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엉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세포 독성 평가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ity on cell of Arctium lappa L. root extract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4 no.1, 2017년, pp.41 - 49  

문지선 (중원대학교 뷰티헬스학과) ,  이진희 (동국대학교 문화서비스학과) ,  유선희 (건국대학교 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엉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피부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 활성을 통하여 항산화 활성을 살펴보고, B16F10 melanoma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및 자외선 A에 대한 피부 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을 검증하기 위하여 1차 피부 첩포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본 실험 결과 우엉뿌리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됨에 따라 높은 폴리페놀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확인되었으며, DPPH radical 소거 활성을 확인하였다. B16F10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을 확인한 결과 B16F10 melanoma 세포에 대해 독성이 낮고, 자외선 A에 대해 80% 이상의 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1차 피부 첩포 테스트를 통해 우엉 뿌리 추출물이 피부에 자극이 거의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우엉뿌리 추출물이 항산화 활성과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가 뛰어나고 피부 세포에 대한 독성이 낮으며,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확인됨에 따라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and safety on skin of Arctium lappa L. root extract, antioxidant activity was understood through total content of polyphenol, total content of flavonoid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cytotoxicity for B16F10 melanoma and skin cell protec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미용적인 측면에서의 연구는 아직까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엉 뿌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을 통한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고, 피부 세포에 대한 독성 평가와 Ultraviolet-A(UVA)에 대한 보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피부에 대한 1차적인 안전성 검증인 1차 첩포 테스트를 실시하여,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엉 뿌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을 통한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고, 피부 세포에 대한 독성 평가와 Ultraviolet-A(UVA)에 대한 보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피부에 대한 1차적인 안전성 검증인 1차 첩포 테스트를 실시하여,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우엉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화장품 소재로서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항산화 작용 효과 검증의 지표라고 할 수 있는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 활성을 통하여 항산화 활성을 살펴보고, B16F10 melanoma 세포에서의 세포 독성, UVA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와 피부에 대한 1차 첩포 테스트를 통하여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본 실험 결과 우엉 뿌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은 함량을 확인하였으며, DPPH radical 소거 활성이 증가 되는 것이 확인됨에 따라 본 연구를 통하여 우엉 뿌리 추출물의 높은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엉은 무엇인가? 우엉(Arctium lappa L.)은 쌍떡잎식물 초롱꽃 목 국화과의 2년생 작물로서 지상부는 50~150 cm까지 자라며, 곧은 뿌리는 30∼60 cm까지 자란다. 7월에 피는 꽃은 총상화(筒狀花)이며, 관모(冠毛)는 갈색이다[13]. 우엉의 원산지는 유럽이나 시베리아, 중국, 한국 등에서 널이 분포하며, 국내에서는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대량 재배되고 있다[14]. 우엉은 오래 전부터 종자, 잎, 뿌리를 약재로 사용하였으며, 특히 뿌리는 특유의 향기와 씹는 맛이 좋아 오랫동안 식이로 사용되어 왔다.
활성산소을 통한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발하는 병리학적 증상은 무엇이 있는가? 우리의 몸에서는 에너지 생산을 위한 산화와 환원 과정 중에서 상당량의 활성산소들이 생성되게 된다. 이에 따라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서 동맥경화, 심혈관의 기능장 애, 염증유발, 암, 약물독성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병리학적 증상 유발에 관여하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1]. 항산화 성분이 항산화 효소 활성 증가 등으로 체내 항산화 효능을 증진시키고, 누적되는 산화적 손상에 대항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인체의 항산화 시스템을 향상시키는 것은 활성산소로부터 피부 질환 및 각종 질환을 예방하거나 지연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천연물에 존재하는 항산화 물질은 무엇이 있는가? 이러한 추세에 따라 항산화제는 기능성 혹은 생리활성물질의 하나로서 식품의 변질을 예방하고, 생체 내에서 생성되는 활성산소 및 활성산소에 의해 유도되는지 질과산화 반응을 억제하며 노화방지, 성인병 예방의 기능을 할 수 있는 물질로 알려짐에 따라 생활 필수품, 식품, 화장품 등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5,6]. 천연물에 존재하는 대표적인 항산화 물질로는 phenolic compounds[7], ascorbic acid[8], tocopherol[9], carotenoids[10], flavonoids[11], lutathione[12] 등이 알려져 있으나 극히 일부의 물질을 제외하고는 실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별로 없기 때문에 효과적인 항산화제 개발을 위해서는 독성이 낮은 천연물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검색과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ruoma OI, Free radicals.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J. A.O.C.S. 75, 199-212 (1998). 

  2. Chang SS, Ostric-Matijasevic B, Oliver AL, Huang CL. Natural antioxidants from rosemary and sage. J. Food Sci. 42, 1102-1106 (1977). 

  3. Jeong SJ, Lee H, Song NH, Lee SE, Baeg I. Natural products chemistry;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medicinal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28-33 (2004). 

  4. Kim EJ, Ahn MS. Antioxidative effect of ginger extracts. Korean J. Soc. Food Sci. 9, 37-42 (1993). 

  5. Farag RS, Badei AZMA, Hewedi FM, EI-Baroty GSA.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spice essential oils on linoleic acid oxidation in aqueous media. JAOCS. 66, 792-799 (1989). 

  6. Frei B. Natural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Academic Press. San Diego. 40-55 (1994). 

  7. Cha JY, Cho YS. Effect of potato polyphenolics on lipid peroxidation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131-1136 (1999). 

  8. Helmersson J, Arnlov J, Larsson A, Basu S. Low dietary intake of beta-carotene, alpha-tocopherol and ascorbic acid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inflammatory and oxidative stress status in a Swedish cohort. Br. J. Nutr. 15, 1-8 (2008). 

  9. Koskas JP, Cillard J, Cillard P. Autoxidation of linoleic acid and behavior of its hydroperoxides with and without tocopherols. JAOCS. 61, 1467-1472 (1984). 

  10. Terao, J. Autoxidation activity of ${\beta}$ -carotene-related carotenoids in solution. Lipids. 24, 657-661 (1989). 

  11. Chen YT, Zheng RL, Jia ZJ, Ju J. Flavonoids as superoxide scavengers and antioxidants. Free Radical Biol. Med. 9, 19-21 (1990). 

  12. Cha, JY, Park SH, Heo JS, Cho YS. Suppressive effect of administrated glutathione-enriched Saccharomyces cerevisiae FF-8 on the oxidative stress in alcoholic fatty liver. J. Life Sci. 18, 1053-1058 (2008). 

  13. Lee RJ. edical herbal of Josun. Han Kook Munhwasa, Seoul (1999). 

  14. Lee MS, Jeong JS, Park DY. The Effects of Arctium lappa L. Root Extracts on the Scalp and hair. Asian Journal of Beauty & Cosmetology. 13, 43-48, (2015). 

  15. Jeong TS. Study on Microbiological Risk Assessment and Application of HACCP System to Burdock(Arctium lappa L.) Tea Production Proces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Doctorate thesis (2016). 

  16. Lin CC, Lu JM, Yang JJ, Chuang SC, Ujiie T. Anti-inflammatory and radical scavenge effects of Arctium lappa. American J Chin Med, 24, 127-137 (1996). 

  17. Kou XS, Dai QW, Luo L, Yin Z. Arctigenin inhibits lipopolysaccharideinduced iNOS expression in RAW264.7 cells through suppressing JAK-STAT signal pathway. Int Immunopharmacol, 11, 1095-1102 (2011). 

  18. Weidong. 牛蒡抗?化. 降血脂的保健功能. 食品科? 34, 274 (2008). 

  19. Ryu BH, Lee BH, Ha MS, Kim DS, Sin DB, Nam KD. Desmutagenic effect of legumes and plants crude saponins in Salmonella typhimurium TA 98. Korean J Food Sci Technol 18, 345-350 (1986). 

  20. Ohara A, Matsuhisa T. Anti-tumor promoting activities of edible plants against okadaic acid. Food Sci Technol Res. 8, 158-161 (2002). 

  21. Morita KY, Y. Nishijima and T. Kada. Chemical nature of a desmutagenic factor from burdock (Arctium lappa L.). Agric. Biol. Chem. 49, 925-932 (1985). 

  22. Lin, SC, Lin CH, Lin CC, Lin YH, Chen CF, Chen JC, Wang LY. Hepatoprotective effects of Arctium lappa L. on liver injuries induced by chronic ethanol consumption and potentiated by carbon tetrachloride tetrachloride. J. Biomed. Sci. 9, 401-409 (2002). 

  23. Sohn EH, Jang SA, Joo H, Park S, Kang SC, Lee CH, Kim SY. Anti-allerg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butanol extract from Arctium Lappa L. Clin Mol Allergy, 9, 4-15 (2011). 

  24. Chow LW, Wang SJ, Duh PD. Antibacterial activity of burdock. Food Science 24, 195-202 (1997). 

  25. Duh PD. Antioxidant activity of burdock (Arctium lappa Linne): Its scavenging effect on free-radical and active oxygen. J. Am. Oil. Chem. Soc., 75, 455-461 (1998). 

  26. Maruta Y, Kawabata J, Nik R. Antioxidative caffeoylquinic acid derivatives in the roots of burdock (Arctium lappa L.). J. Agric. Food Chem. 43, 2592-2595 (1995). 

  27. Lee MY, Shin SL, Park SH, Kim NR, Chang YD, Lee CH. Development of optimal cultivation conditions and analysis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Arctium lappa sprout vegetables. Korean. J. Plant. Res., 22, 304-311 (2009). 

  28. Chen FA, Wu AB, Chen CY. The influence of different treatment on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burdock and variations of its active components. Food. Chem, 86, 479-484 (2004). 

  29. Folin O, Denis W.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12, 239-243 (1912). 

  30. Moreno MI,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71, 109-114 (2000). 

  31.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58). 

  32. Guidelines on in vivo tests and in vitro tests of cosmetic products, Korea. food. and drug. adminstr ation. (2011). 

  33. Im DY, Lee KI. Antioxidative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Extract and Fractions from Arctium lappa Roots and Analysis of Phenolic Compounds. Kor. J. Pharmacogn. 45, 141-146 (2014). 

  34. Kim EJ, Choi JY, Yu MR, Kim MY, Lee BH.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ural and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337-342 (2012). 

  35. Jia Z, Tang M, Wu J.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y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1999). 

  36. Heim KE, Tagliaferro AR, Bobilya DJ. Flavonoid antioxidants: Chemistry, metabolism, and structure activity reationships. J. Nutr. Biochem. 13, 572- 584 (2002). 

  37. Kim MG, Oh MS, Jeon JS, Kim HT, Yoon MH. A Study on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oxidant Compound Content by the Types of Tea,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31, 132-139 (2016). 

  38. Yamaguchi T, Mizobuchi T, Kajikawa R, Kawashima H, Miyabe F, Terao J, Takamura H, Matoba T. Radicalscavenging sctivity of vegetables and the effect of cooking on their activity. Food. Sc.i Technol. Res., 7, 250-257 (2001). 

  39. Chen FA, Wu AB, Chen CY. The influence of different treatments on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burdock and variations of its active components. Food Chem. 86, 479-484 (2004). 

  40. Lee MS.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Arctium lappa Ethanol Extract. Korean J. Food & Nutr. 24, 713-719 (2011). 

  41. Jeon SE, Hwang WJ, Hong YH, Kim MJ, Ahn ES, Park SY. Inhibitory Effects of Hericium erinaceus Extracts on Melanin Synthesis and Oxidative Stress. Asian J Beauty Cosmetol. 14, 427-435 (2016). 

  42. Lee AR, Roh SS, Lee ES, Min YH. Anti-oxidant and Anti-melanogenic Activity of the Methanol Extract of Pine Cone. Asian J Beauty Cosmetol. 14, 301-308 (2016). 

  43. Gu MA, Kim MJ, Kim HS, Ha JH, Yu ER, Park SN. Characteristics and Cellular Protective Effects against UVA of Cationic Liposome Loaded with Quercetin and Rutin. Appl. Chem. Eng., 26, 165-172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