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산지별 국내 유통 한약재의 이산화황 잔류실태 조사
Monitoring of Sulfur Dioxide Residues in Commercial Herbal Medicines at Domestic by Geographical Origin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29 no.2, 2014년, pp.152 - 157  

이아름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그룹) ,  장설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그룹) ,  이아영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그룹) ,  최고야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그룹) ,  김호경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그룹)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국산과 수입산 한약재 11종 116건을 대상으로 잔류이산화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한 결과 108건(93.1%)은 불검출이었고 6건(5.2%)는 이산화황 허용기준치 30 mg/kg을 초과하였고 2건은 30 mg/kg 미만으로 검출되었다. 116건의 이산화황 평균함량은 $17.6{\pm}144.2mg/kg$이고 최대 검출량은 구기자(1,546.3 mg/kg)이었고 중국산 현호색(66.6%)의 이산화황 검출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국내산 한약재는 71건 중 1건(1.4%), 수입산 한약재는 45건 중 7건(15.6%)에서 이산화황이 검출되었고 국내산 1건(36.7 mg/kg)과 수입산 5건(118.1 mg/kg)이 허용기준치를 초과하여 국내산보다 수입산 한약재에 이산화황 잔류량이 많았다. 본 연구를 통해 이산화황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부적합율은 다소 낮아지고 있지만 이산화황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한약재들 중 일부 한약재에서는 잔류이산화황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특히 국내산 약재에 비해 수입산 약재는 부적합율이 높게 나왔다. 한약재는 일반적으로 수세 및 가열과정을 거치므로 실제 섭취하는 형태의 탕액에서는 원재료보다 이산화황의 잔류량이 크게 감소하지만 완전히 제거되지는 않으므로 유통되는 한약재의 안전성 확립이 절실히 요구되어진다. 강화된 기준이 정착하여 안전한 한약재가 유통될 수 있도록 수입통관시 특별관리가 요구되며, 보다 적극적인 검사 요주의 품목에 대한 지속적인 잔류이산화황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sidual sulfur dioxide residues ($SO_2$) in commercial medicinal herbs in Korea in 2013. Among a total of 116 samples of 11 different kinds of herbs, 71 samples (11 Kinds) were domestic, and 45 samples (10 Kinds) were imported. The residual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약재의 잔류이산화황에 대한 체계적인 모니터링을 위하여 국내에서 생산되거나 수입되어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한약재의 이산화황 잔류량을 조사하여 한약재의 안전성을 확립하고 효율적인 품질 관리를 위한 자료로 활용하여 소비자에 대한 이산화황의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약재가 오염되기 쉬운 이유는? 한약재는 과거 야생에서 채취하여 사용하였으나 한약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인공재배나 수입품에 의존하여 한약재의 불명확한 수확, 수집, 가공, 운반 등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이 증가하였다3). 특히 한약재는 각종 동·식물성 약재 및 광물성 등의 천연원료를 약용으로 사용함에 따라 수분이나 보관온도, 미생물이나 충해 등으로 쉽게 오염될 가능성이 많다4). 오염을 막기 위한 수단으로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 등의 사 용에 대한 안전성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5).
수요 증가에 따라 한약재 인공재배나 수입품에 의존하게 되어 나타난 문제점은? 국제 시장이 급속히 확장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생약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대체의학 및 기능성식품의 확대와 발효인삼의 항산화 활성, 목향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등 다양한 생리활성에 관한 보고가 활발해지면서 한약재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1,2). 한약재는 과거 야생에서 채취하여 사용하였으나 한약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인공재배나 수입품에 의존하여 한약재의 불명확한 수확, 수집, 가공, 운반 등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이 증가하였다3). 특히 한약재는 각종 동·식물성 약재 및 광물성 등의 천연원료를 약용으로 사용함에 따라 수분이나 보관온도, 미생물이나 충해 등으로 쉽게 오염될 가능성이 많다4).
한약재에 유황훈증, 연탄건조 등의 방법을 사용할 때 발상해는 아황산가스가 인체에 끼치는 부정적 영향은? 아황산염류는 환원력이 매우 강한 아황산을 만들어 이것이 황산으로 산화될 때 착색물을 환원 시켜 강한 표백작용을 하고, Ascorbate oxidase의 활성을 억제하여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며 또한 효소에 의한 갈색 반응을 촉진하는 Polyphenoloxidase의 저해제로 작용하여 갈변현상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아황산염류는 생체 내에서 빠르게 산화되어 황산염(M12SO4)이 되고, 아황산을 유리하여 위장장애를 유발하거나, 특히 아황산 성분에 민감한 일반인 및 천식 환자에게 기관지 수축, 두통, 복통, 구토, 현기증, 발진 등의 과민성 반응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고 보고 되고있다7).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FAO)/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는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아황산염류의 1일 섭취허용량을 이산화황(SO2)으로서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Heo SK, Cha YY, Kim EG, Cho WH, Lee H, Baik TH, Seo HS, Park HS, Kim BW, Kwon KR, Lee SG, Yoo JS, Sohn YJ, Sun SH, Kang HC and Seo YC.: Determination of heavy metals, sulfur dioxide and residual pepsticides in oriental medical materials at Sangji university oriental medical hospital.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2, 948-953 (2008). 

  2. Yoon YT, Lee SD, Park AS, Shin Y, Kim HS, Kim YK and Choi BH.: Analysis of sulfur dioxide residue in commercial medicinal herbs in Seoul (2009). Korean J. Medicinal Crop Science, 18, 345-360 (2010). 

  3. Cha YY, Heo SK, Kim DG, Baik TH, Seo HS, Park HS, Kim BW, Kwon KR, Lee SG, Yoo JS, Sohn YJ, Sun SH, Cha BC, Seo SH.: Determination of heavy metals and residual pepsticides in oriental medical materials.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1(1), 226-230 (2007). 

  4. Kim MK, Hur MH, Lee CH, Jin JS, Jin SK and Lee YJ.: Monitoring of residual sulfur dioxide in herbal medicines. Kor. J. Pharmacogn, 35, 276-282 (2004). 

  5. Jung SJ, Lee SD, Kim SJ, Jo SA, Kim NH, Jung HJ, Kim HS and Han KY.: Monitoring of sulfur dioxide residue in commercial medicinal herbs in Seoul (2010). J. Fd Hyg. Safety, 26, 435-447 (2011). 

  6. Sin YM, Cho TY, Lee KS, Kim SH, Park HJ, Leem DG, Lee CH, Kim WS, Chae KR, Lee YJ and Choi SY.: Studies on the contents of occuring sulfur dioxide in herbal medicines distributed at market. J.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3, 1109-1115 (2004). 

  7. Lee HH, Seo JM, Oh MS, Gang IS, Park JJ, Seo KW, Ha DR and Kim ES.: A survey on harmful materials of commercial medical herb in Gwangju area. J. Fd Hyg. Safety, 25, 83-90(2010). 

  8. Kang IS, Lee HH, Seo JM, Oh MS, Jeong JH, YU YA, Cho BS, Seo KW, Kim ES and Moon YW.: A survey on safety of commercial fruit teas in Gwangju area. J. Fd Hyg. Safety, 26, 100-106 (2011). 

  9.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FDA Notification No. 2005-44 (2005). 

  10.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FDA Notification No. 2009-35 (2009). 

  11. Kim MH, Park SB.: Determination of natural contents of total sulfites in fruits and vegetables by ion chromatography. Korean J. Food Sci. Technol, 21(2), 218-223 (1989). 

  12. Kim HY, Lee YJ, Hong KH, Kwon YK, Ko HS, Lee YK, Lee CW.: Studies on the contents of naturally occurring of sulfite in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3), 544-549 (2000). 

  13. Oh CH, Seo DW, Yook CS, Lee YJ, Chang SY, Ze KR, Park JY, Lee JP, Seong RS, Park JY, Ko SK and Lee PJ.: The variation of residual sulfur dioxide and marker components of herbal medicines during drying process. Kor. J. Pharmacogn, 38, 299-304 (2007). 

  14. Han CH, Kim DG, Kwak JE, Han EJ, Jung SJ, Kim BS, Cho TH, Yoon YT, Park AS, Kim EJ, Jung SS, Lee JA, Cho SJ, Choi BH and Kim MY.: Analysis of sulfur dioxide residue in commercial medicinal herbs. Report of S.I.H.E., 44, 99-125(2008). 

  15. Kim HS, Hong YJ, Park WH, Yu IS, Lee CY and Kang HG.: Survey of sulfer dioxide residues in commercial herbal medicines. Report of S.I.H.E., 39, 19-30 (2003). 

  16. Kim TH, Jang S, Lee AR, Lee AY, Choi GY, Kim HK.: The analysis of residual pesticides and sulfur dioxide in commercial medicinal plants. Kor. J. Herbology, 27(6), 43-48 (2012). 

  17. Lee JT.: Research on intake of chinese medicine by Korea. A KFDA Reserch Paper. p.16-22 (2006). 

  18. Sin YM, Kim JI, Kim WS, Park KS, Kim JM, Chae KR, Cho DH, Kim DB and Kim OH.: Studies on the residual contents of sulfur dioxide in herbal medicines distributed at domestic.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1, 1039-1044(2007). 

  19.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he Korean Pharmacopoeia Tenth Edition. MFDS Notification No. 2013- 103:1198-1199 (2013). 

  20. Kim BS, Park AS, Han CH, Kim DG, Shin Y, Kwak JE, Han EJ, Jung SJ, Hwang YS, Kim EJ, Jeang SS, Cho SJ, Choi BH and Kim MY.: Monitoring of sulfur dioxide residue in commercial medicinal herbs. Report of S.I.H.E., 43, 208-225 (2007). 

  21. Lee AR, Jang S, Kim TH, Lee AY, Choi GY and Kim HK.: Monitoring of residual sulfur dioxide in herbal medicines distributed at domestic.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1(2), 124-129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