perception, Attitude, and Knowledge about Physical Restraints among Nursing Personnel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15(1), 62-71. 

  19. M. H. Lim & I. S. Ko. (2013). Protocol for Physical Restraints of Patients in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Fundamental Nursing, 20(4), 345-358. DOI: http://dx.doi.org/10.7739/jkafn.2013.20.4.345 

  20. M. Yamada, et al. (2008). Incidence of Dementia, Alzheimer Disease, and Vascular Dementia in a Japanese Population: Radiation Effects Research Foundation Adult Health Study. Neuroepidemiology, 30(3), 152-160. DOI: http://dx.doi.org/10.1159/000122332. 

  21. H. Hofmann, E. Schorro, B. Haastert & G. Meyer. (2015). Use of physical restraints in nursing homes: a multicentre cross-section al study. BioMedCentral Geriatrics, 15(129), Published online DOI:http://dx.doi.org/10.1186/s12877-015-0125-x. 

  22. K. Lam, et al. (2017). Factors Associated With the Trend of Physical and Chemical Restraint Use Among Long-Term Care Facility Residents in Hong Kong: Data From an 11-Year Observational Study.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Aug 23. [Epub ahead of print]. DOI:http://dx.doi.org/10.1016/j.jamda.2017.06.018 

  23. S. H. Lim. (2016. October.31.). Domestic deme ntia patient increase by 20% annual average, The most(online). http://www.monews.co.kr 

  24. K. J. Lee, G. S. Park & Y. S. Park. (2016). Family Member's Perceptions of Side Rail Use in Geriatric Hospita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12), 503-513. DOI:http://dx.doi.org/10.14400/JDC.2016.14.12.503 

  25. H. S. Song. (2016).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Depression, Walking an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Focusing on the Moderation Effects of Walk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8), 515-525. DOI:http://dx.doi.org/10.14400/JDC.2016.14.8.515 

  26. H. Hofmann & S. Hahn. (2014). Caracteristics of nursing home residents and physical restraint: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3(21-22), 3012-3024. DOI:http://dx.doi.org/10.1111/jocn.12384 

  27. R. Mohler & G. Meyer. (2014). Attitudes of nurses towards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s in geriatric care: a systematic review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51(2), 274-288. DOI:http://dx.doi.org/10.1016/j.ijnurstu.2013.10.004 

  28. S. K. Chung & E. Y. Jeong. (2016). Accidental self-removal of medical devices according to use of physical restraints: systematic review.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6(11), 253-267. DOI:http://dx.doi.org/10.14257/AJMAHS.2016.11.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