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형방패독산(荊防敗毒散)이 DNFB로 유발된 생쥐의 알레르기접촉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yeongbangpaedok-san (HBPDS) on Allergic Contact Dermatitis (ACD) induced by DNFB in Mice 원문보기

JSCM :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26 no.2, 2014년, pp.180 - 193  

박근희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의학과) ,  임태형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의학과) ,  박혜선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effects of HBPDS on allergic contact dermatitis (ACD) induced by 2,4-Dinitro-1-fluorobenzene (DNFB) in mice. Methods In this experiment, effects of HBPDS on body weights, skin thicknesses, skin weights, histopathological changes, clinical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荊防敗毒散 (HBPDS) 열수 추출물이 DNFB에 의하여 유발된 알레르기접촉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및 비만 세포주의 탈과립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에서는 荊防敗毒散의 항 피부염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생쥐에 2,4-Dinitro-1-fluorobenzene (DNFB)을 이용하여 알레르기접촉피부염을 유발하고荊防敗毒散을 구강 투여하여 생쥐의 체중, 병소에 발생하는 피부염의 정도, 홍반 지수, 멜라닌 지수, 피부 조직의 조직병리학적 변화 등을 관찰하였다. 또한荊防敗毒散의 작용 기전을 살펴보기 위하여 in vitro 에서 비만세포주 (mast cell)에 대한 세포 독성 및 β-hexosaminidase와 histamine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 또한荊防敗毒散의 작용 기전을 살펴보기 위하여 in vitro 에서 비만세포주 (mast cell)에 대한 세포 독성 및 β-hexosaminidase와 histamine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위 실험 결과 荊防敗毒散이 알레르기접촉피부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有意한 결과를 얻었으므로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알레르기접촉피부염의 경우 병변이 국소적이고 홍반, 구진, 수포 등의 습진 형태로 나타나며 외부 자극이 있어야만 질병이 발현하므로1 少陽人의 경우 外邪에 의해 유발되는 脾受寒表寒病 傷寒 범주로 인식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하였고 성질 상 ‘熱多寒少之病’인 것으로 이해하였다. 이에 알레르기접촉피부염의 제반 증상 완화에 降表陰 淸裏熱하는 荊防敗毒散이 효과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여 본 연구를 기획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荊防敗毒散 (HBPDS) 열수 추출물이 DNFB에 의하여 유발된 알레르기접촉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및 비만 세포주의 탈과립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본 연구의 결론은? 1. 알레르기접촉피부염 유발에 의하여 발생한 피부의 무게 증가와 두께 증가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2. 피부 조직에서 발생한 스폰지 조직의 비후와 부종 및 면역세포 침윤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3. 알레르기접촉피부염 유발에 의하여 발생한 홍반, 낙설, 각화 등의 피부 증상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4. 알레르기접촉피부염 유발에 의하여 증가된 홍반지수와 멜라닌 지수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5. Th1 반응의 대표적인 cytokine인 TNF-alpha와 IFN-gamma의 혈액 내 함량을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6. 400 ㎍/㎖ 이상에서 비만 세포주의 β-hexosaminidase 유리를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시켰다. 7. 200 ㎍/㎖ 이상에서 비만 세포주의 histamine 유리를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시켰다.
접촉피부염이란? 접촉피부염이란 외부 물질과의 접촉에서 발생하는 피부의 염증반응으로 발생 기전에 따라 자극접촉피부염 (Irritant contact dermatitis, ICD)과 알레르기접촉피부염 (Allergic contact dermatitis, ACD)으로 세분된다. 이 중 알레르기접촉피부염은 제 Ⅳ형 과민반응에 의한 세포매개 면역반응으로 항원에 대한 감작이 선행되어야 하는 알레르기 질환으로 임상상 홍반, 구진, 수포를 동반한 습진의 형태로 나타나는데1 한방에서는 濕瘡의 범위에 속한다2.
접촉피부염은 발생 기전에 따라 어떻게 세분되는가? 접촉피부염이란 외부 물질과의 접촉에서 발생하는 피부의 염증반응으로 발생 기전에 따라 자극접촉피부염 (Irritant contact dermatitis, ICD)과 알레르기접촉피부염 (Allergic contact dermatitis, ACD)으로 세분된다. 이 중 알레르기접촉피부염은 제 Ⅳ형 과민반응에 의한 세포매개 면역반응으로 항원에 대한 감작이 선행되어야 하는 알레르기 질환으로 임상상 홍반, 구진, 수포를 동반한 습진의 형태로 나타나는데1 한방에서는 濕瘡의 범위에 속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Jung JY, Han KH. Allergic Contant Dermatitis in Korea. Seoul:MD world publisher. 2008:20-26, 28-34, 264-275. (Korean) 

  2. National federation of department of dermatologic surgery, colleges of oriental medicine. Dermatologic surgery. Pusan:Sunwoo publisher. 2007:352-355. (Korean) 

  3. National federation of departmen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eoul:Jipmoondang. 2008:200-201, 253, 391. (Korean) 

  4. Professors of medical college in Korea, New Today's theraphy 2007. Seoul:Daeyoung publisher. 2007: 1130-1131. (Korean) 

  5. Kim SH, Kim YH, Jang HS, Lee JH, Ko BH. A study of Soyangin's Delirious speaking bad disease in exterior cold disease induced from spleen affected by cold. J Sasang Constitut Med. 2008;20(3):14-20. (Korean) 

  6. Lee SY, Ahn TW. Effects of Hyeongbangpaedok-san and Dokhwaljihwang-tang that Get Weight, Hematology, Biochemistry Change by Wistar rat's aging. J Sasang Constitut Med. 2005;17(3):91-102. (Korean) 

  7. Min KH, Ahn TW. Anti-Oxidative Effect of Soyangin Hyeongbangpaedok-san Decoction in Kidney and Spleen cells of Aged Rats. J Sasang Constitut Med. 2010;22(1):49-58. (Korean) 

  8. Han DY, Shim KH, Kim JY, Kim DL. A clinical study of the treatment prescribed Hyeongbangpaedok-San for Aspiration Pneumonia concurred in Soyangin with Stroke. J Sasang Constitut Med. 2003;15(2):75-83. (Korean) 

  9. Son MY, Nam SH. Effect of Eucommia ulmoides Extracts on Allergic Contract Dermatitis and Oxidative Damage induced by repeat elicitation of DNCB. J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07;36(12):1517-1522. (Korean) 

  10. Kim SC, Lee JR, Choi KI, Park SJ, Kwon YK, Byun SH. Effect of Lonicerae Flos-Skin on contact hypersensitivity induced by repeat elicitation of DNCB. J of The Korea Association of Herbology. 2006;21(1): 9-15. (Korean) 

  11. Kim YH, Park YS. Effect of Acanthopanacis cortex water extract on antioxidative activity, lipid profile and epidermal thickness in DNCB-induced Allergic Contact Dermatitis animal model. J of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006;38(5): 668-673. (Korean) 

  12. Son MY. Effect on Onion(Allium cepa L.) extracts on Allergic Contact Dermatitis and oxidative damage induced by repeat elicitation og DNCB. J of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007;12(2): 44-50. (Korean) 

  13. Song JS, Lee JC, Chol JH, Kim JH, Park SY. Effects of Scrophulariae Radix(SR) on Allergic contact Dermatitis(ACD) induced by DNCB in mice. J of The Korean Oriental Ophthalmology & Otorhinolaryngology & Dermatology. 2011;24(3):1-16. (Korean) 

  14. Kim CJ, Kim YB, Koo YH, Nam HJ. The effects of Sophorae Radix and Coptidis Rhizoma-Iontophoresis in Allergic Contact Dermatitis. J of The Korean Oriental Ophthalmology & Otorhinolaryngology & Dermatology. 2005;18(1):199-220. (Korean) 

  15. Shin KS, Son JS, Kim DE, Jeon WJ, Jung SH, Shin KJ, et al. Effect of Rhemanniae Radix extract on Allergic Contact Dermatitis on mice induced by DNCB. J of The Korean Academy of Oriental Medicine Prescription. 2000;8(1):257-279. (Korean) 

  16. Kim YH, Park YS. Effect of Scutellaria baicalensis water extract on antioxidative activity and epidermal thickness in DNCB-induced Allergic Contact Dermatitis animal model. J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06;35(5):543-548. (Korean) 

  17. Hwang SY, Lee KY, Lee SH, Kim HJ. The ameliorative effects of Gagam-Gongjin-dan(WSY-1075) in contact dermatitis-induced animal model. J of The Korean Academy of Oriental Medicine Prescription. 2013;21(1):131-141. (Korean) 

  18. Park EH, Yoon MY, Kim SB, Kim DH. Effects of GP extract on oxidative stress and contact dermatitis in NC/Nga mice induced by DNCB. Dept. of Physiology, College of Korean Medicine, Daejeon University. 2007;16(2):131-145. (Korean) 

  19. Bae EY, Kim DH. Effect of Geopungjeseupbang on contact dermatitis induced by DNCB.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7;21(6): 1491-1498. (Korean) 

  20. Kim SH, Kim HT. The effects og Gyejijakyakjimo- Tang on the Allergic Contact Dermatitis induced by DNCB. J of The Korean Oriental Ophthalmology & Otorhinolaryngology & Dermatology. 2010;23(1): 8-22. (Korean) 

  21. Ahn JY, Lim IL, Kim JH, Shin MG, Kwon SW, Kim DK, et al. Inhibitory effect of Gamigunggui- Tang on Allergic Contact Dermatitis.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10;24(2): 290-295. (Korean) 

  22. Byun SH, Lee BW, Kim SC. Effect of Samyotongan-Tang on Contact hypersensitivity induced by repeat elicitation of DNCB. J of The Korean Academy Of Oriental Medicine Prescription. 2005;13(2):59-69. (Korean) 

  23. Nam BS, Kim YB. The effects of Sanpunggosam-Hwan on the Allergic Contact Dermatitis. J of The Korean Oriental Ophthalmology & Otorhinolaryngology & Dermatology. 2005;18(2):10-27. (Korean) 

  24. Park SJ, Lee SG, Baek JH, Byun SH, Kim SC. Effect og Sopung-San on contact hypersensitivity induced by repeat elicitation of DNCB.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6;20(3):623-628. (Korean) 

  25. Kim NH, Kim KJ. The anti-inflammaory effects of Woobanghaegi-Tang on the Allergic Contact Dermatitis. J of The Korean Oriental Ophthalmology & Otorhinolaryngology & Dermatology. 2006;19(2): 59-70. (Korean) 

  26. Kim BA, Yang JC, Park CI. Effect of Hwangryunhaedok-Tang extracts on DNCB-induced Allergic Contact Dermatitis. J of The Korea Association of Herbology. 2009;24(2):1-5. (Korean) 

  27. Kim JJ, Kim HT. The effects of Naetakchunkeum-San on the Allergic Contact Dermatitis induced by DNCB. J of The Korean Oriental Ophthalmology & Otorhinolaryngology & Dermatology. 2009;22(1): 46-61. (Korean) 

  28. Kim CH, Kim KJ. The effects of Yanghyulsamul-Tang-Gamibang to Allergic Contact Dermatitis. J of The Korean Oriental Ophthalmology & Otorhinolaryngology & Dermatology. 2005;18(1):13-26. (Korean) 

  29. Kim YB, Yoon HS, Park OS, Kim HJ, KIM KS. Effects of Chogam-Tang on rat skin induced the Allergic Contact Dermatitis. J of The Korean Oriental Ophthalmology & Otorhinolaryngology & Dermatology. 2005;18(3):44-54. (Korean) 

  30. Jo SW. Effects of Yangkyuksanhwa-Tang on the Allergic Contact Dermatitis. J of Korean Medical Institute of Dermatology & Aesthetics. 2005;1(1): 16-40. (Korean) 

  31. Kim MS, Park SS. Effects og Yuldahanso-Tang on rat skin occurred the Allergic Contact Dermatitis. J Sasang Constitut Med. 2002;14(3):97-113. (Korean) 

  32. Hopkins JE, Naisbitt DJ, Kitteringham NR, Dearman RJ, Kimber I, Park BK. Selective haptenation of cellular or extracellular protein by chemical allergens: association with cytokine polarization. Chem Res Toxicol. 2005;18(2):375-381. 

  33. Saint-Mezard P, Rosieres A, Krasteva M, Berard F, Dubois B, Kaiserlian D, et al. Allergic contact dermatitis. Eur J Dermatol. 2004;14(5):284-295. 

  34. Korean Dermatological Association. Dermatology. Seoul:Ryomoongak. 2008:166-169. (Korean) 

  35. Hayashi M, Higashi K, Kato H, Kaneko H. Assessment of Preferential Th1 or Th2 Induction by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Using a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Comparison of Two Mouse Strains, C57BL/6 and Balb/c. Toxicol. Appl. Pharmacol. 2001;177:38-45. 

  36. Thomas J. Kindt, Richard A. Goldsby, Barbara A. Osborne. Kuby immunology. New York:W. H. Freeman and Company. 2006:8-16. 

  37. Lee SY, Kang KH, Lee HE, Yoo SA, Kim HB, Ryu JH.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difference of anti-allergic effects based on different form of Seunggal-Tang. J of Korean Oriental Pediatrics. 2008;22(1): 103-111. (Korean) 

  38. Castells M. Mast cell mediators in allergic inflammation and mastocytosis. Immunol Allergy Clin North Am. 2006;26(3):465-48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