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의 영양장애, 우울 정도와 삶의 질과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Malnutri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Gynecologic Cancer receiving Chemotherapy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0 no.2, 2014년, pp.117 - 125  

노주희 (울산대학교 간호학과) ,  김성렬 (전북대학교 간호대학) ,  강경선 (울산대학교병원) ,  권용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울산대학교병원 산부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nutritional status, and relationships among malnutri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gynecologic cancer who were receiving chemotherapy. Methods: For this study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11...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자들은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부인암 환자의 영양장애, 우울 정도와 삶의 질을 파악하고, 일반적 특성과 영양장애에 따른 우울과 삶의 질 및 이들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며,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의 건강 증진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부인암 환자의 영양장애, 우울과 삶의 질, 그리고 변수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의 영양장애, 우울 정도 및 삶의 질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로, 본 연구 결과 영양장애가 있는 연구대상자의 우울 정도는 높게 나타났고 삶의 질은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의 영양장애에 대한 간호사의 정확한 사정과 중재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 이처럼 암 환자의 영양장애와 삶의 질은 큰 관련성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부인암 환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선행연구에서는 영양장애와 삶의 질의 관련성을 제시하지 않았으며, 영양장애 및 삶의 질을 시기에 따라 단편적으로 보여주는 연구가 대부분이었다[7,11]. 따라서 선행연구의 제한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의 영양장애와 삶의 질의 관계를 조사하였고, 이들과 관련성이 있는 변수인 우울 정도를 확인하여 제시했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양장애란 무엇인가? 암 환자의 영양장애는 다른 만성 질환 환자보다 심각하여[1], 40~80% 환자에서 영양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 영양장애란 에너지, 단백질, 또는 다른 영양소의 불균형을 의미하는 것으로[3], 암 환자에서 영양장애가 호발 하는 원인은 암 자체의 여러 가지 사이토카인에 의한 비정상적인 대사 항진으로 식이 섭취는 감소하고 에너지 요구량은 증가하여 조직이 심하게 소모되고 기능이 저하되어 체중저하와 악액질이 발생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4]. 암 환자의 영양 장애는 감염, 전해질 불균형, 피부통합성 장애, 빈혈, 전신 쇠약감, 피로 등을 유발하고[5], 면역기능을 저하시켜 저항력을 감소시킨다[6].
암 환자의 영양 장애가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특히 항암화학요법은 식욕부진, 오심구토, 미각상실, 구내염, 변비, 설사, 면역기능 감소 등의 부작용을 동반하며, 특정 항암제의 경우 심한 위장계 부작용으로 인하여 암 환자의 영양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4]. 암 환자에게 발생하는 영양장애는 사망률 및 낙상의 위험률을 증가 시키며, 상처 치유지연, 재원기간증가및 삶의 질저하를초래한다[7]. 암 환자의 영양장애와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살펴 본 연구결과[8] 암 환자는 영양상태가 좋을수록 삶의 질이 향상된다고 하였으며, 영양장애는 암 환자의 생존율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하였다[9].
암 환자에서 영양장애가 호발 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암 환자의 영양장애는 다른 만성 질환 환자보다 심각하여[1], 40~80% 환자에서 영양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 영양장애란 에너지, 단백질, 또는 다른 영양소의 불균형을 의미하는 것으로[3], 암 환자에서 영양장애가 호발 하는 원인은 암 자체의 여러 가지 사이토카인에 의한 비정상적인 대사 항진으로 식이 섭취는 감소하고 에너지 요구량은 증가하여 조직이 심하게 소모되고 기능이 저하되어 체중저하와 악액질이 발생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4]. 암 환자의 영양 장애는 감염, 전해질 불균형, 피부통합성 장애, 빈혈, 전신 쇠약감, 피로 등을 유발하고[5], 면역기능을 저하시켜 저항력을 감소시킨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iddleton MH, Nazarenko G, Nivison-Smith I, Smerdely P. Prevalence of malnutrition and 12-month incidence of mortality in two Sydney teaching hospitals. International Medicine Journal. 2001;31(8):455-461. 

  2. Barrera R. Nutritional support in cancer patients. Journal of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2002;26(Suppl.5):S63-71. 

  3. Sheard JM, Ash S, Silburn PA, Kerr GK. Prevalence of malnutrition in Parkinson's disease: A systematic review. Nutrition Reviews. 2011;69(9):520-532. 

  4. Van Cutsem E, Arends J.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cancer-associated malnutrition.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2005;9(Suppl.2):S51-63. 

  5. Brugler L, Stankovic AK, Schlefer M, Bernstein L. A simplified nutrition screen for hospitalized patients using readily available laboratory and patient information. Nutrition. 2005;21 (6):650-658. 

  6. Langer CJ, Hoffman JP, Ottery FD. Clinical significance of weight loss in cancer patients: Rationale for the use of anabolic agents in the treatment of cancer-related cachexia. Nutrition. 2001;17(Suppl 1):S1-20. 

  7. Laky B, Janda M, Kondalsamy-Chennakesavan S, Cleghorn G, Obermair A. Pretreatment malnutrition and quality of life - association with prolonged length of hospital stay among patients with gynecological cancer: A cohort study. BMC Cancer. 2010;10:232. 

  8. Lis CG, Gupta D, Lammersfeld CA, Markman M, Vashi PG. Role of nutritional status in predicting quality of life outcomes in cancer-a systematic review of the epidemiological literature. Nutritional Journal. 2012;11:27. 

  9. Gupta D, Lammersfeld CA, Vashi PG, Dahlk SL, Lis CG. Can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of nutritional status predict survival in ovarian cancer? Journal of Ovarian Research. 2008;1 (1):5. 

  10. Laky B, Janda M, Bauer J, Vavra C, Cleghorn G, Obermair A. Malnutrition among gynaecological cancer patients.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07;61(5):642-646. 

  11. Ryan M, White K, Roydhouse JK, Fethney J. A description of the nutrition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of Australian gynaecological cancer patients over time.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2012;16(5):453-459. 

  12. Britton B, Clover K, Bateman L, Odelli C, Wenham K, Zeman A et al. Baseline depression predicts malnutrition in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undergoing radiotherapy. Supportive Care in Cancer. 2012;20(2):335-342. 

  13. Massie MJ. Prevalence of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ancer.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Monographs. 2004;32: 57-71. 

  14. Suzuki N, Ninomiya M, Maruta S, Hosonuma S, Nishigaya Y, Kobayashi Y et 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Japanese gynecologic cancer patients after learning the diagnosis according to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Research. 2011;37(7):800-808. 

  15. Gil KM, Gibbons HE, Jenison EL, Hopkins MP, von Gruenigen VE. Baseline characteristic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women undergoing gynecologic oncology surgery.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2007;5:25. 

  16. Mendonsa RD, Appaya P. Psychiatric morbidity in outpatients of gynecological oncology clinic in a tertiary care hospital. Indian Journal of Psychiatry. 2010; 52(4):327-332. 

  17. Ottery FD. Definition of standardized nutritional assessment and interventional pathways in oncology. Nutrition. 1996;12 (Suppl.1):S15-19. 

  18. Bauer J, Capra S, Ferguson M. Use of the scored Patient- Generated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PG- SGA) as a nutrition assessment tool in patients with cancer.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02;56(8):779-785. 

  19. McCallum PD, Polisena CG. Clinical guide to oncology nutrition. 1st ed. Chicago: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2000. 

  20. Park MY, Park JY. Pre-and post-transplant nutritional assessment in patients undergoing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Asian Oncology Nursing. 2012;12(1):110-116. 

  21. Wilson MM, Thomas DR, Rubenstein LZ, Chibnall JT, Anderson S, Baxi A et al. Appetite assessment: simple appetite questionnaire predicts weight loss in community-dwelling adults and nursing home residents.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05;82(5):1074-1081. 

  22. Lee KR. Efficacy of nutrition management program on performance ability, physical function, nutritional status in frail elderly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12. 

  23. Beck AT.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New York: Hoeber Medical Division, Harper & Row;1967. 

  24. Lee YH, Song JY.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SDS, and MMPI-D sc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91;10(1):98-113. 

  25. Jo SA, Park MH, Jo I, Ryu SH, Han C. Usefulness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in the Korean elderly pop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07;22(3): 218-223. 

  26. Cella D. FACIT manual: Manual of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hronic Illness Therapy (FACIT) measurement system. Evanston, IL: Center on Outcomes, Research and Education;1997. 

  27. Byun MS, Kim NH. Energy intake and fatigue in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2;14(4):258-267. 

  28. Kim YH, Lee JH. Relationships between side effects, depression and quality of sleep in gynecological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0;16(3):276-287. 

  29. Gupta D, Lis CG, Granick J, Grutsch JF, Vashi PG, Lammersfeld CA. Malnutrition was associated with poor quality of life in colorectal cancer: A retrospective analysis.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2006; 59(7):704-709. 

  30. Ravasco P, Monteiro-Grillo I, Vidal PM, Camilo ME. Dietary counseling improves patient outcomes: A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undergoing radiotherapy.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005;23(7): 1431-1438.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