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이트래커를 이용한 모니터 글자 색상에 따른 가독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f Legibility by Monitor Letter Color with an Eye Tracker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19 no.2 = no.55, 2014년, pp.279 - 284  

김하림 (건양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수현 (건양대학교 안경광학과) ,  신동민 (건양대학교 안경광학과) ,  정희영 (건양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용길 (다비치 옵티컬 체인 스토어) ,  김태홍 (건양대학교 안경광학과) ,  서재명 (광양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정주현 (건양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모니터 글자 색상에 따른 가독성을 측정하여, 모니터와 전자미디어 사용에서 안정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방법: 색각이상이 없으며 최대교정시력 1.0 이상의 피검자 50명(평균연령 $22.93{\pm}1.68$)을 대상으로 읽기속도 검사를 163개 단어 중 123개 이상의 단어를 읽은 피검자를 선정하였다. 모니터는 배경색을 white로 통일하였으며, 글자 색상은 black, blue, red, yellow 4가지 색상으로 가독성을 측정하였다. 결과: 글자 색상 Black, Blue, Red, Yellow인 경우 평균가독시간은 각각 41.89초, 42.89초, 45.32초, 56.28초로 측정되었다. 독서오류에서는 Black 1.94개, Blue 2.74개, Red 3.36개, Yellow 5.14개로 측정되었다. 평균고정시간에서는 Black 0.25초, Blue 0.26초, Red 0.27초, Yellow 0.32초로 측정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가독성을 평가하는 항목인 가독시간, 독서오류, 평균고정시간에서 모두 Black, Blue, Red, Yellow순으로 가독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ill be a basic research providing data which can reduce eye strain using monitor and electric media by measuring legibility of text color on monitor. Methods: Total experimental subjects who don't have color anomaly and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was over 1.0 were 50 and thei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5,16,17] 따라서 본 연구는 배경색을 white로 통일한 상태에서 4가지 글자 색상(black, blue, red, yellow)을 변수로 가독성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모니터 글자 색상에 따른 가독성을 측정하여, 모니터와 전자미디어 사용에서 안정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 연구가 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독성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가독성은 크게 가독 용이도(readability)와 식별성(legibility)으 로 나눌 수 있는데, 전자는 많은 양의 텍스트가 얼마나 쉽게 그리고 빨리 읽힐 수 있는가, 후자는 판독성, 읽힘성, 혹은 식별성으로 짧은 양의 텍스트가 얼마나 쉽게 파독되고 인식되느냐를 의미하는 것으로 개념상 차이가 있다. [4]가독성(legibility)이란, 글자나 문자에 있어서 읽기 쉽고 어려운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며 가독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은 글자체, 배경색이나 글자색, 시야거리, 조도 등과 같이 다양한 요인이 존재한다. [5] 가독성은 독서 속도와 문장에 대한 이해도 등 수행도 테스트를 통해 평가할 수 있다.
가독성은 크게 어떻게 나뉘는가? 가독성은 글자가 잘 읽히는 정도에 대한 개념이다. 가독성은 크게 가독 용이도(readability)와 식별성(legibility)으 로 나눌 수 있는데, 전자는 많은 양의 텍스트가 얼마나 쉽게 그리고 빨리 읽힐 수 있는가, 후자는 판독성, 읽힘성, 혹은 식별성으로 짧은 양의 텍스트가 얼마나 쉽게 파독되고 인식되느냐를 의미하는 것으로 개념상 차이가 있다. [4]가독성(legibility)이란, 글자나 문자에 있어서 읽기 쉽고 어려운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며 가독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은 글자체, 배경색이나 글자색, 시야거리, 조도 등과 같이 다양한 요인이 존재한다.
출판과 영상매체의 활용이 증대되면서 가독성에 대한 연구의 범위가 확대되어 가고 있는데 이로 인해 어떤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는가? [7] 그러나 신문이나 책 등의 출판과 영상매체의 활용이 증대되면서 가독성에 대한 연구의 범위도 확대되었다. 신문이나 잡지 또는 라벨 등의 인쇄본 문장을 위한 글자체에 대한 연구 [8] 와 영어의 대소문자에 대한 연구 [9] 글자와 바탕색에 관한 연구, [10] 글자여백에 관한 연구, [11] 글자 획의 굵기와 글자간격, [12] 줄길이에 관한 연구, [13] 줄 간격에 관한 연구 [14] 등 다양한 글자 디자인 요소와 가독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시행되어 왔으며, 최근 인터넷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컴퓨터 화면이나 웹사이트 등의 가독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15,16,17] 따라서 본 연구는 배경색을 white로 통일한 상태에서 4가지 글자 색상(black, blue, red, yellow) 을 변수로 가독성을 측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Lee TH, Kwon OS, Park TY, Ha YH. Hue Shift Model and Hue Correction in High Luminance Display.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2007;44(4):60-69. 

  2. Seo JY, Kim JW, Cho HC. Human-Friendly Intelligent Hue Control System for Display Unit.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2007;17(1):13-18. 

  3. Baek YC, Kwon JU. A Study on the sensible communication of text and background colors in the web pages. J. Computer Software & Media Tech. 2004(3):1-11. 

  4. Won YH. A Study on Editorial Design of Newspaper. study of design. 2014;15:1-15. 

  5. Sanders M. McCormick, E. Human Factors in Engineering and Design, 7st Ed. McGraw Hill. 1993;3-20. 

  6. Mills CB, Weldon LJ. Reading text from computer screens. ACM Computing Surveys (CSUR). 1987;19(4):329-357. 

  7. Shen E. An analysis of eye movements in the reading of Chinese.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1927;10(2):158-183. 

  8. Bell TP. Beyond visual communication technology. International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1991;52:9-12. 

  9. Haley A. All caps: A typographic oxymoron. Upper and Lower Case. 1991;18(3):14-15. 

  10. Garcia ML, Caldera CI. The effect of color and typeface on the readability of on-line text. 1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s and Industrial Engineering. 1996;31(1-2):519-524. 

  11. Strong EK. Values of white space in advertising.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26;10(March):107-116. 

  12. Smither JA, Braun CC. Readability of prescription drug labels by older and younger adult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in Medical Settings. 1994;1(2):149-159. 

  13. Tinker MA. The legibility and eye-movement in reading. Psychological Bulletin. 1927;24(11):621-639. 

  14. Paterson DG, Tinker, M. A. Influence of leading upon readability of newspaper typ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47;31(2):160-163. 

  15. Duchnicky RL, Kolers PA. Readability of text scrolled on visual display terminals as a function of window size. Human Factors. 1983;25:683-692. 

  16. Dyson MC, Kipping GJ. The effects of line length and method of movement on patterns of reading from screen. Visible Language. 1998;32:150-181. 

  17. Kim SO. Influential Factors on Text Readability of Selfguided Interpretive Signs.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2005;94(6):362-369. 

  18. Bernard, Michael, Chia Hui Liao, Melissa Mills. The effects of font type and size on the legibility and reading time of online text by older adults. CHI'01 Extended Abstracts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ACM, 2001;2:175-176. 

  19. McConkie GW, Rayner K. The span of the effective stimulus during a fixation in reading. Perception & Psychophysics. 1975;17(6):578-586. 

  20. An SH, An GS. Influence of Korean Chracters' Font and Their Size on Legibility in PDA User Interface. Review of Industry and Management. 2005;18(1):49-70. 

  21. McConkie GW, Rayner K. The span of the effective stimulus during a fixation in reading. Perception & Psychophysics. 1975;17(6):578-586. 

  22. Rea LM, Parker RA. Designing &Conducting Survey Research A Comprehensive Guide. 3rd Ed. San Francisco. Jossey-Bass. 2005;215-220. 

  23. Shieh K, Lin C. Effects of screen type, ambient illumination, and color combination on vdt visual performance and subjective prefer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2000;26(5):527-536. 

  24. Legge GE, Rubin GS, Luebker A. Psychophysics of reading. V. The role of contrast in normal vision. Vision Research. 1987;27(7):1165-1171. 

  25. Hill AL, Scharff LV. Legibility of computer displays with styles, and font types. Proceedings of the Eleventh National Conference on Undergraduate Research. 1997;(2)724-746. 

  26. Hall RH, Hanna P. The Impact of Web Page Text-Background Color Combinations on Readability, Retention, Aesthetics, and Behavioral Intention. Behaviour & Information Technology. 2004;23(3):183-1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