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육형태에 따른 저소득층 자녀의 안경착용실태 연구
Research on the Wearing Actual Conditions of Glasses according to the Type of Parents in the Rearing of Low-income Children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19 no.2 = no.55, 2014년, pp.207 - 216  

이완석 (성덕대학교 안경광학과) ,  예기훈 (백석대학교 안경광학과) ,  신범주 (부산대학교 IT응용공학과)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저소득층 양육형태에 따른 자녀의 시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보건복지부 산하 질병관리본부에서 시행한 2010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통해 양육형태에 따라 교정 전 후의 시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소득 최하위층에서 교정 전 양부모 가정의 자녀 시력은 0.91, 편부모 가정의 자녀 시력은 0.83, 조부모 가정의 자녀 시력은 0.82 그리고 소득 중하위층에서 교정 전 양부모 가정의 자녀 시력은 0.80, 편부모 가정의 자녀 시력은 0.77, 조부모 가정의 자녀 시력은 0.50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양육형태에 따른 저소득층 자녀의 시력에 대한 관심 부족은 근시유발의 한 요인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 시기의 부모의 역할은 매우 크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사회적 관심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 this study, we analyzed visual acuity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rearing of the type of parents. Methods: We have done a comparative analysis about before and after of corrected visual acuity according to the wearing actual conditions with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눈의 비정시안과 관련하여 근시의 진행 역시 가장 급격하게 진행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검사와 처방을 통해 시력관리를 해주어야 할 중요한 시기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 시기의 청소년 자녀에 있어 부모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보았을 때 저소득층은 다른 사회계층보다 경제적 활동이 더 필요하며 여러 가지 소득과 시간적 제약으로 인해 시력관리의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고, 이들의 건강을 책임지는 다양한 양육자의 형태에 따른 자녀의 시력이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고 시력관리현황 및 현재 착용 중인 안경의 관리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시력관리와 의료서비스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저소득에 위치한 청소년 자녀에 대한 세심한 시력관리가 필요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 즉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양부모 가정 자녀가 편 부모나 조부모 가정자녀보다 목표 교정시력에 가까운 현재 안경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시력이 변하는 적절한 시점에서 안과 또는 안경원을 내방하고 이에 맞는 처방을 통해 규칙적인 안경교정시기를 맞추어 시력을 관리해준다면 좀 더 건강할 시력을 확보할 기회가 높아진다고 판단한다. 이를 시력검사시기를 통해 확인해 보았다. 먼저 저소득층 전체를 놓고 보았을 때 양부모 가정의 자녀는 1년 이내에 시력검사를 받은 시기가 34.
  • 따라서 본 연구는 이 시기의 청소년 자녀에 있어 부모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보았을 때 저소득층은 다른 사회계층보다 경제적 활동이 더 필요하며 여러 가지 소득과 시간적 제약으로 인해 시력관리의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고, 이들의 건강을 책임지는 다양한 양육자의 형태에 따른 자녀의 시력이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고 시력관리현황 및 현재 착용 중인 안경의 관리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시력관리와 의료서비스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저소득에 위치한 청소년 자녀에 대한 세심한 시력관리가 필요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 보건기구(WHO)가 정의한 현대사회에서 건강의 결정은 무엇인가? 세계 보건기구(WHO)는 현대사회에서 건강의 결정은 개인이나 인구집단의 건강상태를 결정하는 모든 개인적, 사회적, 경제적 및 환경적 요인을 총칭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즉 여러 요인들이 서로 작용하여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삶의 조건이 창출된다는 것이다.
국민건강수준의 향상의 특징은 무엇인가? 국민건강수준의 향상은 모든 국가가 추구하고, 이루고자하는 목표이며, 보건의료정책과 방향에 있어 가장 중요한 가치이다.[2] 그러나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소득 수준 집단인 저소득층의 건강수준은 소득이 높은 집단인 고소득층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그 상관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연구 되고 있다.
국민건강수준의 향상의 문제점과 방안은 무엇인가? 국민건강수준의 향상은 모든 국가가 추구하고, 이루고자하는 목표이며, 보건의료정책과 방향에 있어 가장 중요한 가치이다.[2] 그러나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소득 수준 집단인 저소득층의 건강수준은 소득이 높은 집단인 고소득층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그 상관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연구 되고 있다.[3,4] 저소득층이 되는 많은 원인과 이유가 있겠지만, 단순히 개인의 능력으로만 기인되지 않으며, 국가와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 또한 저소득의 확산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저소득층은 지속적인 관심과 더불어 사회적인 보호, 지원, 관리 대상이 되어야 한다.[5]우리나라의 경우 외환위기와 신용위기로 인한 수많은 중산층의 붕괴는 저소득층의 증가로 이어졌으며, 계층간의 소득의 양극화로 인해 저소득층의 상대적 빈곤과 박탈감은 더욱 증대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Health promotion glossary 1998, 1998. http://www.who.int/hpr/NPH/docs/hp_glossary_en.pdf (5 September 2013). 

  2. Lee YJ. A Equity in Health Care Utilization by Health Status. Korea Social Policy Review. 2010;17(1):267-290. 

  3. Lim JY, Lee TJ, Bae SS, Yi GH, Kang KH, Hwang YH.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the Poor. Korea Social Policy Review. 2009;16(2):131-180. 

  4. An JS, Kim HJ.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health inequality in Korea. Studies on Korean Youth. 2013;24(2):205-231. 

  5. Kim SS. Low-Income Households' Financial Problems and Demand for Financial Counseling.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2011;15(2):147-171. 

  6. Kim MS, Yang SY. Korean Children in Crisis and Policy Measures. Korea Health and Welfare Forum. 2007;128:5-20. 

  7. Lim SA. Investigating Low-and High-income Group Differences in the Academic Achievement: Longitudinal Effects of Cognitive Readiness and Parents's Expectation and Involvement.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012;21(4):319-335. 

  8. Kim SM.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behaviors of parents and their children and the obesity of the children. Master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08;1-25. 

  9. Lee HS. An Inquiry into Parents' Attitude of Rearing and Mental Health of ADHD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Master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eagu. 2009;1-30. 

  10. Park JH, Chun JS, Lee SH. The Correlates Analysis between Parental Socioeconomic Factore and Eye Health of Primary School Children.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2011;13(1):11-19. 

  11. Gallup korea. Status using the national glasses press 2013, 2013. http://www.optic.or.kr/ (1 March 2013). 

  12. Park JH. A Study on Eye Health Equity in Korean Adults : Focused on the Low Vision and Frequent Eye Diseases. PhD Thesis. Dankook University. cheonan. 2012;1-13. 

  13. Ye KH, Lee 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fractive power and nutrient intake of the growth period in accordance with the income. J. Korean Oph. Opt. Soc. 2013;18(2):213-229. 

  14. Public health agency of cacada. Population Health Fund Evaluation 2008 Final Report. http://www.phac-aspc.gc.ca/about_apropos/reports/2008-09/phf-fsp/app-ann_a-eng.php (9 September 2013). 

  15. Kin MS, Yang SY. Korean Children in Crisis and Policy Measures. Korea Health and Welfare Forum. 2007;128:5-20. 

  16. Crosson-Tower C. Exploring child welfare: A practice perspective, 5th edition. Needham Heights, MA: Allyn and Bacon, 1998. 

  17. Korean bible society. Best bible. 9th Ed. Seoul: bible house, 2008;116,372. 

  18. Song HR, Kim YK, Cho YH. Performance Analysis of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Pilot Project to Support Grandparent-Grandchild Families. Korea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2012;16(3):83-107. 

  19. KwNews Corp. 2010. Grandparents family' children 71% "The hardest thing is economic difficulty". http://www.kwnews.co.kr/nview.asp?s601&aid210030900051 (10 September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