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육교사의 영유아 대상 투약과 응급상황 경험 및 교육 요구
Experience and education needs on medication and emergency situations for young children of child caregiver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12, 2018년, pp.359 - 371  

노윤구 (창원대학교 간호학과) ,  이인숙 (창원대학교 간호학과) ,  박보현 (창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보육교사들의 투약 및 응급상황 경험과 교육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17년 경상남도 지역에서 실시된 하계 보수교육에 참여한 보육교사 190명을 대상으로 투약경험과 투약 교육요구, 응급상황 경험 및 대처와 응급상황 교육요구를 묻는 개방형 질문지에 기록한 내용을 이용한 내용분석 연구이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투약경험은 "투약의뢰서가 없음에도 투약해야 함(29.2%)", "영유아의 투약거부에도 억지로 투약함(26.1%)" 등의 6개 범주로 도출되었다. 투약 교육요구는 "보육교사 대상 투약교육이 필요(47.3%)", "부모 대상 투약교육이 필요(29.3%)", 등의 4개 범주로 도출되었다. 응급상황 및 대처경험은 "사고로 피부손상 또는 출혈이 생김; 상처소독과 지혈조치 시행함(25.5%)", "경련, 발작으로 의식 소실; 기도확보 조치 시행함(21.4%)" 등의 6개 범주로 도출되었다. 응급상황 교육요구는 "교육내용으로 다양한 응급상황의 종류별 응급처치와 대처방법(65.4%)", "교육방법으로 실제 사례와 실습 위주의 효과적인 맞춤형 교육(13.2%)" 등의 5개 범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보육교사 직무교육 중 약물오남용, 응급처치와 관련한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의 개선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xperience and education needs on medication and emergency situations for young children of child caregivers. The data from 190 caregivers were collected using open-ended questionnaires composed of four items and analysed by content analysis. The categories d...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Kim 등[8]은 보육교사들이 경험한 아동의 건강관리의 문제점과 개선요구와 관련한 다양한 상황 및 의견을 파악하기 위하여 내용분석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Kim 등[8]은 아동의 전반적인 건강관리 문제를 주제로 다루었다면 본 연구는 보육교사직무교육 개선을 위하여 직무교육에서 대상이 되고 있는 투약과 응급상황에 초점을 맞추어 보육교사들이 경험하는 투약 및 응급조치 관련한 어려움, 어려움의 원인이 되는 상황과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야 하는 교육등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보육교사들의 투약 및 응급상황 경험과 교육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내용분석 연구이다. 투약경험에 대한 의미 있는 진술을 범주화한 결과 중 투약의뢰서와 관련한 부분(“투약의뢰서 없음에도 투약해야 함” 29.
  • 본 연구는 보육시설에서의 보육교사의 투약경험과 투약교육 요구, 응급상황 및 대처경험과 응급처치 교육요구에 대한 기록지를 활용한 내용분석 연구로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을 적용한 혼합적 내용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들이 근무 중에 경험한 투약과 응급상황 관련한 경험과 교육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약물오남용, 응급처치와 같은 특정한 내용의 교육 수행 시 선행연구 결과를 활용함에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들이 영유아를 대상으로 투약하는 과정에서, 그리고 응급상황과 관련하여 어떠한 경험을 하였고 어떻게 대처하였는지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육교사 보수교재에 포함된 내용은? 영유아보육법 제 23조와 제 23조의 2에 근거하면 보육교사는 40시간의 보수교육을 받아야 하며 보수교육에서 건강과 관련하여 ‘감염병 및 약물 오남용 예방 등 보건위생관리’에 관한 내용을 포함해야 한다. 보육교사 보수교재를 살펴보면 ‘보건위생관리’라는 제목 하에 ‘감염병 관리’, ‘약물오남용 관리’, ‘응급처치’가 교육내용으로 포함되어 있다[7]. 보육교사들이 직무교육을 통해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직무교육 내용에 보육현장에서 많이 발생하는 사례를 활용하거나 문제 발생 시 보육현장에서 적용가능 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등 보다 실용적인 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
영유아보육법에 의하면 보수교육에 포함해야하는 내용은? 영유아보육법 제 23조와 제 23조의 2에 근거하면 보육교사는 40시간의 보수교육을 받아야 하며 보수교육에서 건강과 관련하여 ‘감염병 및 약물 오남용 예방 등 보건위생관리’에 관한 내용을 포함해야 한다. 보육교사 보수교재를 살펴보면 ‘보건위생관리’라는 제목 하에 ‘감염병 관리’, ‘약물오남용 관리’, ‘응급처치’가 교육내용으로 포함되어 있다[7].
보육교사 직무교육에 투약거부 아동을 대상으로하는 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에 의하면 보육교사 1인당 만 1세 미만 3명, 만 1세 5명, 만 2세 7명, 만 3세 15명, 만 4세 이상 20명까지 돌볼 수 있도록 정하고 있다. 보육교사가 돌봐야 하는 많은 아동들 가운데, 여러 명의 아동에게 투약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보육교사는 투약을 거부하는 일부 아동에게 많은 시간을 할애하기 어려워 아동에게 신체적인 제약을 가하며 투약을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상당수의 보육교사들은 이러한 행동이 아동학대가 될 수 있다는 두려움을 호소하고 있었다. 따라서 보육교사 직무교육에서 투약을 거부하는 아동을 대상으로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투약을 시행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Guide to childcare business in 2014,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Social Security 2015 by Statistics,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3. Statistical Office. (2015). 2015 Census of Population Statistics, Daejun, Statistical Office. 

  4. H. S, Kim, J. R. Lee, T. H. Lee & O. K. Ham. (2006). Health Problems and Health Behaviors of Preschool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1), 182-190. 

  5. J. S. Kim. (2010). Development and Effect of a Web-based Child Health Care Program for the Staff at Child Daycare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40(2), 213-224. DOI: 10.4040/jkan.2010.40.2.213 

  6. J. S. Kim & K. J. Han. (2006). Health Problems and Health Services in Child Day Care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2(1), 25-33. 

  7. M. H. Lee, E. J. Kang, E. S. Kim, D. H. Kim, A. R, Kim & J. E. Choi. (2015). Development of maintenance training program manual,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8. S. J. Kim et al. (2010). Perception of Child Day Care Center Teachers on Issues and Needs in Child Health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7(1), 10-21. DOI: 10.4094/jkachn.2011.17.1.10 

  9. K. Krippendorff. (2004).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Beverly Hills, CA: Sage. 

  10. S. Y. Hong & T. Y. Seo. (2014). Alternative Methods in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 Application of QCA(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2(3), 103-120. 

  11. M. Schreier. (2012).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n Practice, Sage. Thousand Oaks, California 91320. 

  12. M. S. Kim. (2006). On the mixed method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a qualitative researcher.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16, 43-64. 

  13. A. Tashakkori & C. Teddlie. (2003). Handbook of Mixed Methods in Social & Behavioral Research, Sage, California. 

  14. M. D. White & E. E. Marsh. (2006). Content analysis: A flexible methodology. Library trends, 55(1), 22-45. 

  15. S. H. Choi, J. H. Jung & S. W. Jung. (2016). Concept and Procedures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Journal of Qualitative Inquiry, 2, 127-155. 

  16. O. R. Holsti. (1969). Content Analysis for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Reading, MA: Addison-Wesley. 

  17. J. C. Yu & D. K. Kim. (1989). Mass media survey method. Seoul: Nanam. 

  18. D. G. Marlow & B. A. Redding. (1988). Textbook of pediatric nursing, Saunders. 

  19. S. Y. Kim, H. J. Song & B. Y. Sun. (2016). A study on activation of parent education by life cycle, Seoul,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hildcare Promotion Institute. (2015). The guide for child care center evaluation certification,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hildcare Promotion Institute, 2015. 

  21. S. M. Lee & M. S. Cho. (2010) Early child care teachers' treatment method on emergency situation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7(4), 55-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