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에서 노르에피네프린 수송체 유전자와 오로스 메칠페니데이트 부작용의 연관성
Association of Norepinephrine Transporter Gene and Side Effects of Osmotic-Release Oral System Methylphenidate in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원문보기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25 no.2, 2014년, pp.82 - 88  

송정은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홍현주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병욱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육기환 (CHA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aim of our study was to investigate association of norepinephrine transporter gene (SLC6A2) polymorphism and side effects of osmotic-release oral system methylphenidate (OROS MPH)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Methods : We recruited drug naive c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7-21) 또한 rs5569, rs17841329, rs192303 등은 메칠페니데이트 치료반응과의 연관성이 보고되었다.22,23) 따라서 메칠페니데이트 부작용 역시 SLC6A2와 연관성이 있을 가능성을 추측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SLC6A2의 SNP 중 유전체 전장 연관성 분석(Genome wide association study)에서ADHD와 연관성이 있다고 제안된 rs378514318)과 메칠페니데이트 반응과의 연관성이 제시된 rs192303,22) 이렇게 2개의 SNP와 OROS MPH의 부작용과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한다.
  • 본 연구는 ADHD 아동에서 SLC6A2와 OROS MPH의 부작용의 연관성을 밝힌 연구이다. 연구 결과, rs3785143, rs192303은 모두 OROS MPH의 부작용 중 ‘짜증’과 연관성이 있었다.
  • 본 연구는 SLC6A2의 SNP 중, rs192303, rs3785143과OROS MPH의 부작용과의 연관성을 밝혔다. ADHD의 병인론과 메칠페니데이트의 작용기전에 있어 노르에피네프린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특히 Barkley’sSide Effect Rating Scale에서 정서와 연관된 척도들은 메칠페니데이트 치료 후에 호전되었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어 이를 뒷받침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DHD의 약물치료로 사용되는 OROS MPH의 부작용은 무엇인가? 9%가 심각한 부작용을 경험하였다.6) 오로스 메칠페니데이트(osmotic-release oral system methylphenidate,OROS MPH)의 비교적 흔한 부작용으로는 식욕부진, 불면, 두통, 복통 등이 있다.7,8) OROS MPH를 복용한 569명의 ADHD 아동을 대상으로 한 국내 다기관 관찰 연구에서도 2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란 무엇인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과잉행동, 충동성, 부주의를 임상적 특징으로 하며, 전 세계 유병률이 5.29%1)로 보고된 소아정신과 질환이다. 메칠페니데이트(methylphenidate)는 ADHD 치료의 첫번째 선택 약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65-75%의 치료반응률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DHD 치료의 첫번째 선택 약물은 무엇인가? 29%1)로 보고된 소아정신과 질환이다. 메칠페니데이트(methylphenidate)는 ADHD 치료의 첫번째 선택 약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65-75%의 치료반응률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이러한 메칠페니데이트의 우수한 치료 효과에도 불구하고 ADHD 치료 약물의 중단, 혹은 비순응은 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Polanczyk G, de Lima MS, Horta BL, Biederman J, Rohde LA. The worldwide prevalence of ADHD: a systematic review and metaregression analysis. Am J Psychiatry 2007;164:942-948. 

  2. Vaughan B, Kratochvil CJ. Pharmacotherapy of pediatric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hild Adolesc Psychiatr Clin N Am 2012;21:941-955. 

  3. Adler LD, Nierenberg AA. Review of medication adherence in children and adults with ADHD. Postgrad Med 2010;122:184-191. 

  4. Toomey SL, Sox CM, Rusinak D, Finkelstein JA. Why do children with ADHD discontinue their medication? Clin Pediatr (Phila) 2012;51:763-769. 

  5. Efron D, Jarman FC, Barker MJ. Child and parent perceptions of stimulant medication treatment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 Paediatr Child Health 1998;34:288-292. 

  6. A 14-month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treatment strategies for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The MTA Cooperative Group. Multimodal Treatment Study of Children with ADHD. Arch Gen Psychiatry 1999;56:1073-1086. 

  7. Wilens TE, McBurnett K, Bukstein O, McGough J, Greenhill L, Lerner M, et al. Multisite controlled study of OROS methylphenidate in the treatment of adolescent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rch Pediatr Adolesc Med 2006;160:82-90. 

  8. Wilens T, Pelham W, Stein M, Conners CK, Abikoff H, Atkins M, et al. ADHD treatment with once-daily OROS methylphenidate: interim 12-month results from a long-term open-label study.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3;42:424-433. 

  9. Kim BS, Park EJ. An observational multi-center study for evaluation of efficacy, safety and parental satisfaction of methylphenidate- OROS in children with ADHD.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5;16:279-285. 

  10. Wilens TE. Effects of methylphenidate on the catecholaminergic system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J Clin Psychopharmacol 2008;28(3 Suppl 2):S46-S53. 

  11. Levy F, Wimalaweera S, Moul C, Brennan J, Dadds MR. Dopamine receptors and the pharmacogenetics of side-effects of stimulant treatment fo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J Child Adolesc Psychopharmacol 2013;23:423-425. 

  12. McGough J, McCracken J, Swanson J, Riddle M, Kollins S, Greenhill L, et al. Pharmacogenetics of methylphenidate response in preschoolers with ADHD.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6; 45:1314-1322. 

  13. Stein MA, Waldman ID, Sarampote CS, Seymour KE, Robb AS, Conlon C, et al. Dopamine transporter genotype and methylphenidate dose response in children with ADHD. Neuropsychopharmacology 2005;30:1374-1382. 

  14. Zeni CP, Guimaraes AP, Polanczyk GV, Genro JP, Roman T, Hutz MH, et al.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response to methylphenidate and genes of the dopaminergic and serotonergic systems in a sample of Brazilia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m J Med Genet B Neuropsychiatr Genet 2007;144B: 391-394. 

  15. Gruber R, Joober R, Grizenko N, Leventhal BL, Cook EH Jr, Stein MA. Dopamine transporter genotype and stimulant side effect factors in youth diagnosed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J Child Adolesc Psychopharmacol 2009;19:233-239. 

  16. Berridge CW, Devilbiss DM, Andrzejewski ME, Arnsten AF, Kelley AE, Schmeichel B, et al. Methylphenidate preferentially increases catecholamine neurotransmission within the prefrontal cortex at low doses that enhance cognitive function. Biol Psychiatry 2006; 60:1111-1120. 

  17. Bobb AJ, Addington AM, Sidransky E, Gornick MC, Lerch JP, Greenstein DK, et al. Support for association between ADHD and two candidate genes: NET1 and DRD1. Am J Med Genet B Neuropsychiatr Genet 2005;134B:67-72. 

  18. Brookes K, Xu X, Chen W, Zhou K, Neale B, Lowe N, et al. The analysis of 51 genes in DSM-IV combined typ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ssociation signals in DRD4, DAT1 and 16 other genes. Mol Psychiatry 2006;11:934-953. 

  19. Joung Y, Kim CH, Moon J, Jang WS, Yang J, Shin D, et al. Association studies of -3081(A/T) polymorphism of norepinephrine transporter gene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Korean population. Am J Med Genet B Neuropsychiatr Genet 2010;153B: 691-694. 

  20. Kim CH, Waldman ID, Blakely RD, Kim KS. Functional gene variation in the human norepinephrine transporter: associatio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n N Y Acad Sci 2008; 1129:256-260. 

  21. Xu X, Knight J, Brookes K, Mill J, Sham P, Craig I, et al. DNA pooling analysis of 21 norepinephrine transporter gene SNP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no evidence for association. Am J Med Genet B Neuropsychiatr Genet 2005;134B:115-118. 

  22. Mick E, Neale B, Middleton FA, McGough JJ, Faraone SV.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of response to methylphenidate in 187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m J Med Genet B Neuropsychiatr Genet 2008;147B:1412-1418. 

  23. Yang L, Wang YF, Li J, Faraone SV. Association of norepinephrine transporter gene with methylphenidate response.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4;43:1154-1158. 

  24. So YK, Noh JS, Kim YS, Ko SG, Koh YJ.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parent and teacher ADHD Rating Sca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2;41:283-289. 

  25. Kim YS, Cheon KA, Kim BN, Chang SA, Yoo HJ, Kim JW, et al.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iddie-Schedule for Affective Disorders and Schizophrenia-Present and Lifetime Version- Korean version (K-SADS-PL-K). Yonsei Med J 2004;45:81-89. 

  26. Barkley RA, McMurray MB, Edelbrock CS, Robbins K. Side effects of methylphenidate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systemic, placebo-controlled evaluation. Pediatrics 1990;86:184-192. 

  27. Bruss M, Kunz J, Lingen B, Bonisch H. Chromosomal mapping of the human gene for the tricyclic antidepressant-sensitive noradrenaline transporter. Hum Genet 1993;91:278-280. 

  28. Cho SC, Kim BN, Cummins TD, Kim JW, Bellgrove MA. Norepinephrine transporter -3081(A/T) and alpha-2A-adrenergic receptor MspI polymorphisms are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side effects of OROS-methylphenidate treatment. J Psychopharmacol 2012;26:380-389. 

  29. Kim CH, Kim HS, Cubells JF, Kim KS. A previously undescribed intron and extensive 5’ upstream sequence, but not Phox2a-mediated transactivation, are necessary for high level cell type-specific expression of the human norepinephrine transporter gene. J Biol Chem 1999;274:6507-6518. 

  30. Karabekiroglu K, Yazgan YM, Dedeoglu C. Can we predict shortterm side effects of methylphenidate immediate-release? Int J Psychiatry Clin Pract 2008;12:48-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