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효 우엉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Fermented Arctium lappa L.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8 no.5, 2015년, pp.752 - 758  

김미현 (경일대학교 식품과학부) ,  김중규 ((주)내츄럴씨앤에프) ,  최재홍 ((주)내츄럴씨앤에프)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fermented Arctium lappa L. Arctium lappa fermented twice with Phellinus linteus ($2^{nd}$ FA) showed mor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non-fermented Arctium lappa (NFA),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발효를 통해 생성된 2차 대사산물과 유효성분의 증가로 인해 식품의 기능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황 버섯 균사체(Phellinus linteus)를 이용한 우엉 발효산물의 항산화 활성, 세포독성 및 항비만 활성을 분석하여 기능성 식품 신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1차 발효와 동일한 공정으로 2차 발효를 반복하여 발효횟수에 따른 활성의 변화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황 버섯 균사체(Phellinus linteus)를 이용한 우엉 발효산물의 항산화 활성, 세포독성 및 항비만 활성을 분석하여 기능성 식품 신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1차 발효와 동일한 공정으로 2차 발효를 반복하여 발효횟수에 따른 활성의 변화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식용미생물인 상황버섯 균사체로 발효시킨 우엉의 항산화 활성 및 항비만 활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비발효 우엉 및 발효 우엉 추출물은 DPPH 라디칼 소거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일부 농도에서 발효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엉의 종자와 잎은 어떤 증상에 효능이 있는가? )은 국화과에 속하는 초본식물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와 유럽 및 시베리아 등지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예로부터 우엉의 뿌리는 주로 식용으로 이용되어져 왔으며, 종자와 잎은 빈혈, 변비, 당뇨, 생리통, 신장병, 통풍, 간염 등의 증상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Fuchigami 등 1990; Han & Koo 1993; Ferracane 등 2010).
우엉에 함유되어 있는 약리성분으로는 어떤 것이 있는가? 우엉에 함유되어 있는 약리성분으로는 뿌리에 풍부한 이 눌린과 종자 부위의 arctiin, arctigenin 및 cynarin 등이 있다 (Duh PD 1998; Lin 등 2002; Matsuzaki 등 2008; Jeong 등 2011). 이눌린은 우엉 뿌리에 함유되어 있는 당질로 이뇨작용이 있으며, 그 외에도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고혈압, 동맥경화증과 당뇨병에 대한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Duh PD 1998).
우엉에 함유되어 있는 약리성분 중 이눌린은 어떤 특징을 갖는가? 우엉에 함유되어 있는 약리성분으로는 뿌리에 풍부한 이 눌린과 종자 부위의 arctiin, arctigenin 및 cynarin 등이 있다 (Duh PD 1998; Lin 등 2002; Matsuzaki 등 2008; Jeong 등 2011). 이눌린은 우엉 뿌리에 함유되어 있는 당질로 이뇨작용이 있으며, 그 외에도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고혈압, 동맥경화증과 당뇨병에 대한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Duh PD 1998). 또한 우엉의 종자부위에 주로 함유되어 있는 arctigenin과 arctiin은 phenolic compound의 일종으로 free radical을 소거하는 항산화 활성이 있으며, 세포증식조절인자로 최근 암유전자로 알려지고 있는 cyclin D1의 억제 및 쥐의 사구체염에 대한 효과가 있다(Chen 등 2004; Matsuzaki 등 2008; Wu 등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0 

  2. Blumberg JM, Tzameli I, Astapova I, Lam FS, Flier JS, Hollenberg A. 2006. Complex role of the vitamin D receptor and its ligand in adipogenesis in 3T3-L1 cell. J Biol Chem 28:11205-11213 

  3. Chen FA, Wu AB, Chen CY. 2004. The influence of different treatment on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burdock and variations of its active components. Food Chem 86:479-484 

  4. Duh PD. 1998. Antioxidant activity of burdock (Arctium lappa Linne): Its scavenging effect on free-radical and active oxygen. J Am Oil Chem Soc 75:455-461 

  5. Ferracane R, Graziani G, Gallo M, Fogliano V, Ritieni A. 2010. Metabolic profile of the bioactive compounds of burdock (Arctium lappa) seeds, roots and leaves. J Pharm and Biomed Anal 51:399-404 

  6. Fuchigami M, Kishigami Y, Sasaki A. 1990. Pectic polysaccharides in edible burdock root. J Home Economics Japan 41:947-962 

  7. Han SJ, Koo SJ. 1993. Study on the chemical composition in bamboo shoot, lotus root and burdock. Korean J Soc Food Sci 9:82-87 

  8. Im DY, Lee KI. 2014. Antioxidative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extract and fractions from Arctium lappa roots and analysis of phenolic compounds. Kor J Pharmacogn 45:141-146 

  9. Jeon YH, Kim MH, Kim MR. 2008.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Cuscutae semen. Korean J Food Cookery Sci 24:46-51 

  10. Jeong JB, Hong SC, Jeong HJ, Koo JS. 2011. Arctigenin induces cell cycle arrest by blocking the phosphorylation of Rb via the modulation of cell cycle regulatory proteins in human gastric cancer cells. In Immunopharmacol 11:1573-1577 

  11. Kang EH, Lee IK, Hwang MH, Choi JY, Chang ZQ, Rhee MH, Yun BS, Jiang CZ, Kim KS, Park SC. 2007. Anti-obesity activity, anti-canter activity and single oral dose toxicity of Inonotus xeranticus extracts. J Toxica Pub Health 23:253-261 

  12. Kim DB, Shin GH, Lee JS, Lee OH, Park IJ, Cho JH. 2014.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Acanthopanax senticosus extract fermented with different mushroom mycelia. Korean J Food Sci Technol 46:205-212 

  13. Kim DJ, Jung JH, Kim SG, Lee HK, Lee SK, Hong HD, Lee BY, Lee OH. 2011. Antioxidants and anti-obesity activities of hot water and ethanolic extracts from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Korean J Food Preserv 18:366-373 

  14. Kim HS, Ahn JJ, Choi TH, Hwang TY. 2014. Screening of DPPH radical scavenging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local some native plants. Korean J Food Preserv 21:593-599 

  15. Kim MH, Kim JG, Choi JH. 2014. Antioxidant activity and changes in major functional components of fermented Gastrodia elata Blume. Korean J Food & Nutr 27:684-691 

  16. Kim MS, Lee YS, Sohn HY. 2014. Anti-thrombosi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root of Arctium lappa L. Korean Soc Food Preserv 21:727-734 

  17. Kim YJ, Kang SC, Namkoong S, Choung MG, Sohn EH. 2012. Anti-inflammatory effects by Arctium lappa L. root extracts through the regulation of ICAM-1 and nitric oxide. Korean J Plant Res 25:1-6 

  18. Lee MS. 2011.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Artium lappa ethanol extract. Korean J Food & Nutr 24:713-719 

  19. Lim DY, Lee KI. 2014. Antioxidative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extract and fraction from Arctium lappa roots and analysis of phenolic compounds. Kor J Pharmacogn 45:141-146 

  20. Lin SC, Lin CH, Lin CC, Lin YH, Chen CF, Chen IC, Wang LY. 2002. Hepatoprotective effects of Arctium lappa Linne on liver injuries induced by chronic ethanol consumption and potentiated by carbon tetrachloride. J Biomed Sci 9:401-409 

  21. Matsuzaki Y, Koyama M, Hitomi T, Yokota T, Kwawanaka M, Nishikawa A, Germain D, Sakai T. 2008. Arctiin induces cell growth inhibition through the down-regulation of cyclin D1 expression. Oncol Rep 19:721-727 

  22. Moreno MI, Isi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an. J Ethnopharmacol 71:109-114 

  23. Park MR, Yoo C, Chang YN, Ahn BY. 2012. Change of total polyphenol content of fermented Gastrodia elata Blume and radical scavenging. Korean J Plant Res 25:379-386 

  24. Pellegrini N, Re R, Yang M, Rice-Evans C. 1999.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2-azinobis (3-ethylene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 Enzymol 299:379-389 

  25.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1231-1237 

  26. Wang MF, Shao Y, Li JG, Rngarajan M, Lavoie EJ, Huang TC, Ho CT. 1998. Antioxidative phenolic compounds from sage (Salivia officinalis). J Agr Food Chem 46:4869-4873 

  27. Wu JG, Wu JZ, Sun LN, Han T, Du J, Ye Q, Zhang H, Zhang YG. 2009. Ameliorative effects of arctiin from Arctium lappa on experimental glomerulonephritis in rats. Phytomedicine 16:1033-1041 

  28. Yoon JM. 2014. Development of process technology for the nutrient fortification and health promoting of Biji. Master Thesis, Andong National Univ. Andong.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