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iveness of 12-hour shifts for nurses compared to 8-hour shifts for the variables: Work-Life Balance, fatigue and work errors. Methods: In 2014, an opportunity to choose a 12-hour shift duty was given to a group of 8-hour shift nurses. In 2016, two years after this change, this study was done to compare the two groups.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Data were sampled by a matching method with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The participants were 128 nurses: 64 nurses on 12-hour shifts and 64 nurses on 8-hour shifts. The comparison was analyzed using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 병동에 도입한 2교대 근무의 실효성을 확인하고자 2교대 근무 간호사와 3교대 근무 간호사의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피로, 업무오류건수를 근무 형태에 따라 비교하여, 간호사들의 근무형태 개선 및 교대근무 관련 정책 개발의 기초자료마련에 기여하고자 한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탄력적 근무 형태 | 간호사들은 탄력적 근무 형태 도입 후 어떠한 삶의 변화를 예견하고 있는가? |
간호사들은 탄력적 근무 형태의 도입 후 예견되는 삶의 변화로 자기능력 개발, 여가활동의 증가로 인한 삶의 질 향상, 나의 생활에 맞는 근무신청, 가사와 일의 병행 등의 순으로 보고되고 있어
간호사를 위한 새로운 근무형태에 대한 요구도와 적용에 대한 인식 조사연구에서 간호사들은 탄력적 근무 형태의 도입 후 예견되는 삶의 변화로 자기능력 개발, 여가활동의 증가로 인한 삶의 질 향상, 나의 생활에 맞는 근무신청, 가사와 일의 병행 등의 순으로 보고되고 있어[5], 간호사들의 일과 삶의 균형을 보장하는 근무형태에 대한 요구가 높음을 알 수 있다. 국내의 경우 150병상 이상 규모의 173개 병원을 조사한 결과, 전체 간호사의 89. |
교대 근무 간호사들 | 교대 근무 간호사들이 이직을 결정하게 되는 큰 요인은 무엇인가? |
만성적인 피로, 근무시간 외의 시간활용의 어려움, 시간대가 맞지 않아 발생하는 가정생활의 어려움 등은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와 삶의 질을 떨어 뜨리고, 이는 교대 근무가 아닌 다른 직장으로 옮기고자 하는 이직의도의 중요한 요인이 된다
교대 근무 간호사들은 비교대 근무 간호사들에 비하여 주관적인 피로감 호소가 많으 며, 주간 근무가 아닌 저녁 근무 시에는 가족관계 및 사회생활에 제한이 따르며, 야간 근무 시에는 수면시간의 감소와 생리적 불균형을 호소하게 된다[2]. 이러한 만성적인 피로, 근무시간 외의 시간활용의 어려움, 시간대가 맞지 않아 발생하는 가정생활의 어려움 등은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와 삶의 질을 떨어 뜨리고, 이는 교대 근무가 아닌 다른 직장으로 옮기고자 하는 이직의도의 중요한 요인이 된다[3]. 교대 근무 간호사들이 근무시간과 관련되어 호소하는 고통은 단순히 개인의 문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간호업무와 연결되어 환자안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
교대 근무 | 간호사의 교대 근무는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
입원 환자를 담당 하는 부서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에게 당연시되어 시행되고 있는 근무제도이지만, 신체 및 일주기 리듬에 역행하므로 간호사들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병원은 24시간 연속적으로 의료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는 곳으로, 간호사들은 불가피하게 전일제 연속형의 교대 근무 형태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교대 근무는 입원 환자를 담당 하는 부서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에게 당연시되어 시행되고 있는 근무제도이지만, 신체 및 일주기 리듬에 역행하므로 간호사들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1]. 교대 근무 간호사들은 비교대 근무 간호사들에 비하여 주관적인 피로감 호소가 많으 며, 주간 근무가 아닌 저녁 근무 시에는 가족관계 및 사회생활에 제한이 따르며, 야간 근무 시에는 수면시간의 감소와 생리적 불균형을 호소하게 된다[2].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