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육교사 대상 영유아 건강관리 교육의 효과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6, 2014년, pp.3648 - 3657  

양은영 (삼육보건대학 간호과) ,  김일옥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본 연구는 보육교사들의 영유아 건강관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를 측정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3개 도시, 400명의 보육교사들이며 영유아 건강관리 교육 전 후의 교육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단일군 전후설계 유사실험연구로 실시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9월초부터 10월말까지 이루어졌으며, 영유아 건강관리 교육의 내용은 영유아 건강관찰, 영유아 응급처치, 영유아 건강문제관리 세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교육은 주1회, 3시간씩 3주간 총 9시간으로 이루어졌다. 영유아 건강관리 교육을 실시한 후 보육교사들의 '영유아 건강관찰', '영유아 응급처치', '영유아 질병관리'에 있어서의 지식점수는 교육전보다 교육후에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를 위한 영유아 건강관리 교육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었다고 해석된다. 그러므로 보육교사의 영유아 돌봄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와 같은 교육이 보수교육에 적용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nhance child care teachers' ability to offer health care by developing an educational program for children's health care and safety. This study was carried out using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based on a survey of 400 child care teachers in 3 cities. The educational pro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교육은 본 연구진이 각 지역 보육교사들을 위한 보수교육프로그램으로 제공하였다. 본 교육프로그램 시행에 앞서 본 연구자가 서울, 경기, 강원 지역의 어린이집 연합회 대표를 통해 어린이집에 공고하였으며 본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과 목적 및 방법을 설명하고 이를 이해하고 자의적으로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들에게 주 1회, 매회 3시간씩, 3주간 총 9시간의 교육을 실시하고 각 영역별로 교육전과 교육 후 지식측정을 실시한 단일군 전후설계의 유사 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들이 영유아의 정상 성장발달에 따른 건강관찰, 영유아 안전사고 예방 및 응급처치 그리고 영유아기에 흔히 발생하는 건강문제관리의 내용으로 구성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육교사에게 직접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 영유아 건강관리에 대한 지식 측정도구는 본 연구에서 실시된 영유아 건강교육프로그램의 내용을 기초로 개발한 3개 영역의 영유아 건강관리 지식정도를 묻는 설문지이다. 보육현장에 적합한 설문지 개발을 위한 사전조사(Cronbach´s a = .
  •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영유아의 건강관찰, 응급처치, 질병관리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 건강교육을 실시하고 이러한 영역에서의 보육교사에 대한 교육의 효과가 있는지를 각 문항별로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대부분의 문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논의에서는 영유아의 건강관찰, 응급처치, 질병관리에 대한 부분으로 나누어 논의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팀은 선행연구와 전문가 집단의 자문을 통해 도출된 보육교사의 영유아건강관리를 교육요구를 반영하여 영유아의 정상적인 성장발달과 건강관찰, 안전 사고 예방과 사고에 대한 응급처치 그리고 건강문제관리로 구성된 ‘보육교사 대상 영유아 건강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ㆍ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보육교사의 영유아건강관리 능력을 제고하고 추후 보수교육 및 직무교육과정 개발과 수행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의 가설인 ‘영유아 건강관리 교육을 받은 후 보육교사의 영유아 건강관찰점수, 영유아 응급처치점수 그리고 영유아 건강문제관리점수는 교육 전에 비해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린이집의 목적은? 어린이집은 부모가 미처 관리하지 못하는 영유아의 건강과 영양 그리고 교육적 측면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포괄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관으로, 영유아의 양육과 교육을 전담하며 오랜 시간 머문다는 점에서 다른 시설과는 다르다[4]. 어린이집에서 영유아는 많은 시간을 보냄에 따라 이들을 1차적으로 돌보고 보살피는 보육교사의 영향은 매우 크다.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영유아의 주요 건강문제는 무엇인가?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영유아의 주요 건강문제는 이러한 면역체계 미숙으로 인한 호흡기와 소화기 감염병이다[19]. 어린이집에서 생활하는 영유아는 가정에서 생활하는 아동과 비교하여 호흡기 감염질환 발병률은 2배 정도 높고[20,21], 1세 미만부터 어린이집에서 보육하였을 경우 감기 발병률이 가정에서 생활하였던 또래 아동과 비교하여 2~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22].
보육교사 대상의 영양교육 뿐 아니라 전문적이고 다양한 급식정보를 제공해야한 이유는? 그러므로 아동 건강관찰과 관련 하여 보육교사들의 영양에 대한 지식의 변화는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Lee 등(2001)[2]은 보육교사들의 70~80%가 간식을 계획하고 간식을 지도하지만 어린이집의 영유아 영양 및 식사지도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은 매우 미흡하며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영양교육도 개발되어 있지 않아 보육교사를 위한 영양교육이 매우 시급하다고 지적되고 있다. 또한 Lee 등(2001)[2]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어린이집에서는 식단 작성이 영양사가 아닌 비전문가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급식 관리와 조리 전문인력 부족 등의 문제점도 함께 지적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육교사 대상의 영양교육 뿐 아니라 전문적이고 다양한 급식정보까지 제공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atistics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009 Available From: http://stat.mw.go.kr/ (accessed Nov., 10, 2013) 

  2. K. H. Lee, D. Y. Park, I. Y. Lee, J. Y. Hong, B. C. Choi, S. S. Bae, "The Survey an the Nutrition Education and Food Service Managements system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in Yongdungpo",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7(2), 167-174, 2001. 

  3. J, H. Lee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In-Service Training Program for Infant and Toddler Teacher [dissertation]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 2011. 

  4. I. S. Cho, Organization culture and quality of child-care institution service. Hankuk haksuljeongbo, 2007. 

  5. M. S. Song, "Teacher's job stress according to child care teacher's background and child-care institution's characteristics", Educational Science Research, Vol. 36 No. 1 pp.143-159, 2005. 

  6. J. Na, M. H. Suh, M. H. Lee, M. J. Kim, In-depth analysis of the national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in child care and education in Korea,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004. 

  7. I. O. Kim, H. J. Park, "A survey on knowledge, experience and educational need child care teacher on infant health management",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17, No. 5, pp.1-22, 2012 

  8. H. S. Lee, "The study fire safety supervision in day-care cent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Women's Culture. Vol. 8, pp.137-164, 2009 

  9. G. Y. Cho, Infant day-care center worker's knowledge and practice of infection prevention. dissertation, Hanyang Univ., 2011. 

  10. M. S. Cho, "Nutrition and health status of day-care center children", Korean Journal of Dietary culture, Vol. 15, No. 4, pp313-323, 2000 

  11. I. O. Kim, "A study on the status of health education of kindergarten for preschool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Child Health Nursing,Vol. 4, No.2, pp255-64, 1998. 

  12. J. S. Kim, A Survey on teacher's health needs in child care center[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 2003. 

  13. C. W. Jung, O. J. Kim, H. S. Min, "A study of the effect of the evaluative accreditationsystem of daycare center",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Vol. 17, No. 1, pp.269-279, 2008. 

  14. E. J. Yoon, Child health & safety management. Konkuk Univ.'s press, 2002. 

  15. H. E. Kim, "The effect of day care center education system through participated education system of day care center employee", Korea Journal of Child studies, Vol. 29, No. 1, pp.169-188, 2008. 

  16. M. S. Lee, C. A. Cheon. "Quality evaluation in child-care institution program", The Korea Journal of Child and Education, Vol. 19, pp.75-101, 1999 

  17. H. S. Seok, A study of the actual condition of the emergency management of child-care institutions and of the first-aid knowledge and education of child-careteachers[dissertation], Suwon; Seonggyungwan Univ., 2007. 

  18. Y. Y. Choi, J. Y. Lee, "A study on the environment conditions and improvement of child-careteacher's personal safety", Korean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Vol. 49, pp269-287, 2007 

  19. N. Lu, M. E. Samuels, L. Shi, S. L. Baker, S. H. Glover, J. M. Sanders, "Child day care risks of common infectious diseases revisited", Child Care Health Dev Vol. 30, No. 4, pp361-368, 2004 DOI: http://dx.doi.org/10.1111/j.1365-2214.2004.00411.x 

  20. M. Fairchok, E. Martin, S. Chambers, J. Kuypers, M. Behrens, L. Braun, J. Englund, "Epidemiology of viral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in a prospective cohort of infants and toddlers attending day car", Journal of Clinical Virology Vol. 49, pp16-20, 2010 DOI: http://dx.doi.org/10.1016/j.jcv.2010.06.013 

  21. K. Hatakka, L. Piiranine, S. Pohjavuori, T. Poussa, E. Savilahti, R. Korpela, "Factors associated with acute respiratory illness in day care children", Scandinavian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vol. 42, pp704-711, 2010 DOI: http://dx.doi.org/10.3109/00365548.2010.483476 

  22. L. Hagerhed-Engman, C. G. Bornehag, J. Sundell, N. Aberg, "Day-care attendance and increased risk for respiratory and allergic symptoms in preschool age", European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Vol. 61, pp447-453 2006. DOI: http://dx.doi.org/10.1111/j.1398-9995.2006.01031.x 

  23. D. B. Evers, "The pediatric nurse's role as health consultant to a child care center", Pediatric Nursing, Vol. 22, No. 3, pp231-237, 2002. 

  24. H. McCutcheon, M. Fitzgerald, "The public health problem of acute respiratory illness in child car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 10, No. 3, pp305-331, 2001. DOI: http://dx.doi.org/10.1046/j.1365-2702.2001.00486.x 

  25. V. Curtis, S. Cairncross, "Effect of washing hands with soap on diarrhoea risk in the community: a systematic review", The Lancet Infectious Diseases, Vol. 3, No. 5, pp275-281, 2003 DOI: http://dx.doi.org/10.1016/S1473-3099(03)00606-6 

  26. A. J. Barros, D. A. Ross, W. V. Fonseca, L. A. Williams, D. C. Moreira-Filho, "Preventing acute respiratory infections and diarrhoea in child care centres", Acta Pediatrics Vol. 88, No. 10, pp1113-1118, 1999. DOI: http://dx.doi.org/10.1111/j.1651-2227.1999.tb00998.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