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의 이용 특성과 예측 인자: 한국의료패널 2009년 데이터를 중심으로
Predictors of Emergency Medical Transports Use Based on 2009 Korea Health Panel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28 no.3, 2014년, pp.80 - 86  

강경희 (가천대학교 응급구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2013)의 한국의료패널 2009년 데이터를 이용해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의 이용과 관련된 사회경제적 임상적 특성을 조사하고, 예측 인자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119 구급차, 민간 구급차 등 응급환자 이송 수단을 이용한 경우가 자가용, 택시, 도보 등 응급환자 이송 수단을 이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많았다. 둘째, 개인 및 가구 특성 변수 중 연령, 교육 수준, 세대 구성, 주거 형태, 월 평균 가구 소득, 가구주와의 관계 등에서, 응급 상황 특성 변수 중 의료 보장 형태, 장애 유무, 만성질환 유무, 응급실 방문 이유, 응급실 이용 후 조치 등에서 응급환자 이송 수단을 이용한 경우와 이용하지 않은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개인 및 가구 특성 변수 중에서는 연령과 월 평균 가구 소득, 응급 상황 특성 변수 중에서는 장애 유무, 응급실 방문 이유, 응급실 이용 후 조치 등이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의 이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예측 인자로 나타났다. 따라서 병원 전 응급환자 이송 단계에서 응급 처치의 적절성 제고와 함께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의 이용 특성과 예측 인자를 감안한 효과적 대응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sed on 2009 Korea Health Panel, this study investigated socio-econom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emergency medical transport use, and analyzed a simple predictive model of emergency medical transport use. Analysis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mergency medical tr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한국의료패널 2009년 데이터(13)를 이용해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의 이용 특성과 예측 인자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응급의료기관(응급의료의 공급자)이 아닌 응급환자(응급의료의 수요자)의 관점에서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를 분석해봄으로써 신속하고 안전한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의 제공과 함께 의료기관의 응급실 과밀화 해소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둘째, 응급실 이용을 중심으로 조사된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와 관련된 항목, 예를 들면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로 119 구급차를 선택한 이유 또는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의 만족도 등이 분석되지 못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료패널 2009년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일개 지역이나 병원을 대상으로 조사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편의성(bias)을 피하고자 하였으며, 더욱이 그동안 응급실 중심의 내원 환자 분석에서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의 관점으로 전환하여 분석하고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3 Statistical Yearbook of 119 Emergency Safety Service" (2013). 

  2. S. W. Park, B. K. Lee, H. H. Ryu, K. W. Jeung and T. Heo, "Out-of-Jurisdiction Transport of Patients by the 119 Rescue Group", J. Korean Soc. Emerg. Med., Vol. 21, No. 5, pp. 531-538 (2010). 

  3. S. H. O, K. C. You, S. H. Park, M. S. Kang, J. H. Kim, G. H. Kang, M. E. Ahn, W. J. Park, et al., "An Analysis of Prehospital Care by 119 Rescue Services", J. Korean Soc. Emerg. Med., Vol. 17, No. 2, pp. 99-106 (2006). 

  4. J. H. Yoo, E. K. Eo, Y. J. Kim and H. S. Song, "Educational Effect on Prehospital Personnel for Prehospital Stroke Management", J. Korean Soc. Emerg. Med., Vol. 13, No. 1, pp. 23-30 (2002). 

  5. J. S. Jeong, K. J. Hong, S. D. Shin, G. J. Suh and K. J. Song, "Evaluation of the Appropriateness of Prehospital Emergency Care by 119 Rescue Servic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J. Korean Soc. Emerg. Med., Vol. 19, No. 3, pp. 233-244 (2008). 

  6. S. J. Lee, S. D. Shin, C. B. Park and K. J. Song, "Effects of using Prehospital Care by 119 Rescue Services on Outcome of ST-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Patients", J. Korean Soc. Emerg. Med., Vol. 22, No. 1, pp. 16-21 (2011). 

  7. H. M. Song and S. G. Roh, "A Research of Prehospital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 for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6, No. 3, pp. 14-20 (2012). 

  8. H. A. Bae, J. Y. Ryu, E. K. Eo and K. Y. Jung, "Study of the Appropriateness of 119 Rescue Usage", J. Korean Soc. Emerg. Med., Vol. 15, No. 1, pp. 36-44 (2004). 

  9. K. Kang, "Satisfaction Gaps among Physicians, Nurses, and Patient Family in the Emergency Department",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Vol. 23, No. 2, pp. 145-151 (2013). 

  10. I. C. Park, K. R. Lee and H. S. Lee, "The Severity of Emergency Patient via Ambulance", J. Korean Soc. Emerg. Med., Vol. 7, No. 1, pp. 104-111 (1996). 

  11. Y. K. Kim, J. H. Ryoo, W. S. Moon, B. J. Chun, T. Heo and Y. I. Min, "An Analysis of the Patient Transported via 119 system", J. Korean Soc. Emerg. Med., Vol. 11, No. 2, pp. 190-195 (2000). 

  12. J. C. Lee, K. H. Kim, H. N. Kim and Y. H. Park, "Patient Satisfaction with Emergency Medical Services in Korea: What Matters Most?", J. Korean Soc. Emerg. Med., Vol. 22, No. 4, pp. 299-308 (2011). 

  13.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Korea Health Panel 2009 Data, Retrieved Dec. 6, 2013, from http://www.khp.re.kr/. (2013). 

  14.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09 Statistical Yearbook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2010). 

  15.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12 Statistical Yearbook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2013). 

  16. E. W. Nawar, R. W. Niska and J. Xu, National Hospital Ambulatory Medical Care Survey: 2005 Emergency Department Summary. In Vital and Health Statistics. Hyattsville, MD: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Center for Health and Statistics,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7). 

  17. P. J. Peacock, J. L. Peacock, C. R. Victor and C. Chazot, "Changes in the Emergency Workload of the London Ambulance Service between 1989 and 1999", Emerg, Med, J,, Vol. 22, No. 1, 56-59 (2005). 

  18. British Columbia Ambulance Service, 2011/2012 BC Emergency and Health Services Commission Annual Report, (2012). Retrieved Feb. 20, 2014, from http:// www.bcas.ca/download/2012/08/annual-report-11-12.pdf. 

  19. Queensland Government, Queensland Ambulance Audit Report 2007. (2007). Retrieved Feb. 20, 2014, from http://www.emergency.qld.gov.au/publications/pdf/Final-Report.pdf. 

  20. J. E. Svenson, "Patterns of Use of Emergency Medical Transport: A Population-based Study", The America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Vol. 19, No. 2, pp. 130-134 (2000). 

  21. J. P. Ruger, C. J. Richter and L. M. Lewis, "Clinical and Economic Factors Associated with Ambulance Use to the Emergency Department", Acad. Emerg. Med., Vol. 13, No. 8, pp. 879-885 (2006). 

  22. G. S. Toloo, G. J. FitzGerald, P. J. Aitken, J. Y. S. Ting, K. McKenzie, J. Rego and E. Enraght-Moony, "Ambulance Use Is Associated With Higher Self-rated Illness Seriousness: User Attitudes and Perceptions", Academic Emergency Medicine, Vol. 20, No. 6, pp. 576-583 (2013). 

  23. J. A. Lowthian, P. A. Cameron, J. U. Stoelwinder, A. Curtis, A. Currell, M. W. Cooke and J. J. McNeil, "Increasing Utilisation of Emergency Ambulances," Australian Health Review, Vol. 35, No. 1, pp. 63-69 (2011). 

  24. T. F. Platts-Mills, B. Leacock, J. G. Cabaas, F. S. Shofer and S. A. McLean, "Emergency Medical Services Use by the Elderly: Analysis of a State Database", Prehospital Emergency Care, Vol. 14, No. 3, pp. 329-333 (2010). 

  25. M. K. Kim, "Changes in Household Composition, Income Inequality, and Policy Implications", Issue and Focus, 214 (2013-44),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 

  26. J. Y. Jung and H. H. Hwang, "A Study of the Revitalization of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s for a Aged Society- Based on Possible Solution to Improve Early Response System for Geniatric Emergency Patients",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2, No. 5, pp. 99-104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