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지 외반증의 진단 및 병태생리
Diagnosis and Pathophysiology of Hallux Valgus 원문보기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Journal of Korean Foot and Ankle Society, v.18 no.2, 2014년, pp.43 - 47  

장규선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구로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김태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구로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김학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구로병원 정형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allux valgus is a lateral deviation of the first phalanx and medial deviation of the first metatarsal at the first metatarsophalangeal (MP) joint. Its incidence has increased due to developing footwear. The etiologies include fashion footwear, genetic causes, anatomical abnormality around the foo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6) 그러므로 무지 외반증의 발생 원인 및 병태생리의 이해는 무지 외반증 치료의 필수적인 과정 중 하나로 생각된다. 이에 본 종설에서는 무지 외반 증의 발병 원인, 병태생리 및 진단에 대해 기술하여 무지 외반증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떤 경우에 무지 외반증으로 진단하는가? 방사선학적으로 정상인에서는 무지 외반각(hallux valgus angle)이 15도 이하이고 제 1, 2중족골간 각(1st to 2nd intermetatarsal angle)이 8∼9도 이하인데, 이보다 더 증가한 경우 무지 외반증으 로 진단하게 된다.1,4) 국내 통계에서는 정상인의 무지 외반각은 평 균 16.
무지 외반증의 발생률은? 무지 외반증은 무지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질병으로, Mann과 Coughlin1)에 의하면 1871년 Carl Heuter가 처음으로 기술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미국의 통계 결과에 따르면 전 인구의 약 2%∼4% 가량에서 발생한다고 하며, 제 1중족-족지 관절에서 제 1족지가 외측으로 전위(deviation)되고 제 1중족골이 내측으로 전위된 질환으로 정의한다.2) 다양한 모양과 재료의 신발들이 개발됨으로써 이로 인한 무지 외반증의 발생 빈도는 증가하는 추세이다.
무지 외반증의 방사선 사진에서 중 족-족지 관절의 상합성의 여부를 확인하여야 하는 이유는? 무지 외반증의 방사선 사진에서 추가로 확인하여야 할 것은 중 족-족지 관절의 상합성(congruency)의 여부이다. 일반적인 무지외반증에서는 중족-족지 관절이 비교합성(incongruency)을 이루는데, 이 경우에는 근위 족지가 중족 골두에서 외측으로 전위되고 내측 관절낭의 이완과 외측 무지 외전건, 단족지굴건, 외측 관절낭의 구축이 있고 근위 족지가 회내 변형을 일으킨다. 비교합성의 경우에는 외측 구조물의 절제 및 내측 관절낭의 단축이 무지 외반증의 수술 술식에 포함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Mann RA, Coughlin MJ. Adult hallux valgus. In: Coughlin MJ, Mann RA, editors. Surgery of the foot and ankle. 7th ed. St. Louis: Mosby Inc.; 1999. p.150-269. 

  2. Coughlin MJ, Jones CP. Hallux valgus: demographics, etiology, and radiographic assessment. Foot Ankle Int. 2007;28:759-77. 

  3. Coughlin MJ, Thompson FM. The high price of high-fashion footwear. Instr Course Lect. 1995;44:371-7. 

  4. Scott G, Wilson DW, Bentley G. Roentgenographic assessment in hallux valgus. Clin Orthop Relat Res. 1991;(267):143-7. 

  5. Yoo CI, Kim BH, Shin KS, Im JI. A clinical and radiological study of the hallux valgus angle, intermetatarsal angle and hallux valgus of Koreans. J Korean Orthop Assoc. 1990;25:1183-90. 

  6. Easley ME, Trnka HJ. Current concepts review: hallux valgus part 1: pathomechanics, clinical assessment, and nonoperative management. Foot Ankle Int. 2007;28:654-9. 

  7. Kato T, Watanabe S. The etiology of hallux valgus in Japan. Clin Orthop Relat Res. 1981;(157):78-81. 

  8. Sim-Fook L, Hodgson AR. A comparison of foot forms among the non-shoe and shoe-wearing Chinese population. J Bone Joint Surg Am. 1958;40:1058-62. 

  9. Mann RA, Coughlin MJ. Hallux valgus--etiology, anatomy, treatment and surgical considerations. Clin Orthop Relat Res. 1981;(157):31-41. 

  10. Craigmile DA. Incidence, origin, and prevention of certain foot defects. Br Med J. 1953;2:749-52. 

  11. Kalen V, Brecher A.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bunions and flatfeet. Foot Ankle. 1988;8:331-6. 

  12. Kilmartin TE, Wallace WA. The significance of pes planus in juvenile hallux valgus. Foot Ankle. 1992;13:53-6. 

  13. Ledoux WR, Shofer JB, Smith DG, Sullivan K, Hayes SG, Assal M, et al. Relationship between foot type, foot deformity, and ulcer occurrence in the high-risk diabetic foot. J Rehabil Res Dev. 2005;42:665-72. 

  14. Saragas NP, Becker PJ. Comparative radiographic analysis of parameters in feet with and without hallux valgus. Foot Ankle Int. 1995;16:139-43. 

  15. Faber FW, Kleinrensink GJ, Verhoog MW, Vijn AH, Snijders CJ, Mulder PG, et al. Mobility of the first tarsometatarsal joint in relation to hallux valgus deformity: anatomical and biomechanical aspects. Foot Ankle Int. 1999;20:651-6. 

  16. Shi K, Hayashida K, Tomita T, Tanabe M, Ochi T. Surgical treatment of hallux valgus deformity in rheumatoid arthritis: clinical and radiographic evaluation of modified Lapidus technique. J Foot Ankle Surg. 2000;39:376-82. 

  17. Myerson MS, Badekas A. Hypermobility of the first ray. Foot Ankle Clin. 2000;5:469-84. 

  18. Faber FW, Kleinrensink GJ, Mulder PG, Verhaar JA. Mobility of the first tarsometatarsal joint in hallux valgus patients: a radiographic analysis. Foot Ankle Int. 2001;22:965-9. 

  19. Coughlin MJ, Shurnas PS. Hallux valgus in men. Part II: first ray mobility after bunionectomy and factors associated with hallux valgus deformity. Foot Ankle Int. 2003;24:73-8. 

  20. Doty JF, Coughlin MJ. Hallux valgus and hypermobility of the first ray: facts and fiction. Int Orthop. 2013;37:1655-60. 

  21. Schneider W. Influence of different anatomical structures on distal soft tissue procedure in hallux valgus surgery. Foot Ankle Int. 2012;33:991-6. 

  22. Young KW, Kim JS, Cho JW, Lee KW, Park YU, Lee KT. Characteristics of male adolescent-onset hallux valgus. Foot Ankle Int. 2013;34:1111-6. 

  23. Nery C, Coughlin MJ, Baumfeld D, Ballerini FJ, Kobata S. Hallux valgus in males--part 2: radiographic assessment of surgical treatment. Foot Ankle Int. 2013;34:636-44. 

  24. Uchiyama E, Kitaoka HB, Luo ZP, Grande JP, Kura H, An KN. Pathomechanics of hallux valgus: biomechanical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Foot Ankle Int. 2005;26:732-8. 

  25. Fuhrmann RA, Layher F, Wetzel WD. Radiographic changes in forefoot geometry with weightbearing. Foot Ankle Int. 2003;24:326-31. 

  26. Tanaka Y, Takakura Y, Takaoka T, Akiyama K, Fujii T, Tamai S. Radiographic analysis of hallux valgus in women on weightbearing and nonweightbearing. Clin Orthop Relat Res. 1997;(336):186-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