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효율적인 트램 평면교차로 운영을 위한 교통신호제어기 기능 진단
Diagnosis of Local Traffic Controller for Effective Operation of Trams at Signalized Intersection 원문보기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18 no.1 = no.86, 2015년, pp.25 - 32  

김진태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System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Transpo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반도로와 노면전차가 교차하는 신호교차로에서 준비되어야 하는 교통신호제어 운영조건을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노면전차 교통신호와 일반차량 교통신호의 효율적 통합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현재의 교통신호제어기가 추가 확보하여야 하는 기능적 및 기술적 요구사항을 진단한다. 본 연구의 검토 내용은 도로 현장에서 발생 가능한 일반차량과 노면전차의 다양한 교차상황, 노면전차 전용신호등의 등기단자 최소 구성, 교통신호현시 순서 운영상황 조합 및 이를 기반으로 한 현시표출방안을 포함한다. 분석결과 우회전 중첩현시 표출을 위한 중첩현시 등기장치 및 노면전차와 일반차량 복합 현시운영을 위한 사중고리현시표출체계 기능을 포함하는 교통신호제어기 도입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has been subject to question whether a conventional traffic signal controller can support efficient operation at grade intersections in which vehicles and tram lines cross concurrently. This study proposes a list of functional requirements for a traffic signal controller to support effective op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노면전차 전용신호 운영을 지원하는 교통신호제어기 관련 행정여건을 검토한다. 노면전차는 일반적으로 지방자치단체 범위에서 지방자치단체장의 의지에 따라 도입된다.
  • 본 논문은 일반차량과 노면전차가 다양한 조합 형태로 교차하는 신호교차로 운영상황(일반차량신호와 노면전차 전용신호 포함)을 점검하고, 이를 토대로 현재의 ‘표준교통신호제어기’ 규격 중 개선이 필요한 내용을 진단하여 개선이 필요한 항목을 도출함을 목적으로 한다.
  • 우리나라 교통신호제어기도 효율적인 노면전차 신호운영을 위해 해당 기술을 표준으로 도입할 것을 제안한다. 해외에서 이미 표준으로 규정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술방식을 활용하는 방법이 동일한 기술을 개발하는 것보다 합리적이다.
  • 이러한 상황 중 가장 많은 신호현시 수가 요구되는 상황을 보수적으로(conservative) 파악하여 제어기 기능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이들 상황에서 필요한 신호현시 조합을 검토한다. 현시조합 점검을 통해 노면 전차 전용신호를 지원하는 교통신호제어기가 최소수준으로 확보하여야 하는 신호현시 수량을 진단한다.

가설 설정

  • 현재 우리나라 도로교통법은 노면전차 전용신호등의 형태를 규정하지 않는다. 본 연구 수행을 위하여 Fig. 3에 제시된 해외 노면전차 전용신호등 사례를 토대로 우리나라 노면전차 전용신호등 형태를 가정한다. 이는 노면전차 전용신호등 등기 출력 수를 추정하기 위함이다.
  • 그러나 지금까지 ‘노면전차 전용 신호등’ 형태가 규정으로 확정된 바 없다. 본 연구를 통해 노면전차 신호등은 국제적으로 널리 통용되는 기준을 준수하는 형태일 것이라 가정하며 본 연구를 수행한다. 이러한 가정은 세종특별시 바이모달 노면전차 노선에 설치된 전용신호의 형태 역시 도로교통법이 일반적으로 규정하는 모양 및 색상 내용을 준수한 과거 이력을 반영한다[3,4].
  • 이를 근거로 우리나라 노면전차 전용신호등형태는 여러 방향으로 ‘동시 진행’을 의미하는 ‘Go all’ 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5가지 형태일 것이라 가정한다(Fig. 3 참조).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면전차의 특징은? 노면전차는 일반 철도와 달리 도로 위 궤도 공간을 차량과 공유한다. 주행 공간 내 통행우선권이 독립적이지 못하다.
노면전차 전용신호와 관련된 기존 연구는 어디에 무게를 두는가? 노면전차 전용신호와 관련된 기존 연구는 주로 소프트웨어 운영(operation)에 무게를 둔다. 일반차량에 비해 노면전차가 보다 유리한 교통신호시간(priority 또는 preemption)을 가지게 하는 노력이 주를 이루었다[3,4].
도로교통법 관리 주체인 경찰이 규정하는 표준교통신호제어기가 ‘노면전차 전용신호등’을 제어할 것으로 판단이유는? 노면전차 전용신호등은 국가법령 체계에 근거하여 도로교통법에서 규정하는 것으로 검토된다[5]. 과거 세종특별시 바이모달 트램 전용신호도 경찰청에서 규정하며 표준교통신호제어기로 구동된 바 있다. 이에 따라 도로교통법 관리 주체인 경찰이 규정하는 표준교통신호제어기가 ‘노면전차 전용신호등’을 제어할 것으로 판단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K.H. Kim, S.I. Kim (2011) The technology trend of the domestic and overseas battery driven hybrid low-floor tram, Engineering & Construction Technology, 27(1), pp. 47-59. 

  2. J.D. Lim (2010) Review of the report on the constructions and management law on trams, Committee of the Korean Land and Transport, Korea National Assembly. 

  3. S.G. Leem, S.H. Choi (2010) Introduction of bimodal tram system, Engineering & Construction Technology, pp. 54-69. 

  4. J.J. Lee, J.K. Mok, C.K. Lee, Y.S. Byun, Y.T. Oh (2008) Development of a exclusive signal systems for bi-modal tram, Academic paper presentation meeting, No. 1, Korean Society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pp. 311-316. 

  5. M.H. Myung MH (2011) Direction to revise the national traffic laws for trams, Research Institute of Traffic Science, Road Traffic Authority. 

  6. J.T. Kim (2010) Triple ring phase representation scheme for exclusive median bus lane signals, Canadian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37(8), pp. 1117-1124. 

  7.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2009) Manual on uniform traffic control devices,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8.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http://www.moleg.go.kr, accessed 2014.09 (http://www.law.go.kr/lsSc.do?menuId0&subMenu1&query%EB%8F%84%EB%A1%9C%EA%B5%90%ED%86%B5%EB%B2%95#liBgcolor1) 

  9. National Electrical Manufacturers Association (2005) National 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for ITS Protocol, joint standard AASHTO, ITE, and NEMA, version 02.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