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능형 에너지 저장시스템과 ESS 개발을 위한 소재 및 공정 기술
Intelligent Energy Harvesting Power Management and Advanced Energy Storage System 원문보기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27 no.7, 2014년, pp.417 - 427  

허관준 (충북대학교 전자정보대학) ,  김성진 (충북대학교 전자정보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newable energy sources such as solar, wind and hydro provides utilizing renewable power and reduce the using fossil fuels. On the other hand, it is too critical to apply power system due to the intermittent nature of renewable energy sources, the continuous fluctuations of the power load, and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위치에너지, 운동에너지, 화학에너지에 해당되는 에너지 저장방식을 발전 원리로 다시 구분해 보면 대규모 중앙집중형, 소규모 분산형, 전기 화학에너지 방식이 있으며 각각의 저장 원리 및 기능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ESS란? 현재의 부족한 에너지 발전량을 극복하기 위해 유휴전력이 버려지지 않도록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기술인 ESS (energy storage system)가 각광받고 있다. ESS는 유휴전력과 에너지를 저장해 둔 후, 과부하 혹은 비상 시에 전력이 필요한 장소로 전송하여 피크 부하의 분산을 통하여 발전소 건설 및 송전선 설치비용 등 투자비를 절감하고 전력 예비율을 높여 에너지 품질 (quality)과 효율 (efficiency)을 높이는 시스템이다. ESS의 원리는 태양광 장치 혹은 발전소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리튬이온 배터리와 같은 에너지 저장장치에 유휴전력을 저장해 둔 후, 필요한 상황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전력을 제공하는 원리이다.
바이오매스의 단점은? 에너지 발전량의 증가와 더불어 지속 가능 (sustainable)하고 탄소-중립적 (carbon-neutral)인 에너지 자원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기존의 청정 에너지원인 바이오매스 (biomass)는 광합성의 낮은 에너지 효율로 공급이 제한되며, 풍력발전은 에너지 밀도가 너무 낮은 단점이 있다 [5,6].
PHES은 어떠한 방식으로 발전하는가? PHES는 떨어지는 물의 낙차의 위치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시스템이다. 전력 소비가 적은 시간에 높은 곳에 위치한 웅덩이로 물을 끌어올려 저장한 후, 전력 소비가 많은 시간에 이 물을 떨어뜨려 발전하는 방식으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발전 방식이다 [9]. PHES는 대규모 발전시스템의 특성 상 건설지역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지만, 전 세계 전력 생산량의 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N. S. Lewis and D. G. Nocera, Proc. Natl. Acad. Sci. U.S.A., 103, 15729 (2006). 

  2. M. I. Hoffert, K. Caldeira, A. K. Jain, E. F. Haites, L.D.D. Harvey, S. D. Potter, M. E. Schlesinger, S. H. Schneider, R. G. Watts, T.M.L. Wigley, and D. J. Wuebbles, Nature, 395, 881 (1998). 

  3. D. G. Nocera, Daedalus, 135, 112 (2006). 

  4. D. Abbott, Proc. IEEE, 98, 42 (2010). 

  5. D. J. C. MacKay, Sustainable Energys-Without the Hot Air (UIT Cambridge, Cambridge, UK, 2009). 

  6. K. Caralis, A. Rados, and Zervos,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14, 2221 (2010). 

  7. Z. Glasnovic and J. Margeta, Renewable Energy, 34, 1742 (2009). 

  8. P. Denholm, Renewable Energy, 31, 1355 (2006). 

  9. P. Atkins, Physical Chemistry, 6th ed. (Freeman, New York, 1998). 

  10. H. Lund, G. Salgi,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50, 1172 (2009). 

  11. B. Bolund, H. Bernhoff, and M. Leijon, Renewable Sustainable Energy Rev., 11, 235 (2007). 

  12. R. J. Loyd, S. M. Schoenung, T. Nakamura, W. V. Hassenzahl, J. D. Rogers, J. R. Purcell, D. W. Lieurance, and M. A. Hilal, IEEE Trans. Magn., 23, 1323 (1987). 

  13. W. V. Hassenzahl, D. W. Hazelton, B. K. Johnson, P. Komarek, M. Noe, and C. T. Reis, Proc. IEEE, 92, 1655 (2004). 

  14. M. R. Palacin, Chem. Soc. Rev., 38, 2565 (2009). 

  15. P. G. Bruce, B. Scrosati, J. M. Tarascon, Angew. Chem., Int. Ed., 47, 29 (2008). 

  16. R. M. Dell, D. A. J. Rand, Understanding Batteries (Royal Society of Chemistry: Cambridge, UK, 2001). 

  17. S.F.J.J. Flipsen, Power Sources, 162, 927 (2006). 

  18. A. K. Shukla, S. Venugopalan, and B. J. Hariprakash, Power Sources, 100, 125 (2001). 

  19. A. Ritchie and W. J. Howard, Power Sources, 162, 809 (2006). 

  20. J. L. J. Sudworth, Power Sources, 11, 143 (1984). 

  21. Y. C. Lu, H. A. Gasteiger, M. C. Parent, V. Chiloyan, and Y. Shao-Horn, Electrochem. Solid State Lett., 13, A69 (2010). 

  22. C. Chakkaravarthy, A. K. Abdul Waheed, and H.V.K.J. Udupa, Power Sources, 6, 203 (1981). 

  23. M. Armand and J. M. Tarascon, Nature, 451, 652 (2008). 

  24. C. K. Chan, H Peng, G. Liu, K. McIlwrath, and X. F. Zhang, Nature Nanotech., 3, 31 (2007). 

  25. M. A. Reddy and M. Fichtner,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21, 17059 (2011). 

  26. J. R. Bolton and D. O. Hall, Annu. Rev. Energy, 4, 353 (1979). 

  27. N. A. Kaskhedikar, J. Maier, Adv. Mater., 21, 2664 (2009). 

  28. M. H. Liang, B. Luo, and L. J. Zhi, Int. J. Energy Res., 33, 1161 (2009). 

  29. M. Liang and L. Zhi, J. Mater. Chem., 19, 5871 (2009). 

  30. M. Pumera, Chem. Record, 9, 211 (2009). 

  31. Y. Si and E. T. Samulski, Chem. Mater., 20, 6792 (2008). 

  32. I. Mukhopadhyay, N. Hoshino, S. Kawasaki, F. Okino, W. K. Hsu, and H. Touhara, J. Electrochem. Soc., 149, A39 (2002). 

  33. S. Gautier, F. Leroux, E. Frackowiak, A. M. Faugere, J. N. Rouzaud, and F. Beguin, J. Phys. Chem., 105, 5794 (2001). 

  34. X. Wang, Z. Zeng, H. Ahn, and G. Wang, Appl. Phys. Lett., 95, 183103 (2009). 

  35. G. Wang, B. Wang, X. Wang, J. Park, S. Dou, H. Ahn, and K. Kim, J. Mater. Chem., 19, 8378 (2009). 

  36. S. L. Chou, J. L. Wang, M. Choucair, H. K. Liu, J. A. Stride, and S. X. Dou, Electrochem. Commun., 12, 303 (2010). 

  37. E. Yoo, J. Kim , E. Hosono, H. Zhou, T. Kudo, and I. Honma, Nano Lett., 8, 2277 (2008). 

  38. A. V. Murugan, T. Muraliganth, A. Manthiram, Chem. Mater., 21, 5004, (2009). 

  39. D. Wang, J. Li, Z. Yang, Z. Nie, R. Kou, D. Hu, C. Wang, L. V. Saraf, J. Zhang, I. A. Aksay, and J. Liu, ACS Nano, 3, 907 (2009). 

  40. S. M. Paek, E. Yoo, and I. Honma, Nano Lett., 9, 72 (2009). 

  41. S. Yang, G. Cui, S. Pang, Q. Cao, U. Kolb, X. Fang, J. Maier, and K. Mullen, ChemSus Chem., 3, 236 (2010). 

  42. M. D. Stoller, S. Park, Y. Zhu, J. An, and R. S. Ruoff, Nano Lett., 8, 3498 (2008). 

  43. Y. Wang, Z. Shi, Y. Huang, Y. Ma, C. Wang, M. Chen, and Y. Chen, J. Phys. Chem., C113, 13103 (2009). 

  44. Q. Peng, J. S. Lewis, and Paul G. Hoertz, J. T. Glass, and G. N. Parsons, J. Vac. Sci. Technol. A, 30, 010803 (2012). 

  45. R. Shah, N. Mithulananthan, and R. C. Bansal, Appl Energ., 96, 235 (2012). 

  46. X. Meng, X. Q. Yang, and X. Sun, Adv. Mater., 24, 3589 (2012). 

  47. F. Werner, W. Stals, R. Gortzen, B. Veith, R. Brendel, and J. Schmidt, Energy Procedia, 8, 301 (2011). 

  48. E. D. Litta, P. E. Hellstrom, C. Henkel, S. Valerio, A. Hallen, and M. Ostling, J. Electrochem. Soc., 160, D538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