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교대근무유형에 따른 일과 삶의 균형, 피로, 업무오류건수 비교
Comparison of Work-Life Balance, Fatigue and Work Errors between 8-Hour Shift Nurses and 12-Hour Shift Nurses in Hospital General Wards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4 no.2, 2018년, pp.170 - 177  

신연희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간호팀) ,  최은영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김은희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김연금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임영숙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서상순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김경순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김영중 (분당서울대학교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iveness of 12-hour shifts for nurses compared to 8-hour shifts for the variables: Work-Life Balance, fatigue and work errors. Methods: In 2014, an opportunity to choose a 12-hour shift duty was given to a group of 8-hour shift nurses. In 2016, tw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 병동에 도입한 2교대 근무의 실효성을 확인하고자 2교대 근무 간호사와 3교대 근무 간호사의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피로, 업무오류건수를 근무 형태에 따라 비교하여, 간호사들의 근무형태 개선 및 교대근무 관련 정책 개발의 기초자료마련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들은 탄력적 근무 형태 도입 후 어떠한 삶의 변화를 예견하고 있는가? 간호사를 위한 새로운 근무형태에 대한 요구도와 적용에 대한 인식 조사연구에서 간호사들은 탄력적 근무 형태의 도입 후 예견되는 삶의 변화로 자기능력 개발, 여가활동의 증가로 인한 삶의 질 향상, 나의 생활에 맞는 근무신청, 가사와 일의 병행 등의 순으로 보고되고 있어[5], 간호사들의 일과 삶의 균형을 보장하는 근무형태에 대한 요구가 높음을 알 수 있다. 국내의 경우 150병상 이상 규모의 173개 병원을 조사한 결과, 전체 간호사의 89.
교대 근무 간호사들이 이직을 결정하게 되는 큰 요인은 무엇인가? 교대 근무 간호사들은 비교대 근무 간호사들에 비하여 주관적인 피로감 호소가 많으 며, 주간 근무가 아닌 저녁 근무 시에는 가족관계 및 사회생활에 제한이 따르며, 야간 근무 시에는 수면시간의 감소와 생리적 불균형을 호소하게 된다[2]. 이러한 만성적인 피로, 근무시간 외의 시간활용의 어려움, 시간대가 맞지 않아 발생하는 가정생활의 어려움 등은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와 삶의 질을 떨어 뜨리고, 이는 교대 근무가 아닌 다른 직장으로 옮기고자 하는 이직의도의 중요한 요인이 된다[3]. 교대 근무 간호사들이 근무시간과 관련되어 호소하는 고통은 단순히 개인의 문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간호업무와 연결되어 환자안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간호사의 교대 근무는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병원은 24시간 연속적으로 의료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는 곳으로, 간호사들은 불가피하게 전일제 연속형의 교대 근무 형태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교대 근무는 입원 환자를 담당 하는 부서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에게 당연시되어 시행되고 있는 근무제도이지만, 신체 및 일주기 리듬에 역행하므로 간호사들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1]. 교대 근무 간호사들은 비교대 근무 간호사들에 비하여 주관적인 피로감 호소가 많으 며, 주간 근무가 아닌 저녁 근무 시에는 가족관계 및 사회생활에 제한이 따르며, 야간 근무 시에는 수면시간의 감소와 생리적 불균형을 호소하게 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an MF. Factors associated with perceived sleep quality of nurses working on rotating shift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9;18(2):285-293. https://doi.org/10.1111/j.1365-2702.2008.02583.x 

  2. Kang BM, Yang CK. The Psychophysicosocial distress in nurses with shift work.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1999;6 (1):61-67. 

  3. Jean G.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hospital nurses' duty type and job satisfaction [master's thesis]. Jinju: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00. p. 1-98. 

  4. Kim KJ.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for nurses: Challenges and research direction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2;6(1):247-258. https://doi.org/10.12811/kshsm.2012.6.1.247 

  5. Kim YH, Yang YO. A study for perception and preference on flexible working pattern of nurses in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7;13(2):167-175. 

  6. Park YW, Shin HK, Lee HS, Lee HY, Kim EH, Park JS, et al. A study for developing the effective working pattern for nurses in shift work.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3;19(3):333-344. 

  7. Oh DS, Kim HY, Han HM, Choi HJ, Kang JW, Kang SR, et al. Comparis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direct/indirect care time of the nurses in two and three shift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1;7(1):113-129. 

  8. Lim EY, Uhm JY, Chang EJ, Kim NY, Ha EJ, Lee SH, et al. Impact of 12-hour shifts on job satisfaction, quality of life, hospital incident reporting, and overtime hours in a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4):353-361. 

  9. Kim JY. A study on the safety accidents by shift system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996;8(2):330-339. 

  10. Tucker P, Barton J, Folkard S. Comparison of eight and 12 hour shifts: Impacts on health, wellbeing, and alertness during the shift.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1996; 53(11):767-772. 

  11. Carlson DS, Grzywacz JG, Kacmar KM. The relationship of schedule flexibility and outcomes via the work-family interface.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010;25(4):330-355. https://doi.org/10.1108/02683941011035278 

  12. Chen J, Davis KG, Daraiseh NM, Pan W, Davis LS. Fatigue and recovery in 12-hour dayshift hospital nurse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4;22(5):593-603. https://doi.org/10.1111/jonm.12062 

  13. Griffiths P, Dall'Ora C, Simon M, Ball J, Lindqvist R, Rafferty AM, et al. Nurses' shift length and overtime working in 12 European countries: The association with perceived quality of care and patient safety. Medical Care. 2014;52(11):975-981. https://doi.org/10.1097/mlr.0000000000000233 

  14. Patorno E, Grotta A, Bellocco R, Schneeweiss S. Propensity score methodology for confounding control in health care utilization database. Epidemiology Biostatistics and public Health. 2013;10(3):8941-8916. https://doi.org/10.2427/8940 

  15.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New York, NY: Routledge; 1988. 

  16. Kim CW, Park CY, Sohn YM, Jang H.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n 'Work-Life Balance' and its effectiveness. Journal of Leisure Studies. 2005;2(3):29-48. 

  17. Kim CW, Park CY.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Work-Life Balance' scale. Journal of Leisure Studies. 2008;5(3):53-69. 

  18. Jang EH. Development of fatigue scale for nurse [dissertation]. Seoul: Chung-Ang University; 2013. p. 1-98. 

  19. Johnson AL, Jung L, Song Y, Brown KC, Weaver MT, Richards KC. Sleep deprivation and error in nurses who work the night shift.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44(1):17-22. https://doi.org/10.1097/NNA.0000000000000016 

  20. Benner P, Sheets V, Uris P, Malloch K, Schwed K, Jamison D. Individual, practice, and system causes of errors in nursing: A taxonomy.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2;32 (10):509-523. 

  21. Yi M, Kim WO, Kim DH, Ko MH, Lee KS, Kim ZI. Turnover experience of hospital nurses in Korea.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3;15(4):531-541. 

  22. Bae KS, Yoon JY, Kim GM, Jo IK, Yoon JH, Kwon HJ, et al. Working time and work-life balance. Research Report. Seoul: Korea Labor Institute; 2013 December. 

  23. Byeon YS. The effects of 2 or 3 shift rotation on the fatigue and sleep. The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05; 7(2):5-15. 

  24. Richardson A, Turnock C, Harris L, Finley A, Carson S. A study examining the impact of 12-hour shifts on critical care staff.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07;15(8):838-846. https://doi.org/10.1111/j.1365-2934.2007.00767.x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