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도서관 맞춤형 이용자교육의 운영 현황 분석 연구
Current Practices of the Customized Bibliographic Instructions in Academic Libraries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1 no.2 = no.92, 2014년, pp.99 - 119  

정미정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권나현 (명지대학교 인문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현재 다양한 형태로 시행되고 있는 국내 대학도서관 맞춤형 이용자 교육의 전반적인 운영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해당 교육을 활성화하는데 필요요건과 장애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전국 4년제 대학 중앙도서관을 대상으로 전수조사하여 총 206개관의 웹사이트에서 맞춤형 교육의 전반적인 사항을 파악한 후, 설문지법을 통해 교육 운영 현황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설문에 응답한 총 149개관 가운데 94개관(63.1%)에서 맞춤형 교육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55개관(36.9%)에서는 해당 교육을 시행하지 않고 있었다. 국내 대학도서관 맞춤형 교육은 예산, 사서 수 등 도서관의 가용자원이 많을수록 더 활성화되어 있었으며, 사서의 자질 중에서는 학력, 전공 등과 같은 능력보다 봉사정신이 교육 운영 활성화에 더 영향력 있는 요소로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도서관 실무자들에게 맞춤형 교육 운영과 서비스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 향후 후속 연구의 토대가 되는 기반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practices of the customized bibliographic instructions (CBI) at four-year academic libraries in Korea. Among the entire 206 academic libraries, a total of 149 librari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Study result shows that the libraries providin...

주제어

참고문헌 (26)

  1. 김나원 (2008). 이용자 행태 및 요구 분석을 통한 의학도서관 이용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Kim, Na Won (200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ser instruction programs in medical libraries through analyzing user behaviors and nee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 김성은, 이명희 (2007). 대학생을 위한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3), 91-115. (Kim, Sung-Eun, & Lee, Myeong-Hee (2007).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3), 91-115.) 

  3. 김태경 (2005). 특정주제중심의 도서관 이용자교육. 한국비블리아학회 발표논집, 12, 51-64. (Kim, Tae Gyeong (2005). A study on library instruction for a specific subject. Proceedings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onference, 12, 51-64.) 

  4. 김혜진, 목희정, 홍정임, 남궁신아 (2012). 맞춤형 영양교육이 철결핍성 빈혈환자의 임상 지표 및 영양섭취 상태에 미치는 효과.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18(1), 72-80. (Kim, Hye Jin, Mok, Hee Jung, Hong, Jeong Im, & Namgung, Sin A (2012). Effects of custom nutrition education on dietary intakes and clinical parameters in patients diagnosed with iron deficiency anemia.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siation, 18(1), 72-80.) 

  5. 남재연 (2012). 맞춤교육을 중심으로 한 도서관서비스 개발 및 활용. 2013년도 대학도서관 학술서비스기획 및 홍보과정 교육자료집, 3-42. Retrieved from http://www.keris.or.kr/data/dt_research.jsp?selSearchMenu0&search_type18272193000000000&search_type2name&srchCont&chk1&sw&ix21504&bbsidboard04&gbnview [인용 2014.6.22]. (Nam, Jae yeon (2012).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library services using customized bibliographic instructions. Paper presented at the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6. 박성익 (2008). 개별화학습의 전망과 과제. 교육방법연구, 20(1), 1-23. (Park, Seong-ik (2008). Retrospect and prospect of "individualized learning." Education Methodology, 20(1), 1-23.) 

  7. 백항기 (2001). 대학도서관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도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2(1), 43-64. (Paik, Hang-Ki (2001). The analyses of customer satisfaction index on university library service.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2(1), 43-64.) 

  8. 윤희윤 (2013). 대학도서관경영론. 대구: 태일사. (Yun, Huiyun (2013). Management for academic libraries. Dae Gu: Taeilsa.) 

  9. 이성흠, 이준 (2009). 교수방법 및 교육공학: 의사소통, 교수설계, 그리고 매체활용. 파주: 교육과학사. (Lee, Seongheum, & Lee, Jun (2009). Instruc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 Communication, instructional design, and utilization of technologies. Paju: Kyoyookbook.) 

  10. 이제환 (2011). 한국 도서관계의 이용자교육: 현황과 과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1), 3-27. (Lee, Jehwan (2011). User education in Korean libraries: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1), 3-27.) 

  11. 이현지, 김혜영 (2012). 비만 식습관 개선과 맞춤형 식생활 교육. 한국식품조리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39. (Lee, Hyeonji, & Kim, Hyeyeong (2012). Improving dietary habits of the obesity through the customized dietary education.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2012, 139.) 

  12. 정미정 (2014). 대학도서관 이용자 맞춤형 교육의 효과적 도입과 운영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Jung, Mijung (2014). Strategies for the effective adoption and delivery of customized bibliographic instructions in academic librar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Korea.) 

  13. 최승현, 조성민, 류현아 (2012). 초등 수학 학습 부진아 지도를 위한 맞춤형 학습 자료 개발 연구. 初等數學敎育, 15(2), 135-145. (Choe, Seung Hyun, Cho, Seong Min, & Ryu, Hyun Ah (2012). A study on development of personalized learning materials for underachievers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5(2), 135-145.) 

  14. 최은주, 박남진 (2005). 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규 교과목 정보이용교육 수강생을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22(4), 153-172. (Choi, Eun-Ju, & Park, Nam-Jin (2005). A study on influential factors on information literacy of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2(4), 153-172.) 

  15.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2). 2012 대학도서관 통계분석 자료집.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2012). 2012 statistical analysis of academic libraries. Seoul: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16. Department for Children, Schools and Families (2008). Personalised learning: A practice guide. 

  17. Fleming, H. (1990). User education in academic libraries. London: Library Association Publish. 

  18. Ivey, R. (2003). Information literacy: How do librarians and academics work in partnership to deliver effective learning programs? Australian Academic & Research Libraries, 34(2), 100-113. 

  19. Kappus, T., Jenks, K., & Pauw, A. (2011). Can you meet with me on friday?: Personalized library instruction by appointment. Alki, 27(3), 8. 

  20. Keller, J. M. (1979). Motivation and instructional design: A theoretical perspective. Journal of Instructional Development, 2(4), 26-34. 

  21. Kirk, Thomas G. (1999). Course-related bibliographic instruction in the 1990s. Reference Services Review, 27(3), 235-242. 

  22. Mitchell, M. S., Comer, C. H., Starkey, J. M., & Francis, E. A. (2011). Paradigm shift in reference services at the Oberlin College Library: a case study. Journal of Library Administration, 51(4), 359-374. 

  23. Oberman, C. (1998). Why we need a national information literacy institute. Theory & Practice, Twenty-Fifth National LOEX Library Instruction Conference. Ed. Linda Shirato & Elizabeth R. Bucciarelli. Ann Arbor: Pierian Press, 1-7. 

  24. Rader, H. (1995). Information literacy and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Library Trends, 44(Summer), 270-271. 

  25. Tomlinson, C. A. (2005). Grading and differentiation: Paradox or good practice?. Theory into Practice, 44(3), 262-269. 

  26. Winner, M. C. (1998). Librarians as partners in the classroom: an increasing imperative. Reference Services Review, 26(1), 25-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