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건강다이어트 역량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Health Dieting Competency Scale for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6 no.3, 2014년, pp.300 - 309  

김정수 (부경대학교 간호학과) ,  이유미 (국립암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develop a Health Dieting Competency (HDC) scale to assess self-rated health dieting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scale was developed as follows: items generated, and test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Items were develop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revie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학생의 건강다이어트 역량은 건강증진의 총체적인 내용을 포함하기 위해 이론적 정의와 건강증진에 대한 구성요소를 확인하기 위해 기존 문헌을 고찰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 적용된 이론적 기틀은 개인이 자신의 역할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동기를 유지하는 자기효율화 과정인 셀프리더십(Neck & Manz, 2010)과 동기적 자기효능감과 의지적 자기효능감으로 구성된 자기효능감(Ochsner, Scholz, & Hornung, 2013)이었다.
  • 각종 다이어트 방법이 범람하고 있는 현시대적 맥락에서 사회구성원들이 건강의 가치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건강다이어트를 실천할 수 있도록 건강증진의 개념적 속성이 포함된 건강다이어트를 위한 역량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건강다이어트 개념은 건강생활실천이 건강증진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기에(World Health Organization, 1986), 건강증진을 내포하는 건강생활실천의 다이어트이며, 건강다이어트 역량은 건강증진의 실천의지를 다이어트 행동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기량으로 정의하고자 하였다.
  • 본 도구는 건강다이어트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실증적 자료를 근거로 한 도구개발로, 부산, 대전, 전주 지역의 임의 표본조사를 통하여 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여 대학생의 건강다이어트 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도구의 개발은 대학생 스스로 건강증진활동을 통해 다이어트를 지속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자가 측정으로 자신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건강행동으로의 이행을 촉진할 수 있는 매개체가 될 수 있도록 의도하였다. 또한 본 도구를 활용하여 대학생의 건강증진을 위한 효과 측정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며, 건강행동변화의 평가를 위한 사전 사후 검사로서 역할을 기대하는 바이다.
  • 본 연구는 건강다이어트 역량의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이는 선행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주된 행위변화는 동기에서 비롯된 자기효능감이기 때문에, 건강이탈행위의 동기가 적을수록 건강행위의 실천력이 높아질 수 있음을 의미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의 건강이탈행위의 최종문항은 외식의 선호도와 음주에 의한 대인관계의 유지 정도였으며, 이는 사회적 관계에서 동기적 자아효능감에 따라 건강을 이탈하는 양상을 측정하고자 한 것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상자들이 실제 다이어트 상황에서 이탈될 수 있는 건강이탈양상을 고려하여 동기적 자기효능감을 구성한 것에 차이가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건강다이어트 역량 자가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 사용된 이론과 구성개념을 요약한다면, 대학생의 건강다이어트 역량은 건강자기효능감, 건강인식(의지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받아 건강이탈행위(동기적 자기효능감)를 통제할수록 목표지향성과 건강지지력(셀프리더십)의 건강생활실천력이 향상되어 건강다이어트의 행위변화를 유발하는 역량으로 통합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도구는 대학생의 경험적 자료에서 도출된 개념을 사회심리적 척도인 자기효능감과 셀프리더십의 이론과 더불어 건강다이어트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으로 구성하여 실증적 이론적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기효능감과 셀프리더십의 이론적 토대에 기초하여 대학생의 건강다이어트 경험에서 추출된 개념과 혼합하여 앞서 정의한 건강증진의 실천의지를 다이어트 행위로 반영한 건강다이어트 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남자대학생들에게 체중과 외모 관리는 어떤 인식으로 다가오는가? 그러나 여대생들의 자기관리는 동적인 활동양상의 변화보다는 단식 등 음식조절을 주된 방법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영양불균형과 체지방이 증가된 ‘마른비만’이 건강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Chang, Kim, & Shin, 2009; Kim & Hong, 2009). 한편, 남자대학생들에게 체중과 외모 관리는 사회적 요인과 관련성이 높아 취업 및 대인관계의 성패를 좌우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Kim, 2013).
여대생들의 자기관리가 마른비만의 건강문제로 대두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여대생들은 외모중시 풍토에 영향을 받아, 체중감량과 같은 자기관리에 치중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Chin & Chang, 2005). 그러나 여대생들의 자기관리는 동적인 활동양상의 변화보다는 단식 등 음식조절을 주된 방법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영양불균형과 체지방이 증가된 ‘마른비만’이 건강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Chang, Kim, & Shin, 2009; Kim & Hong, 2009). 한편, 남자대학생들에게 체중과 외모 관리는 사회적 요인과 관련성이 높아 취업 및 대인관계의 성패를 좌우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Kim, 2013).
건강생활실천을 통한 체중조절인 건강다이어트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보고에서, 현대사회의 구성원들은 체형의 부정확한 인식 및 건강염려 인식로 인해 체중감량을 위한 건강행위를 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하지만, 다이어트는 일상생활의 건강생활실천이 병행될 때 체중감량 뿐만 아니라 총체적인 건강상태의 개선이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건강다이어트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Kim, 2012b). 이에 건강생활실천을 통한 체중조절인 건강다이어트의 일상화가 현대사회인의 건강관리방법의 하나이며 건강증진의 실천적 속성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Kandari, F., Vidal, V. L., & Thomas, D. (2008). Health-promoting lifestyle and body mass index among college of nursing students in Kuwait: A correlational study. Nursing and Health Sciences, 10, 43-50. http://dx.doi.org/10.1111/j.1442-2018.2007.00370.x 

  2.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 Prentice-Hall. 

  3. Brunt, A., Rhee, Y., & Zhong, L. (2008). Differences in dietary patterns among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56 , 629-634. http://dx.doi.org/10.3200/JACH.56.6.629-634 

  4. Byeon, Y. S., & Oak, J. W. (2012). Analysis of family function, self-efficacy and self-leadership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s of Nursing, 19, 511-518. http://dx.doi.org/10.7739/jkafn.2012.19.4.511 

  5. Chang, E. Y., Kim, J. S., & Shin, S. J. (2009). Health promotion lifestyle according to self-perception of obesity and objective status measured by 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 in college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 693-699. http://dx.doi.org/10.4040/jkan.2009.39.5.693 

  6. Chin, J. H., & Chang, K. J. (2005). College student's attitude toward body weight control, health-related lifestyle and dietary behavior by self-perception on body image and obesity index.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4, 1559-1565. 

  7. Craig, C. L., Marshall, A. L., Sjstrm, M., Bauman, A. E., Booth, M. L., Ainsworth, B. E., et al. (2003).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12-country reliability and validity.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35, 1381-1395. http://dx.doi.org/10.1249/01.MMS.0000078924.61453.FB 

  8. Kang, H. (2013). A guide on the use of factor analysis in the assessment of construct valid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 587-594. http://dx.doi.org/10.4040/jkan.2013.43.5.587 

  9. Kim, H. J., & Hong, C. M. (2009). A grounded approach on continuous weight control process of women in normal body weight. Qualitative Research, 10, 28-38. 

  10. Kim, H. K. (2006).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using Pender's Model.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2, 132-141. 

  11. Kim, J. S. (2012a). Concept analysis of health equilibrium in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 428-439. http://dx.doi.org/10.5932/JKPHN.2012.26.3.428 

  12. Kim, J. S. (2012b). The proces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s in healthy diet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3, 244-255. 

  13. Kim, J. S. (2013). Ethnographic analysis on health-related behavioral patterns of male college students in a weight-control program.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 , 241-253. http://dx.doi.org/10.5932/JKPHN.2013.27.2.241 

  14. King, P. M. (1994). Health promotion: The emerging frontier in nurs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 209-218. 

  15. Lee, R., Kim, S. H., Lee, K. S., & Seo, M. K. (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elf-efficacy scale for self-management of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 385-395. http://dx.doi.org/10.4040/jkan.2012.42.30385 

  16.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2). 2011 National health statistics (ISSN 2005-6362). Seoul: Author. 

  17. Neck, C. P., & Manz, C. C. (2010). Mastering self-leadership: Empowering yourself for personal excellence (5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18. Nunnally, J. C. (1978). Psychometrics theory (2nd ed.). New York: Mcgraw-Hill. 

  19. Ochsner, S., Scholz, U., & Hornung, R. (2013). Testing phase-specific self-efficacy beliefs in the context of dietary behaviour change. Applied Psychology Health and Well-Being, 5 , 99-117. http://dx.doi.org/10.1111/j.1758-0854.2012.01079.x 

  20. Oh, J. Y., Yang, Y. J., Kim, B. S., & Kang, J. H. (2007).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short for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8, 532-541. 

  21. Pender, N. J. (1996).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3rd ed.). Stanford: Appleton & Lange. 

  22. Seo, H. M., & Hah, Y. S. (2004).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1288-1297. 

  23. Stich, C., Knauper, B., & Tint, A. (2009). A scenario-based dieting self-efficacy scale: The DIET-SE. Assessment, 16(1), 16-30. http://dx.doi.org/10.1177/1073191108322000 

  24. Tabachnick, B. G., & Fidell, L. S. (2007).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5th ed.). Boston: Pearson. 

  25. Teng, H. L., Yen, M., & Fetzer, S. (2010).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II: Chinese version short form.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6(8), 1864-1873.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10.05353.x 

  26.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 (1995).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College of Nursing,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Omaha. 

  27. Woo, H. J. (2008). Exploring the structure relationships among factors influencing television audiences' diet intention.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22(6), 290-326. 

  28. World Health Organization. (1986). Ottawa charter of health promotion. Geneva: Author. 

  29. Yang, J. H., Kim, N. H., & Lee, S. O. (201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 academic self-efficacy, self-esteem, and major satisfaction of the child educare student teachers. Journal of Public Welfare Administration, 23(1), 47-71. 

  30. Yun, S., Cox, J., & Sims, H. P. (2006). The influence of leader behaviors on follower self-leadership: An application of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Journal of Industrial Relations, 17, 91-1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