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엉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및 Tyrosinase 저해 활성과 Phenolic Compound 분석
Antioxidative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Extract and Fractions from Arctium lappa Roots and Analysis of Phenolic Compounds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5 no.2 = no.177, 2014년, pp.141 - 146  

임도연 (광주여자대학교 교양교직과정부) ,  이경인 (동신대학교 생물자원산업화지원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on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 and its fractions from roots of Arctium lappa. The total phenolic compound and flavonoid content of the ethylacetate fraction was found to be 818.29 mg/g and 360.59 mg/g as the high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우엉 뿌리의 생리활성 탐색을 위해 methanol 추출물과 용매별 분획물을 대상으로 polyphenol과 flavonoid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과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활성 성분의 함량이나 활성 실험의 결과에서 우엉 추출물의 ethylacetate 분획물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n-butanol 분획물이 다음으로 높은 수준을 보여주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는 우엉의 미백 기능성과 관련된 활성이나 성분에 대한 연구를 위해 그동안 주로 식용으로 이용되어 왔던 우엉 뿌리의 methanol 추출물과 용매분획별 시료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활성에 대한 연구로서 항산화활성과 피부 미백관련 기능성으로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조사하였으며, 활성 성분에 대한 정성 분석과 정량적 비교를 통한 활성과의 연관 관계 파악을 위해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LC-MS/MS)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3)Values are mean±SD (n=3) without relative activit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lavonoid는 주로 어떻게 알려져있는가? Flavonoid 함량 측정 −페놀성 화합물중 특히 여러 가지 기능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flavonoid 함량을 알아보기 위해 Moreno 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18) 1 mg/ml 농도로 methanol에 용해시킨 시료액 100 μl와 10% aluminium nitrate 20 μl, 1M potassium acetate 20 μl, methanol 860 μl를 차례로 혼합하여 40분간 반응시킨 후 4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활성 성분의 함량이나 활성 실험에서 무엇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는가? 본 연구에서는 우엉 뿌리의 생리활성 탐색을 위해 methanol 추출물과 용매별 분획물을 대상으로 polyphenol과 flavonoid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과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활성 성분의 함량이나 활성 실험의 결과에서 우엉 추출물의 ethylacetate 분획물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n-butanol 분획물이 다음으로 높은 수준을 보여주었다. 특히 미백 기능성과 관련하여 우엉 뿌리 부위의 추출물 및 분획물을 대상으로 한 tyrosinase 저해활성에 대한 연구 보고는 지금까지 없었던 것으로 관련된 연구의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Lee, M. S. (2011)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Arctium lappa ethanol extract. Korean J. Food & Nutr. 24: 713-719. 

  2. Park, K. Y., Lee, K. I. and Rhee, S. H. (1992) Inhibitory effect of green-yellow vegetables on the mutagenicity in Salmonella assay system and on the growth of AZ-521 human gastric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Nutr. 21: 149-153. 

  3. Han, S. J. and Koo, S. J. (1993) Study on the chemical composition in bamboo shoot, lotus root and burdock. Korean J. Soc. Food Sci. 9: 82-87. 

  4. Lim, J. H., Jeong, M. C. and Moon, K. D. (2005)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phenol oxidase from burdock (Arctium lappa L.). Korean J. Food Preserv. 12: 489-495. 

  5. Kim, H. B., Park, H. U., Lee, J. Y. and Kwon, H. J. (2011) Lack of mutagenecity og green pigments in Salmonella typhimurium. J. Fd. Hyg. Safety. 26: 242-247. 

  6. Kim, Y. J., Kang, S. C., Namkoong, S., Choung, M. G. and Sohn, E. H. (2012) Anti-inflammatory effects by Arctium lappa L. root extracts through the regulation of ICAM-1 and nitric oxide. Korean J. Plant Res. 25: 1-6. 

  7. Chen, F. A., Wu, A. B. and Chen, C. Y. (2004) The influence of different treatments on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burdock and variations of its active components. Food Chem. 86: 479-484. 

  8. Ferracane, R., Graziani, G., Gallo, M, Fogliano, V. and Ritieni, A. (2010) Metabolic profile of the bioactive compounds of burdock (Arctium lappa) seeds, roots and leaves. J. Pharm. Biomed. Anal. 51: 399-404. 

  9. Jung, S. W., Lee, N. K., Kim, S. J. and Han, D. S. (1995) Screening of tyrosinase inhibitor from plants. Kor. J. Food Sci. Technol. 27: 891-896. 

  10. Cho, Y. H. (2008) Inhibitory effect of Enteromorpha linza on the melanogenesis in B16 melanoma cells. Kor. J. Pharmacogn. 39: 174-178. 

  11. Lee, J. S., Kim J. A., Cho, S. H., Son, A. R., Jang, T. S., So, M. S., Chung, S. R. and Lee, S. H. (2003) Tyrosinase inhibitors isolated from the root of Glycyrrhiza glabra L. Kor. J. Pharmacogn. 34: 33-39. 

  12. Lee, K. I., Yang, S. A., Pyo, B. S. and Kim, S. M. (2011)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pathogens of acne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extract and fractions from bark of Prunus sargentii. Kor. J. Pharmacogn. 42: 155-160. 

  13. Im, D. Y. and Lee, K. I. (2011)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nd melanin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of the extract and fractions from Paeoniae Radix. Kor. J. Pharmacogn. 42: 323-328. 

  14. Kim, J. S., Seo, Y. C., Choi, W. Y., Kim, H. S., Kim, B. H., Shin, D. H., Yoon, C. S., Lim, H. W., Ahn, J. H. and Lee, H. Y. (2011)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ies and whitening effect of Acer mono Sap through nano encapsulation processe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9: 191-197. 

  15. Kim, T. H., Kim, J. M., Baek, J. M., Kim, T. W., Kim, D. J., Park, J. H. and Choi, M. (2011)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of Agrimonia pilosa Ledeb water extract.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9: 191-197. 

  16.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7. Otto, F. and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ogical Chemistry. 12: 239-243. 

  18. Moreno, M. I. N, Isla, M. I. N., Sampietro, A. R. and Vattuone, M. 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na. J. Enthropharmacology 71: 109-114. 

  19. Liu, R. H. (2004) Potential synergy of phytochemicals in cancer prevention : mechanism of action. J. Nutr. 3479S-3485S. 

  20. Manach, C., Williamson, G., Morand, C., Scalbert, A. and Remesy, C. (2005) Bioavailability and bioefficacy of polyphenols in humans. Am. J. Clin. Nutr. 81: 230S-242S. 

  21. Dewick, P. M. (2002) Medicinal natural products, 149-151, Wiley & Sons, Chichester. 

  22. del Marmol, V. and Beermann, F. (1996) Tyrosinase and related proteins in mammalian pigmentation. FEBS Lett. 381: 165-1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