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과위생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턱관절 장애 자각증상의 상관성 연구
Relationship between job-stress and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in dental hygienists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4 no.3, 2014년, pp.381 - 390  

정은영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윤리정책협동과정) ,  김명래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구강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stress and temporomandibular joint(TMJ) disorder in dental hygienists. This study will provide the basic data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 and the quality of life. Methods : The subjects were 229 dental hygien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직무 스트레스(Job- stress)가 턱관절 장애 자각증상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고자 관련성을 연구하였다.
  • 또한 턱관절 이상을 그대로 방치한다면 직무 스트레스와 관련되어 근골격계 질환으로 이환 될 가능성이 있고, 턱관절 장애 환자에 대한 이해와 배려 부족은 효과적인 치료에 방해가 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치과위생사가 인지하는 직무 스트레스와 턱관절 장애의 유병 상태를 조사하고 직무 스트레스와 턱관절장애에 상관성을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턱관절 장애의 발생에 대해 어떤 학설들이 지지를 받고 있는가? 평소 잠재되어 있다가 특정 시기에 발현되는 턱관절 장애 (temporomandibular disorders:TMD)는 악관절 부위에 발생 하는 여러 질환 가운데 하나이며 병의 원인이 불분명하여 정확한 진단을 내리는데 어려움이 있다. 턱관절의 형태기능적 요소와 사회심리학적 요소가 관련된 복합적 요인으로 발생된다는 학설이 지지를 얻고 있는 가운데8) 턱관절 질환이주 상병명으로 내원한 환자는 국민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전산자료상 2003년, 2004년, 2005년 66,213명, 76,124명, 83,949명으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로9) 임상적 진단과 다면적 치료가 요구된다. 이에 치과위생사도 턱관절 장애에 이환될 가능성이 있고 사회 심리학적 요인도 영향을 받는다.
직무 스트레스란 무엇인가? 직무 스트레스(job-stress)란 직무 활동시 개인이 느끼는 소진, 불안, 걱정 등으로 인해 심신이 지친 것 같은 주관적 느낌을 말하는데, 직무 수행의 불균형을 야기하고 신체적 기능이상으로 나타난다. 건강이상을 야기 할 반복적인 순환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고3) 신체적으로 나타나는 기능 장애의 하나인근골격계 질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치과위생사가 경험하는 피로는 무엇때문인가? 치과위생사는 치과 의료기관 내에서 스케일링 등의 진료 처치와 진료 보조업무를 위해 불편한 자세로 근무하는 경향이 있고, 진료 형태와 환경 요인에 따라 만성적인 피로를 경험 하게 된다. 또한 의료서비스의 요구도 증가는 치과위생사의 다양한 역할 수행을 확장하여 직무 스트레스를 초래한다1)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o SH, Kim YH. A study on the fatigue of hospital nurses in Gwangju and Jeonnam region. J Korea Com Health Nur Acad Soc 2002; 16(2): 272-9. 

  2. Jung ST. Relationship between work environment, job stress, psychosocial stress, and fatigue of metropolitan rapid transit workers[Doctoral dissertation]. Chuncheon: Univ. of Kangwon National, 2006. 

  3. Cheon HY, Park JH, Leem HB.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he fatigue of clinical nurses. J Dongnam Health College 2000: 18(2): 95-107. 

  4. Ahnn JH, Kang DM, Cho KH, Moon DH.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musuloskeletal diseases in hospital workers. J Korean Occu Med and Env Med 2002: 113-5. 

  5. Park CG, Han KS. Effects of recent life changes on the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treatment course. J Korean Oral Med 1992; 17(1): 51-60. 

  6. Lupton DE.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the female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patients. Psychosom Res 1966; 14(3): 199-216. 

  7. Dworkin SF. Temporomandibular jiont disorders: a problem in dental health: In Gatch RJ, Turk D. psychosocial factor in pain. New York: The Guilford Press; 1999: 213-26. 

  8. Kim YG, Yoon PY, Ahn MS, Kim JS.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 and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J Korean Assoc Max Plastic and Rec Surg 2009; 31(5): 375-80. 

  9. Yang HY, Kim ME. Prevalence and treatment pattern of korea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J Korean Oral Med 2009; 34(1): 63-79. 

  10. De Leeuw R. Orofacial. pain: guidelines for assessment, diagnosis, and management. 4th ed. Chicago: Quintessence; 2008: 25-50. 

  11. Laskin DM. Etiology of the pain dysfunction syndrome. J Am Dent Assoc 1969; 79(1): 147-53. 

  12. Lee JH, Park WJ, Choi JM. Research on occupational stress of the some local workers and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J Dent Hyg Sci 2009; 9(1): 9-15. 

  13. Jung KH, Kwon HK, Kim JB, Choi CH. Prevalence of tempromandibular disorders and its relation with maxillofacial trauma in 6-14 and 16 years old Korean children. J Korean Acad Oral Health 2003; 27(2): 249-63. 

  14. Hong JW, Jung HK. An epidemiological study o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young adult females. J Korean Assoc Oral and Max Surg 1993; 19(4): 540-54. 

  15. Kim DK, Lim HD, Lee YM. Evaluation of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emporomandibular disorder symptoms in dental hospital worker. J Korean Oral Med 2012; 37(1): 61-72. 

  16. Ha SJ. Factors on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dental hygienists[Master's thesis]. Cheonan: Univ. of Dankook, 2003. 

  17. Lee YM. Fatigue, turnover intention, job stress and its related factor among medical service employees: focusing the nurses. J Korean Tour Rea Assoc 2012; 26(1): 59-72. 

  18. Lee HK. An epidemiology study o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of employees residing at Seoul.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1996; 13(2): 308-28. 

  19. Kim MH, Kim MJ, Kim JS, Nam RJ, Park JO, Shim SY, et al. Oral habits and TMJ dysfunction and the relationship. J Korean Acad Physical Theraphy 2000; 7(1): 295-310. 

  20. Chung CH, Kang HY. Job Stress and Fatigue of the Nurses in the Operating Room. J Korea Contents Assoc 2013; 13(2): 291-8. 

  21. Park JS, Choi YR. A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sleep disorder, fatigue and job stress in police shift-workers. J Police Sci 2010; 5(1): 26-53. 

  22. Choe US, Song MS. Concept analysis: fatigue. J Korean Acad Womens Health Nurs 2003; 9(1): 61-9. 

  23. Im YG, Baek HS, Kim BG. Correspondence between temporomandibular disorder symptoms and clinical examination findings. J Korean Oral Med 2011; 35(1): 83-9. 

  24. Lee YS, Byun YS, Choi JH, Ahn HJ. Evaluation of masticatory efficiency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tients. J Korean Oral Med 2010; 35(2): 135-47. 

  25. Kim HK, Park HS, Kim YS. Relationship between musculoskeletal subjective symptoms and work environment in dental hygienists. J Korean Soc Dent Hyg 2012; 12(6): 1128-37. 

  26. Okeson JP.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occlusion. 7th ed. Missouri: Elsevier; 2012: 102-29. 

  27. Lee BH, Kim JS. Analysis of the correlation of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of dental hygienists. J Korea Contents Assoc 2010; 10(11): 217-27. 

  28. Park JS, Ko MY. A study on life change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tients through SRRS. J Korean Oral Med 1987; 12(2): 109-12. 

  29. Lee SY, Ko HJ, Yu BC.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of upper extremities among dental hygienists. J Korean Soc Dent Hyg 2012; 12(5): 897-908. 

  30. Kang JK, Ryu JW, Kim ST, Choi JH. Clinical characteristics of headache in orofacial pain patients. J Korean Oral Med 2006; 31(4): 355-64. 

  31. Rew JW, Bae KJ, Hong SJ, Yoon CL, Ahn JM. Clinical characteristics of headaches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tients : primary headache vs headache attributed to tmd. J Korean Oral Med 2009; 34(3): 325-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