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선도로 트램 전용차로에서 트램과 일반차량을 위한 신호최적화 모형 개발
A Development of the Traffic Signal Progression Model for Tram and Vehicles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2 no.3, 2014년, pp.280 - 292  

이인규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김영찬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에 친환경 신교통수단으로서 주목받고 있는 트램은 철도교통 중 도시부 도로교통을 대체할 수 있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인식되어 북미지역과 유럽 등의 주요 선진국에서 주요 교통수단으로 운영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도심의 혼잡증가와 대중교통 수송분담율 감소, 교통분야의 환경에 대한 관심으로 트램의 도입이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간선도로의 트램 전용차로 구간에서 트램과 일반차량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트램의 우선 통행권을 확보하면서 일반차량의 지체를 최소화하는 신호 최적화 모형을 개발하였다. 간선도로의 신호 연동화 모형인 KS-SIGNAL 모형을 기초로 트램의 통행특성과 트램 전용차로 시스템의 특성을 반영한 KS-SIGNAL Tram 모형을 개발하였고, 이 신호 최적화 모형을 통해 트램차량의 최소 연동폭을 확보하여 고정식 기반의 트램 우선신호를 구현하였으며, 이와 동시에 일반 이동류의 신호교차로 대기시간을 최소화하는 신호시간을 산출하였다. 미시적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KS-SIGNAL Tram 모형의 신호제어 효과를 분석한 결과, 새로운 모형으로 산출한 교차로 신호시간을 적용했을 때 트램차량의 신호교차로 정지수와 통행시간이 감소했음을 확인하였고, 일반차량도 트램 우선신호에 따른 지체증가가 거의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tram has been the focus of a new public transportation that can solve a traffic jam, decreasing of public transit usage and environmental problem in recent year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ignal optimization model for considering the traffic signal progression of tram and vehicles, when they 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지역과 주변에서 나타나는 교통혼잡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 이러한 승용차 이용의 지속적인 증가에 비해 대중교통의 수송 분담율은 2000년의 38%에서 2010년 기준 31%로 감소하였으며, 승용차의 분담율은 약 3%가 증가하여 앞으로 교통혼잡은 더욱 큰 사회문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KOTI, 2013). 특히 도시지역과 주변에서 이러한 교통혼잡이 발생되고, 그 주요 원인으로 승용차 위주의 교통체계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그 동안 버스나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 수단 활성화 수단으로 중앙버스전용차로제 운영, BIS(Bus Information System) 설치, 대중교통 환승시스템, 환승요금체계 등의 대중교통 우선정책을 시행해 왔지만 그 실효성에 한계가 있어왔다.
트램이 도심 교통수단으로서 성공적인 운영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것은 무엇인가? 따라서 트램이 매력적인 도심 교통수단으로서 성공적인 운영을 수행하려면 보다 효율적인 신호운영과 안전성 확보를 위한 새로운 우선신호 전략과 신호계획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간선도로의 트램 전용차로 구간에서 트램의 이동성을 확보하고 일반차량의 지체를 최소화하는 신호 최적화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고, 이러한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간선도로에서 트램을 운영하기 위한 방안으로 고정식 우선신호를 이용하여 트램의 교차로 우선통행 기회를 확보하고, 이와 동시에 일반교통류의 지체를 고려하여 트램의 우선신호로 인한 일반교통류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최적 신호시간을 산출하였다.
교통혼잡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들과 한계점은 무엇인가? 특히 도시지역과 주변에서 이러한 교통혼잡이 발생되고, 그 주요 원인으로 승용차 위주의 교통체계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그 동안 버스나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 수단 활성화 수단으로 중앙버스전용차로제 운영, BIS(Bus Information System) 설치, 대중교통 환승시스템, 환승요금체계 등의 대중교통 우선정책을 시행해 왔지만 그 실효성에 한계가 있어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bebe Y., Conte R., Gordon S., Mustafa K. (1996), Planning Methods for Integrating LRT Operations into an Urban Street Traffic Control System, Presented at 66th ITE Annual Meeting, Institute of Transportation Engineers, Washington D.C. 

  2. Ahn J. H. (2012), A Study for Implementing Innovative Urban Surface Transport Systems in Korea: Focusing on Tramways, KOTI, 5-21. 

  3. Bergeron (2008), Le Retour du Tramway en France, Revue Generale des Cheins de Fer, March 2008, 15-19. 

  4. Dion F., Ghanim M. (2007), Impact of Dwell Time Variability on Transit Signal Priority Performance at Intersection with Nearside Bus Stop, TRB 2007 Annual Meeting. 

  5. Dreher F., Ahuja S., Vuren T. v., Smith J. (2007), Innovative Modelling and Design of Integrated Light Rail Transit Priority Systems Case Study LRT Nottingham, Mott MacDonald, Birmingham, United Kingdom. 

  6. Gartner N. H., Stamatiadis C. (2004), Progression Optimization Featuring Arterial-and Route-based Priority Signal Networks, Journal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8, 77-86. 

  7. Han Y. H., Kim Y. C. (2009), Bus Signal Timing Optimization for Bus Progression with PASSER V and TRANSYT-7F, The 61th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761-765. 

  8. Jeoung Y. J. (2011), Traffic Signal Control Strategy for Tram Priority in Arterial, University of Seoul, 75. 

  9. Ku B. H. (2008), The Needs and Main contents of Sustainable Transportation Distribution Development Law, Monthly KOTI Magazine on Transport, KOTI, 123, 14-21. 

  10. Li M., Wu G., Johnston S., Zhang W.-B. (2009), Analysis Toward Mitigation of Congestion and Conflicts at Light Rail Grade Crossings and Intersections, California PATH Research Report UCB-ITS-PRR-2009-9, 43. 

  11. Li M., Wu G., Li Y., Bu F., Zhang W.-B. (2007), Active Signal Priority for Light-Rail Transit at Grade-Crossing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2035, Transport Research Board,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141-149. 

  12. Li Y., Koonce P., Li M., Zhou K., Li Y., Beaird S. et al. (2008), Transit Signal Priority Research Tools, Report to Federal Transit Administration, FTA-CA- 26-7049-2008,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3. Messer C. J., Whitson R. N., Dudek C. L., Romano E. J. (1973), A Variable-sequence Multiphase Progression Optimization Program, Highway Research Record, 24-33. 

  14. Shin E. K., Kim Y. C. (1999), Signal Optimization Model Considering Traffic Flows in General Traffic Network, J. Korean Soc. Transp., 17(2),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27-135. 

  15. Skabardonis A. (2000), Control Strategies for Transit Priority,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727, Transport Research Board,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20-26. 

  16. Sunkari S. R., Beasley P. S., Urbanik T. II, Fambro D. B. (1995), Model to Evaluate the Impacts of Bus Priority on Signalized Intersection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494, Transport Research Board,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117-12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